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문도

왕문도
王文度
사망일 660년 9월(음력)
국적 당나라

왕문도(王文度, ? ~ 660년)는 당나라의 무장이다. 서돌궐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황제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민 탓에 제명당했다. 복귀한 후 초대 웅진도독이 되었으나 곧 병사하였다.

생애

645년(정관 19년) 제1차 여당전쟁이 일어나자 장량(張亮)의 수군에 부총관(副總管)으로 참여하였고, 비사성을 공략할 때 선봉에 서서 공을 세웠다.[1]

656년(현경 원년)[2] 총산도대총관(葱山道―) 좌위대장군 정지절(程知節)의 서돌궐 정벌에 부대총관이 되어 따라갔는데 전군총관 소정방이 대승을 거두었다. 왕문도가 그 공을 시기하여 정지절에게 건의하기를, “비록 이번에 승리를 거두기는 했지만 관군 역시 사상자가 많습니다. 지금부터 방진(方陣)을 짜서 치중대는 안쪽에 배치하고 갑옷을 갖춰 입은 채 수비하고 있어야 적이 와도 바로 응할 수 있어 만전을 기할 수 있습니다.”라 하였다. 또 황제로부터 ‘정지절이 자신의 용맹을 믿고 적을 가벼이 여기니 왕문도가 그를 절제시키라’는 명령을 별도로 받았다고 날조하였다. 정지절이 이에 넘어가서 더 깊이 행군하지 않았다.

종일토록 을 타고 임전태세로 대기하니 말들은 말라 죽고 병사들은 피폐해졌다. 소정방이 정지절에게 ‘오히려 패하게 생겼다며 왕문도의 모략인 것 같으니 그를 가두고 고종에게 아뢰자’고 주장했지만 시행되지 않았다. 한편 달독성(怛篤城)이 항복했다. 왕문도는 ‘우리가 당나라로 돌아가면 그들은 다시 적이 될 것이므로 모두 죽이고 재물을 취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에 소정방은 ‘스스로 도적이 되는 꼴이니 어찌 반적을 정벌한다고 할 수 있겠냐’며 반대했다. 이번에도 소정방의 의견은 무시되었다. 약탈한 재물을 분배할 때 소정방만이 유일하게 한푼도 취하지 않았다. 이후 귀환하자 왕문도는 죽을 가 당연했지만 서인으로만 강등되었다.

그 뒤 좌위중랑장(左衛中郞將)[3] 혹은 좌위랑장[4] 혹은 우위랑장(右―)[5]으로 복귀하였다. 660년 당나라가 백제정복한 후 설치한 웅진도독부의 초대 도독으로 파견되었다. 9월(음력) 삼년산성에서 신라태종무열왕에게 고종의 칙서와 하사품을 전하다가 의례를 채 마무리짓지 못하고 병사하였다.[6] 이후 백제 부흥운동은 더욱 거세졌다.

각주

  1. 책부원귀》117권 제왕부117 친정 제2 당태종 정관 19년. 《자치통감》197권 당기 제13 태종 정관 19년. 《자치통감》에는 왕대도(王大度)라 한 판본도 있다.
  2. 《구당서》4권 본기 제4 고종 이치上 현경 원년
  3. 《구당서》84권 열전 제34 유인궤, 《신당서》108권 열전 제33 유인궤
  4. 《신당서》220권 열전 제145 동이 백제
  5. 《구당서》199권上 열전 제149上 동이 백제
  6. 삼국사기》5권 신라본기 제5 태종무열왕 7년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