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
"악의 축"(Axis of Evil)은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관측에서의 변칙적 현상에 붙여진 이름으로, 이 변칙에 따르면 태양계의 궤도면에 특별한 지위가 부여되어 코페르니쿠스 원리를 위반하게 된다.
문제 개요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CMB)는 우주 전체 규모로 지구의 위치나 움직임이 특수성을 가지는지를 알아내는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WMAP과 플랑크 탐사선의 관측 결과, 예상하지 못한 이방성이 주목을 받았는데,[1] 우주의 맨 끝에서 발생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모습이 전혀 상관이 없을 황도면을 기준으로 차이가 난다는 것으로,[2][3] 구체적으로는 황도면의 위쪽이 아래쪽보다 약간 더 차가우며, 사중극과 팔중극이 몇 도 차이가 나지 않게 황도면에 정렬되어 있다.[4]
로렌스 크라우스는 2006년 Edge.org에서 이 문제에 대하여 언급하였다.[5]
하지만 CMB 지도를 보시면 관측된 구조가, 이상하게, 태양을 도는 지구의 평면과 관련성이 있습니다. 이게 코페르니쿠스가 돌아와서 우리를 겁주는 걸까요? 이거 참 미쳤습니다. 우리는 우주 전체를 보는 것이란 말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도는 운동과 우주의 구조가 연관이 있을 리가 없습니다. 우리가 정말 우주의 중심이라는 말밖에 되지 않으니까요.
전개
2005년의 한 연구에서, 비록 이후 수치를 잘못 계산하였음이 밝혀졌지만,[6][7][8] 이 변칙적 현상에 처음 "악의 축"이라는 이름을 붙였다.[9] 2013년 발표한 플랑크 위성의 자료에서 비등방성은 더 크게 나타났다.[10][11] 2020년 6월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같은 결과를 얻은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12][13][14]
CMB 비등방성에 대한 연구로는 수냐에프-젤도비치 효과를 사용하거나,[15] 비동질 우주 모델을 통해 설명하거나,[16] 지역에 국한된 현상으로 보는 것이 있다.[17] 일부에서는 플랑크 위성의 측광이 방향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어 관측의 편향으로 생긴 겉보기 편향이라고 주장한다.[18][19] 또한, 단순한 우연일 가능성도 있다. WMAP의 대표 과학자 찰스 L. 베넷은 심리적인 요인이 작용하며, "사람들은 특이한 것을 찾고 싶어한다"고 하였다.[20]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변칙적 현상에 대한 정설은 없으며,[21] 통계적인 중요성은 아직 분명하지 않다. 2014년 연구에서는 변칙 현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고 발표하였고,[22] 2016년 연구에서는 WMAP과 플랑크의 자료를 이용해 등방 및 비등방 우주를 비교하였는데, 우주가 비등방하다는 증거를 찾지 못하였다.[23]
같이 보기
각주
- ↑ Anthony Challinor (2012). “CMB anisotropy science: A review”.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8: 42–52. arXiv:1210.6008. Bibcode:2013IAUS..288...42C. doi:10.1017/S1743921312016663. S2CID 41756934.
- ↑ CERN Courier "Does the motion of the solar system affect the microwave sky? Archived 2006년 3월 22일 - 웨이백 머신"
- ↑ C. J. Copi; D. Huterer; D. J. Schwarz; G. D. Starkman (2006). “On the large-angle anomalies of the microwave sk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67 (1): 79–102. arXiv:astro-ph/0508047. Bibcode:2006MNRAS.367...79C. CiteSeerX 10.1.1.490.6391. doi:10.1111/j.1365-2966.2005.09980.x. S2CID 6184966. preprint
- ↑ Sutter, Paul (2017년 7월 29일). “The (Cosmological) Axis of Evil”. 《Space.com》.
- ↑ “The Energy of Empty Space That Isn't Zero”. 《www.edge.org》 (영어). 2006년 5월 7일. 2018년 8월 5일에 확인함.
- ↑ Liu, Hao; Li, Ti-Pei (2009). “Improved CMB Map from WMAP Data”. arXiv:0907.2731v3 [astro-ph].
- ↑ Sawangwit, Utane; Shanks, Tom (2010). “Lambda-CDM and the WMAP Power Spectrum Beam Profile Sensitivity”. arXiv:1006.1270v1 [astro-ph].
- ↑ Liu, Hao; 외. (2010). “Diagnosing Timing Error in WMAP Data”.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3 (1): L96–L100. arXiv:1009.2701. Bibcode:2011MNRAS.413L..96L. doi:10.1111/j.1745-3933.2011.01041.x. S2CID 118739762.
- ↑ Land, Kate; João Magueijo, João (2005). “Examination of Evidence for a Preferred Axis in the Cosmic Radiation Anisotropy”. 《Physical Review Letters》 95 (7): 071301. arXiv:astro-ph/0502237. Bibcode:2005PhRvL..95g1301L. doi:10.1103/PhysRevLett.95.071301. PMID 16196772.
- ↑ Planck Collaboration (2013). “Planck 2013 results. XXIII. Isotropy and statistics of the CMB”. 《Astronomy & Astrophysics》 571 (27): A23. arXiv:1303.5083. Bibcode:2014A&A...571A..23P. doi:10.1051/0004-6361/201321534. S2CID 13037411.
- ↑ Michael Brooks (2016년 4월 30일). “That's odd: Axis of evil stretches across the cosmos”. 《New Scientist》.
- ↑ Shamir, Lior (2020년 5월 27일). “Multipole alignment in the large-scale distribution of spin direction of spiral galaxies”. arXiv:2004.02963 [astro-ph.GA].
- ↑ “K-State study reveals asymmetry in spin directions of galaxies, suggests early universe could have been spinning | Kansas State University | News and Communications Services”. 《www.k-state.edu》. 2020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 Starr, Michelle. “Patterns Formed by Spiral Galaxies Suggest The Universe's Structure Isn't Totally Random”. 《ScienceAlert》 (영국 영어). 2020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 Zhang, Pengjie; Stebbins, Albert (2011). “Confirmation of the Copernican Principle at Gpc Radial Scale and above from the Kinetic Sunyaev-Zel'dovich Effect Power Spectrum”. 《Physical Review Letters》 107 (4): 041301. arXiv:1009.3967. Bibcode:2011PhRvL.107d1301Z. doi:10.1103/PhysRevLett.107.041301. ISSN 0031-9007. PMID 21866989. S2CID 17627683.
- ↑ Buckley, Robert G.; Schlegel, Eric M. (2013). “CMB dipoles and other low-order multipoles in the quasispherical Szekeres model”. 《Physical Review D》 87 (2): 023524. arXiv:1907.08684. Bibcode:2013PhRvD..87b3524B. doi:10.1103/PhysRevD.87.023524. ISSN 1550-7998. S2CID 124552647.
- ↑ Hansen, M.; Kim, J.; Frejsel, A.M.; Ramazanov, S.; Naselsky, P.; Zhao, W.; Burigana, C. (2012). “Can residuals of the solar system foreground explain low multipole anomalies of the CMB?”. 《Journal of Cosmology and Astroparticle Physics》 2012 (10): 059. arXiv:1206.6981. Bibcode:2012JCAP...10..059H. doi:10.1088/1475-7516/2012/10/059. ISSN 1475-7516. S2CID 118396636.
- ↑ Copi, Craig J.; Huterer, Dragan; Schwarz, Dominik J.; Starkman, Glenn D. (2010). “Large-angle anomalies in the CMB”. 《Advances in Astronomy》 2010: 1–17. arXiv:1004.5602. Bibcode:2010arXiv1004.5602C. doi:10.1155/2010/847541. ISSN 1687-7969. S2CID 13823900.
- ↑ Copi, Craig J.; Huterer, Dragan; Schwarz, Dominik J.; Starkman, Glenn D. (2007년 1월 8일). “The Uncorrelated Universe: Statistical Anisotropy and the Vanishing Angular Correlation Function in WMAP Years 1-3”. 《Physical Review D》 75 (2): 023507. arXiv:astro-ph/0605135. Bibcode:2007PhRvD..75b3507C. doi:10.1103/PhysRevD.75.023507. ISSN 1550-7998. S2CID 15702227.
- ↑ “Found: Hawking's initials written into the universe”. 《New Scientist》 (미국 영어). 2010년 2월 7일.
- ↑ Santos, L.; Cabella, P.; Villela, T.; Zhao, W. (2015년 10월 5일). “Influence of Planck foreground masks in the large angular scale quadrant CMB asymmetry”. 《Astronomy & Astrophysics》 584: A115. arXiv:1510.01009. Bibcode:2015A&A...584A.115S. doi:10.1051/0004-6361/201526713. ISSN 0004-6361. S2CID 119028545.
- ↑ Rassat, A.; Starck, J.-L.; Paykari, P.; Sureau, F.; Bobin, J. (2014년 8월 4일). “Planck CMB Anomalies: Astrophysical and Cosmological Secondary Effects and the Curse of Masking”. 《Journal of Cosmology and Astroparticle Physics》 2014 (8): 006. arXiv:1405.1844. Bibcode:2014JCAP...08..006R. doi:10.1088/1475-7516/2014/08/006. ISSN 1475-7516. S2CID 119095714.
- ↑ Saadeh, Daniela; Feeney, Stephen M.; Pontzen, Andrew; Peiris, Hiranya V.; McEwen, Jason D. (2016년 9월 21일). “How isotropic is the Universe?”. 《Physical Review Letters》 117 (13): 131302. arXiv:1605.07178. Bibcode:2016PhRvL.117m1302S. doi:10.1103/PhysRevLett.117.131302. ISSN 0031-9007. PMID 27715088. S2CID 453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