이항 계수의 표를 파스칼의 삼각형 이라고 한다.
조합론 에서 이항 계수 (二項係數, 영어 : binomial coefficient )는 이항식 을 이항 정리 로 전개했을 때 각 항의 계수이며, 주어진 크기의 (순서 없는) 조합 의 가짓수이다.
정의
자연수
n
{\displaystyle n}
및 정수
k
{\displaystyle k}
가 주어졌을 때, 이항 계수
(
n
k
)
{\displaystyle \textstyle {\binom {n}{k}}}
는 다음과 같다.
(
n
k
)
=
{
n
!
/
(
k
!
(
n
− − -->
k
)
!
)
0
≤ ≤ -->
k
≤ ≤ -->
n
0
k
<
0
0
k
>
n
{\displaystyle {\binom {n}{k}}={\begin{cases}n!/\left(k!(n-k)!\right)&0\leq k\leq n\\0&k<0\\0&k>n\end{cases}}}
여기서
!
{\displaystyle !}
는 계승 (수학) 이다. 이항 계수를
(
n
k
)
{\displaystyle \textstyle {\binom {n}{k}}}
대신
n
C
k
{\displaystyle {}_{n}C_{k}}
나
C
(
n
,
k
)
{\displaystyle C(n,k)}
로 쓰기도 한다. 이항 계수의 값을 삼각형 모양으로 나열한 표를 파스칼의 삼각형 이라고 한다.
n
=
2
k
{\displaystyle n=2k}
인 경우의 이항 계수를 중심 이항 계수 (中心二項係數, 영어 : central binomial coefficient )라고 한다. 이는 다음과 같다 (
k
=
0
,
1
,
2
,
… … -->
{\displaystyle k=0,1,2,\dots }
).
1, 2, 6, 20, 70, 252, 924, 432, 12870, 48620, … (OEIS 의 수열 A000984 )
성질
항등식
이항 계수는 다음과 같은 항등식을 만족시킨다. 이는 이항 계수의 정의로부터 쉽게 증명할 수 있다.
(
n
k
)
=
(
n
n
− − -->
k
)
{\displaystyle {\binom {n}{k}}={\binom {n}{n-k}}}
다음과 같은 점화식이 성립하며, 이는 파스칼의 법칙 (Pascal-法則, 영어 : Pascal’s rule )이라고 한다.
(
n
k
)
+
(
n
k
+
1
)
=
(
n
+
1
k
+
1
)
{\displaystyle {\binom {n}{k}}+{\binom {n}{k+1}}={\binom {n+1}{k+1}}}
급수 공식
이항 계수는 다음과 같은 급수 공식들을 만족시킨다. 이들은 대부분 생성 함수(의 도함수)의 특수한 값으로 얻어진다.
이항 계수의 합
이 공식들은 생성함수
(
1
+
x
)
n
{\displaystyle (1+x)^{n}}
(의 도함수)의
x
=
1
{\displaystyle x=1}
값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 ∑ -->
k
=
0
n
(
n
k
)
=
2
n
{\displaystyle \sum _{k=0}^{n}{\binom {n}{k}}=2^{n}}
∑ ∑ -->
k
=
0
n
k
(
n
k
)
=
n
2
n
− − -->
1
{\displaystyle \sum _{k=0}^{n}k{\binom {n}{k}}=n2^{n-1}}
또한, 피보나치 수 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k
=
0
⌊ ⌊ -->
n
/
2
⌋ ⌋ -->
(
n
− − -->
k
k
)
=
F
(
n
+
1
)
{\displaystyle \sum _{k=0}^{\lfloor n/2\rfloor }{\binom {n-k}{k}}=F(n+1)}
여기서
F
(
n
)
{\displaystyle F(n)}
은
n
{\displaystyle n}
번째 피보나치 수 이다.
이항 계수의 곱의 합
다음 항등식은 주세걸 -방데르몽드 항등식 (朱世傑-Vandermonde恒等式, 영어 : Zhu–Vandermonde identity )이라고 한다.
∑ ∑ -->
j
=
0
k
(
m
j
)
(
n
k
− − -->
j
)
=
(
m
+
n
k
)
{\displaystyle \sum _{j=0}^{k}{\binom {m}{j}}{\binom {n}{k-j}}={\binom {m+n}{k}}}
이항계수의 제곱의 합은 다음과 같이 중심 이항 계수로 주어진다.
∑ ∑ -->
k
=
0
n
(
n
k
)
2
=
(
2
n
n
)
{\displaystyle \sum _{k=0}^{n}{\binom {n}{k}}^{2}={\binom {2n}{n}}}
이는 조합론 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
2
n
n
)
{\displaystyle \textstyle {\binom {2n}{n}}}
은 크기가
2
n
{\displaystyle 2n}
집합 속에서
n
{\displaystyle n}
개의 조합 의 가짓수인데, 이는 크기
2
n
{\displaystyle 2n}
의 집합의 처음 절반에서
k
{\displaystyle k}
개를 고르고, 나머지 절반에서
n
− − -->
k
{\displaystyle n-k}
개를 고르는 가짓수의
k
{\displaystyle k}
에 대한 합
∑ ∑ -->
k
=
0
n
(
n
k
)
(
n
n
− − -->
k
)
=
∑ ∑ -->
k
=
0
n
(
n
k
)
2
{\displaystyle \textstyle \sum _{k=0}^{n}{\binom {n}{k}}{\binom {n}{n-k}}=\sum _{k=0}^{n}{\binom {n}{k}}^{2}}
과 같다.
생성 함수
이항 계수는 다음과 같은 생성 함수 를 갖는다.
∑ ∑ -->
k
=
0
n
(
n
k
)
x
k
=
(
1
+
x
)
n
{\displaystyle \sum _{k=0}^{n}{\binom {n}{k}}x^{k}=(1+x)^{n}}
∑ ∑ -->
n
=
k
∞ ∞ -->
(
n
k
)
x
n
=
x
k
(
1
− − -->
x
)
k
+
1
{\displaystyle \sum _{n=k}^{\infty }{\binom {n}{k}}x^{n}={\frac {x^{k}}{(1-x)^{k+1}}}}
∑ ∑ -->
n
=
0
∞ ∞ -->
∑ ∑ -->
k
=
0
n
(
n
k
)
x
k
y
n
=
1
1
− − -->
y
− − -->
x
y
{\displaystyle \sum _{n=0}^{\infty }\sum _{k=0}^{n}{\binom {n}{k}}x^{k}y^{n}={\frac {1}{1-y-xy}}}
∑ ∑ -->
n
=
0
∞ ∞ -->
∑ ∑ -->
k
=
0
n
1
(
n
+
k
)
!
(
n
+
k
k
)
x
k
y
n
=
exp
-->
(
x
+
y
)
{\displaystyle \sum _{n=0}^{\infty }\sum _{k=0}^{n}{\frac {1}{(n+k)!}}{\binom {n+k}{k}}x^{k}y^{n}=\exp(x+y)}
중심 이항 계수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 ∑ -->
n
=
0
∞ ∞ -->
(
2
n
n
)
x
n
=
1
1
− − -->
4
x
{\displaystyle \sum _{n=0}^{\infty }{\binom {2n}{n}}x^{n}={\frac {1}{\sqrt {1-4x}}}}
점근 공식
일반적으로, 모든
n
∈ ∈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및
k
∈ ∈ -->
{
1
,
… … -->
,
n
}
{\displaystyle k\in \{1,\dots ,n\}}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부등식 이 성립한다.
(
n
/
k
)
k
≤ ≤ -->
(
n
k
)
≤ ≤ -->
n
k
/
k
!
≤ ≤ -->
(
e
n
/
k
)
k
{\displaystyle (n/k)^{k}\leq {\binom {n}{k}}\leq n^{k}/k!\leq (en/k)^{k}}
중심 이항 계수의 경우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4
n
4
n
≤ ≤ -->
(
2
n
n
)
≤ ≤ -->
4
n
3
n
+
1
∀ ∀ -->
n
≥ ≥ -->
1
{\displaystyle {\frac {4^{n}}{\sqrt {4n}}}\leq {\binom {2n}{n}}\leq {\frac {4^{n}}{\sqrt {3n+1}}}\qquad \forall n\geq 1}
n
≫ ≫ -->
1
{\displaystyle n\gg 1}
및
|
1
/
2
− − -->
k
/
n
|
≪ ≪ -->
1
{\displaystyle |1/2-k/n|\ll 1}
에 대하여, 스털링 근사 를 사용하여 이항계수를 다음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
(
n
k
)
≈ ≈ -->
2
n
+
1
2
π π -->
n
exp
-->
(
− − -->
(
2
k
− − -->
n
)
2
/
2
n
)
{\displaystyle {\binom {n}{k}}\approx {\frac {2^{n+1}}{\sqrt {2\pi n}}}\exp(-(2k-n)^{2}/2n)}
이에 따라, 이항분포 를 정규분포 로 근사할 수 있다. 특히,
k
=
n
/
2
{\displaystyle k=n/2}
일 경우 중심 이항 계수의 스털링 근사는 다음과 같다.
(
n
n
/
2
)
≈ ≈ -->
2
n
+
1
2
π π -->
n
{\displaystyle {\binom {n}{n/2}}\approx {\frac {2^{n+1}}{\sqrt {2\pi n}}}}
이다.
만약
n
≫ ≫ -->
1
{\displaystyle n\gg 1}
이며
n
≫ ≫ -->
k
{\displaystyle n\gg k}
라면, 스털링 근사 를 사용하여 이항 계수를 다음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
(
n
k
)
∼ ∼ -->
(
n
/
k
− − -->
1
/
2
)
k
exp
-->
(
k
)
2
π π -->
k
{\displaystyle {\binom {n}{k}}\sim {\frac {(n/k-1/2)^{k}\exp(k)}{\sqrt {2\pi k}}}}
수론적 성질
쿠머 정리 (Kummer定理, 영어 : Kummer’s theorem )에 따르면, 음이 아닌 정수
n
≥ ≥ -->
k
{\displaystyle n\geq k}
및 소수
p
{\displaystyle p}
에 대하여,
p
c
∣ ∣ -->
(
n
k
)
{\displaystyle p^{c}\mid {\binom {n}{k}}}
인 최대
c
{\displaystyle c}
는 다음과 같다.
c
=
|
{
b
∈ ∈ -->
Z
+
: : -->
k
/
p
b
− − -->
⌊ ⌊ -->
k
/
p
b
⌋ ⌋ -->
>
n
/
p
b
− − -->
⌊ ⌊ -->
n
/
p
b
⌋ ⌋ -->
}
|
{\displaystyle c=|\{b\in \mathbb {Z} ^{+}\colon k/p^{b}-\lfloor k/p^{b}\rfloor >n/p^{b}-\lfloor n/p^{b}\rfloor \}|}
즉, 이는
k
+
(
n
− − -->
k
)
{\displaystyle k+(n-k)}
를
p
{\displaystyle p}
진법에서 계산할 때 받아올림 의 수와 같다.
뤼카의 정리 는 이항계수의 소수에 대한 나머지의 값을 제시한다.
중심 이항 계수
(
2
n
n
)
{\displaystyle \textstyle {\binom {2n}{n}}}
은
n
>
4
{\displaystyle n>4}
에 대하여 항상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 이다. 이를 에르되시 추측 (Erdős推測, 영어 : Erdős squarefree conjecture )라고 한다. 에르되시 팔 이 1980년에 추측하였고,[ 1] 앤드루 그랜빌(영어 : Andrew Granville )과 올리비에 라마레(프랑스어 : Olivier Ramaré )가 1996년에 증명하였다.[ 2]
임의의 양의 정수
d
∈ ∈ -->
Z
+
{\displaystyle d\in \mathbb {Z}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lim
N
→ → -->
∞ ∞ -->
|
{
n
<
N
: : -->
d
∣ ∣ -->
(
n
k
)
}
|
N
(
N
+
1
)
/
2
=
1
{\displaystyle \lim _{N\to \infty }{\frac {\left|\{n<N\colon d\mid {\binom {n}{k}}\}\right|}{N(N+1)/2}}=1}
N
(
N
+
1
)
/
2
=
∑ ∑ -->
n
=
0
N
− − -->
1
∑ ∑ -->
k
=
0
n
1
{\displaystyle \textstyle N(N+1)/2=\sum _{n=0}^{N-1}\sum _{k=0}^{n}1}
은
n
<
N
{\displaystyle n<N}
인 이항계수
(
n
k
)
{\displaystyle \textstyle {\binom {n}{k}}}
의 수이므로, 임의의 양의 정수는 거의 모든 이항계수를 약수로 가진다. 이는 데이비드 싱매스터(영어 : David Singmaster )가 1974년에 증명하였다.[ 3]
초한 이항 계수
이항 계수의 정의는 임의의 기수 에 대하여 확장할 수 있다. 임의의 기수
κ κ -->
,
λ λ -->
{\displaystyle \kappa ,\lambda }
에 대하여, 초한 이항 계수 (超限二項係數, 영어 : transfinite binomial coefficient )
(
κ κ -->
λ λ -->
)
{\displaystyle {\binom {\kappa }{\lambda }}}
는 크기가
κ κ -->
{\displaystyle \kappa }
인 집합의, 크기가
λ λ -->
{\displaystyle \lambda }
인 부분 집합 들의 수이다. 만약
κ κ -->
{\displaystyle \kappa }
와
λ λ -->
{\displaystyle \lambda }
가 둘 다 유한 기수라면 이는 자연수의 이항 계수의 정의와 일치한다.
초한 이항 계수의 값은 다음과 같다.
(
κ κ -->
λ λ -->
)
=
{
κ κ -->
λ λ -->
λ λ -->
≤ ≤ -->
κ κ -->
≥ ≥ -->
ℵ ℵ -->
0
0
λ λ -->
>
κ κ -->
(
n
k
)
k
=
λ λ -->
<
ℵ ℵ -->
0
,
n
=
κ κ -->
<
ℵ ℵ -->
0
{\displaystyle {\binom {\kappa }{\lambda }}={\begin{cases}\kappa ^{\lambda }&\lambda \leq \kappa \geq \aleph _{0}\\0&\lambda >\kappa \\{\binom {n}{k}}&k=\lambda <\aleph _{0},\;n=\kappa <\aleph _{0}\end{cases}}}
첫 번째 경우는
κ κ -->
λ λ -->
≤ ≤ -->
(
κ κ -->
λ λ -->
λ λ -->
)
=
(
κ κ -->
λ λ -->
)
≤ ≤ -->
κ κ -->
λ λ -->
{\displaystyle \kappa ^{\lambda }\leq {\binom {\kappa \lambda }{\lambda }}={\binom {\kappa }{\lambda }}\leq \kappa ^{\lambda }}
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첫 부등식은
λ λ -->
{\displaystyle \lambda }
개의, 크기가
κ κ -->
{\displaystyle \kappa }
인 집합들에서 각각 하나의 원소를 뽑는 것이다.)
특히, 중심 이항 계수는 다음과 같다.
(
2
κ κ -->
κ κ -->
)
=
(
κ κ -->
κ κ -->
)
=
2
κ κ -->
{\displaystyle {\binom {2\kappa }{\kappa }}={\binom {\kappa }{\kappa }}=2^{\kappa }}
초한 이항 계수의 경우, 유한 이항 계수에 대하여 성립하는 대칭성이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
κ κ -->
+
λ λ -->
λ λ -->
)
≠ ≠ -->
(
κ κ -->
+
λ λ -->
κ κ -->
)
{\displaystyle {\binom {\kappa +\lambda }{\lambda }}\neq {\binom {\kappa +\lambda }{\kappa }}}
예를 들어
(
1
+
ℵ ℵ -->
0
1
)
=
ℵ ℵ -->
0
{\displaystyle {\binom {1+\aleph _{0}}{1}}=\aleph _{0}}
(
1
+
ℵ ℵ -->
0
ℵ ℵ -->
0
)
=
2
ℵ ℵ -->
0
{\displaystyle {\binom {1+\aleph _{0}}{\aleph _{0}}}=2^{\aleph _{0}}}
이다.
응용
조합론
조합론에서, 이항 계수는 크기가
n
{\displaystyle n}
인 유한 집합 의 크기가
k
{\displaystyle k}
인 부분집합의 수이다. 즉,
n
{\displaystyle n}
개의 원소의
k
{\displaystyle k}
개의 조합 의 수이다. 이 밖에도, 이항계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조합론적 문제에 등장한다.
카탈랑 수
C
n
=
(
2
n
n
)
/
(
n
+
1
)
=
(
2
n
n
)
− − -->
(
2
n
n
+
1
)
{\displaystyle \textstyle C_{n}={\binom {2n}{n}}/(n+1)={2n \choose n}-{2n \choose n+1}}
는 다양한 조합론적 문제의 해이다.
크기가
n
{\displaystyle n}
인 집합에서, 크기가
k
{\displaystyle k}
인 중복집합 을 고를 수 있는 가짓수는
(
n
+
k
− − -->
1
k
)
{\displaystyle \textstyle {\binom {n+k-1}{k}}}
이다.
k
{\displaystyle k}
개의 기호
∙ ∙ -->
{\displaystyle \bullet }
및
n
{\displaystyle n}
개의 기호
∘ ∘ -->
{\displaystyle \circ }
를 포함하는 문자열의 수는
(
n
+
k
k
)
{\displaystyle \textstyle {\binom {n+k}{k}}}
이다. 또한,
∙ ∙ -->
∙ ∙ -->
{\displaystyle \bullet \bullet }
을 부분 문자열로 포함하지 않는 문자열의 수는
(
n
+
1
k
)
{\displaystyle \textstyle {\binom {n+1}{k}}}
이다.
대수학
이항 계수는 대수학에서 다음과 같이 이항급수 의 전개에 사용되며, "이항계수"라는 이름은 이로부터 유래한다.
(
x
+
y
)
n
=
∑ ∑ -->
k
=
0
n
(
n
k
)
x
n
− − -->
k
y
k
=
∑ ∑ -->
k
=
0
n
(
n
k
)
x
k
y
n
− − -->
k
{\displaystyle (x+y)^{n}=\sum _{k=0}^{n}{\binom {n}{k}}x^{n-k}y^{k}=\sum _{k=0}^{n}{\binom {n}{k}}x^{k}y^{n-k}}
통계학
통계학 에서, 이항 계수는 이항분포 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정수론
베르트랑의 공준 을 증명할 때, 중심 이항 계수의 성질로부터 시작한다. 또한, 중심 이항 계수는 아페리 상수
ζ ζ -->
(
3
)
{\displaystyle \zeta (3)}
가 무리수 임을 증명할 때 쓰이는 급수
ζ ζ -->
(
3
)
=
5
2
∑ ∑ -->
n
=
1
∞ ∞ -->
(
− − -->
1
)
n
+
1
n
3
(
2
n
n
)
{\displaystyle \zeta (3)={\frac {5}{2}}\sum _{n=1}^{\infty }{\frac {(-1)^{n+1}}{{n^{3}}{\binom {2n}{n}}}}}
에 등장한다.
역사
이항 계수는 파스칼의 삼각형 의 형태로 이미 중세 동서양 수학에 알려져 있었다. 오늘날 쓰이는 표기법
(
n
k
)
{\displaystyle \textstyle {\binom {n}{k}}}
은 안드레아스 프라이헤르 폰 에팅스하우젠(독일어 : Andreas Freiherr von Ettingshausen )이 1826년에 도입하였다.
같이 보기
각주
Graham, Ronald L.; Knuth, Donald E. ; Patashnik, Oren (1994). 《Concrete mathematics: a foundation for computer science》 (영어) 2판. Addison-Wesley Professional. ISBN 0-201-55802-5 . MR 1397498 . Zbl 0836.00001 .
Fowler, David (1996년 1월). “The binomial coefficient function”.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영어) 103 (1). doi :10.2307/2975209 . JSTOR 2975209 . Zbl 0857.05003 .
Goetgheluck, P. (1987년 4월). “Computing binomial coefficients”.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영어) 94 (4). doi :10.2307/2323099 . JSTOR 2323099 . Zbl 0617.05004 .
Granville, Andrew (1997). 〈Arithmetic properties of binomial coefficients. I: Binomial coefficients modulo prime powers〉 . J. Borwein, P. Borwein, L. Jörgenson, R. Corless. 《Organic mathematics. Proceedings of the Organic Mathematics Workshop, December 12-14, 1995, Simon Fraser University, Burnaby, British Columbia》 . Canadian Mathematical Society Conference Proceedings (영어) 20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53–276쪽. ISBN 978-0-8218-0668-5 . Zbl 0903.11005 .
Enochs, Edgar E. (2004). “Binomial coefficients” (PDF) . 《Boletín de la Asociación Matemática Venezolana》 (영어) 11 (1): 17–28. Zbl 1062.05007 .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