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등용사 묘법연화경(蔚山 登龍寺 妙法蓮華經)은 울산광역시 동구 등용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다. 2016년 2월 4일 울산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29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
『묘법연화경』은 법화사상의 핵심 경으로 예로부터 모든 경들 중의 경으로 인정받았고, 초기 대승경전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경으로『 화엄경』·『금강경』과 더불어 불교의 대표적 대승경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오신 뜻을 밝히는데 그 요지를 두고 있는 경전이다. 한국 불교계에서도 근본경전의 하나로서 예로부터 강원교육(講院敎育)의 하나인 대교과(大敎科)과목으로 채택되어 강의되고 있으며,『 화엄경』과 함께 한국불교 사상의 확립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흔히 약칭하여 『법화경(法華經)』이라고도 부른다.[1]
우리나라에 유통된 『묘법연화경』의 대부분은 406년에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3)에 의해서 번역된 한역본을 송나라 계환(戒環)이 1126년에 주석한『묘법연화경요해(妙法蓮華經要解)』7권본으로 알려져 있다.[1]
묘법연화경은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불교전적 가운데 가장 많은 판종수를 가지고 있어서 현재 대략 160여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들 판본은 크게‘ 성달생서본계(成達生書本系)’,‘ 갑인자본계(甲寅字本系)’,‘ 을해자본계(乙亥字本系)’,‘ 대자본계(大字本系)’,‘ 언해본(諺解本)’,‘ 독자판본(獨自板本)’의 여섯 가지 유형으로 가름된다.[1]
등용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묘법연화경』은 을해자본계에 속하며, 1531년 공산본사(公山本寺)에서 새긴 경판으로 찍은 목판본이다. 선장본 형태의 7권 7책 완본과 동일판본인 1권 1책으로, 총 8책이며 크기는36.2×24.0cm이다. 권두에는 변상도, <묘법연화경홍전서(妙法蓮華經弘傳序)> 주해 및 <묘법연화경요해서(妙法蓮華經要解序)>가 있다. 권말 간기는 없으나 변상도의 각수명(刻手名)이나 <묘법연화경홍전서> 첫 번째 장 하단 흑어미(黑魚尾) 안에 새겨진 글자와 같은 특징들로 보아 1531년 경상도 영천(永川) 공산본사에서 새긴 경판으로 찍은 것임을 알 수 있다.[1]
각주
- ↑ 가 나 다 라 마 울산광역시 고시 제2016-15호,《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지정 고시》, 울산광역시장, 2016-02-04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