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톨리 이바노비치 샵신 |
---|
로마자 표기 | Anatoly Ivanovich Shabshin |
---|
출생 | 1910년 10월 15일 |
---|
사망 | 1967년 1월 15일 |
---|
성별 | 남성 |
---|
국적 | 소비에트 연방 |
---|
경력 | 서울의 소련 영사관 부영사 |
---|
직업 | 군인, 외교관 |
---|
아나톨리 이바노비치 샵신(러시아어: Анатолий Иванович Шабшин, 1910년 10월 15일 ~ 1967년 1월 15일)은 소비에트 연방의 군인이자 외교관이다. 8.15 해방 전후 시기에 서울의 소련 영사관 부영사로 근무하며 대한민국 내 공산주의자들의 활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1]
생애
MGB 요원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한반도에서 서울 주재 소련총영사관의 부영사라는 대외직명을 가지고 활동하였다.[2] 1939년 경성부에 개설된 소련총영사관은 일제가 패망한 이후에도 유지되었으며, 해방 당시 서울 주재 소련 영사는 알렉산드르 폴랸스키(Alexander Sergeievitch Polianski, 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Полянский)였다.[3][4][5] 샵신은 1940년 소련총영사관으로 부임 이곳에 근무하며 조선을 깊이 연구하였다 한다. 한글을 배워 한국어 대화에도 능통해 최초의 '러-조 사전'을 편찬하기도 했다.[2] 북한 소련 군정의 총지휘자 스티코프는 항상 샵신만큼 조선을 잘 아는 사람을 지금까지 본일이 없다며 칭찬하기도 했다.[2]
소련 군정청 출범 이후 샵신은 경성부와 평양부를 왕래하며 미군정하에 있는 남한의 정세를 니콜라이 레베데프에게 보고하고 레베데프의 지시에 따라 남한에서 조선공산당을 조종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2] 일제 강점기 때부터 지하에서 활동하던 조선공산당 총수 겸 책임비서 박헌영과도 수시로 연락을 주고받았다.[2] 1945년 8월 일본 제국이 패망한 직후 박헌영은 한반도 정책을 놓고 샵신을 찾아와 대책을 협의하였다. 서울의 소련 영사관은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을 계기로 1946년 7월 2일 폐쇄되고[6][7][8][9], 이때 샵신도 서울을 떠났다.[10] 그 후 그는 평양으로 가서 북한 주재 소련군 사령부 정치위원이 되었다고 한다.[11] 평양에서 그의 직책은 미소공위 소련대표단의 일원이며 소련군사령부의 정치고문인 발라사노프(Gerasim M. Balasanov)의 부관이었다.[12]
소련 총영사관 도서실장 파냐 이삭코브나 샵시나(Фаня Исааковна Шабшина, Fanya Isaakovna Shabshina, 1906 ~ 1998)[13][14]는 샵신의 배우자로 나중에 소련으로 귀국한 뒤 한국에 대한 책들을 출간하여, 러시아의 '한국학의 대모'(代母)로 불렸다.[2][15][16]
샵신은 믿는 한국인 친구에게 자신이 조선공산당을 통제하고 있으며 박헌영은 자신의 심복(henchman)이라는 사실을 밝혔다고 한다.[17] 샵신은 직급이 높다고 볼 수 없지만 그보다 10살이나 위인 박헌영을 비롯한 남한의 공산주의자들을 배후에서 조종하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1]
1945년 8.15 해방 직후 소련이 북한 지도자 감을 물색할 때 소련의 극동군 사령부와 NKVD(KGB 전신)는 88국제여단의 김일성을 밀고, 샵신의 추천을 받은 외무성 쪽은 박헌영을 밀었다고 한다.[18][19] 스탈린은 추천이 올라 온 두 사람 중 김일성을 9월초 모스크바로 불러 면담을 한 후 그를 지도자로 결정하였다. 하지만 박헌영 측의 이의 제기로 1946년 7월 초 두 사람을 모두 모스크바로 불러 면접 시험을 다시 보게되는데,[20][21] 이때 박헌영의 통역을 샵신의 부인 샵시나가 맡았다고 한다.[22][23] 스탈린은 지도자를 바꿀 마음이 없었기 때문에 김일성을 그대로 지도자로 임명하였고, 이 면접 시험은 박헌영의 불만을 달래기 위한 요식 행위에 지나지 않았다.
샵신(Anatoli I. Shabshin)의 본명은 쿨리코프(Куликов, Kulikov)였고, 따라서 아내 샵시나(F. I. Shabshina, Шабшина Фаня Исааковна)의 본명은 쿨리코바(Куликова, Kulikova)였다.
샵시나의 저서
각주
- ↑ 가 나 김학준, 광복50주년 특집 해방공간의 주역 〈12〉 蘇(소) 부영사 샤브신 : 朴憲永(박헌영) 조종 신탁지지 이끌어 1995.10.31. 동아일보 7면
- ↑ 가 나 다 라 마 바 (광복 5년사 쟁점 재조명)<1부> ⑬소련은 왜 일사불란했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동아일보 2004-11-14
- ↑ 주한미군사 2 > 2부. 4장. 점령 첫 해의 미소관계(American-Soviet Relations, The First Year) > 소련영사관(The Soviet Consul)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Dae-Sook Suh 편집, Korean Studies: New Pacific Currents p.53 : The Fate of the Soviet Consulate in Seoul
- ↑ 孫世一의 비교 評傳 (76)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李承晩과 金九 : 朝鮮人民共和國의 主席과 內務部長 월간조선 2010년 7월호
- ↑ 주한미군사 2 > 2부. 4장. 점령 첫 해의 미소관계(American-Soviet Relations, The First Year) > 연락의 유지 > 소련 영사관의 폐쇄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한민족독립운동사 11권 한민족독립운동의 기본흐름 > 10. 대한민국의 수립 > 4)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때로부터 제2차 공동위원회가 열리기 전까지 미군정의 정책과 우리겨레의 대응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서울中(중)구貞(정)동에 남아있는 러시아공사관의 탑부분 1978.05.26. 경향신문 5면 : 소련측은 美·蘇共委 休會(미·소공위 휴회) 후인 1946년 6월 24일 해방후 서울에 설치했던 영사관을 폐쇄했다. 소련의 서울 영사관 폐쇄는 미국이 소련 점령 지역인 平壤(평양)에 미국영사관의 開設(개설)을 요구한데 대한 간접적인 反對(반대)회답이었다.
- ↑ 蘇領事舘閉鎻(소영사관폐쇄) 間牒(간첩)니코라이夫妻追放(부처추방) 1949.09.07. 동아일보 1면 : 영사관 폐쇄 후에도 건물은 소련인들이 쓰고 있었던 것 같음.
- ↑ RG 338, Records of United States Army Force in Korea, Lt. Gen. John R. Hodge Official File, 1944-48, Entry No. 11070, Box 70, 032.1 Congress 1, etc. (5 of 8) p.113에 부영사 샵신은 6월 30일, 총영사 폴랸스키는 7월 2일에 서울을 떠났다고 나옴.
- ↑ 國史館論叢 第103輯> 조선민주애국청년동맹의 노선과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추진운동(김행선) > Ⅲ.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추진 및 구국운동 > 3. 8·15 2주년 기념시민대회 추진과 대검거사건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孫世一의 비교 評傳 (90)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 - 李承晩과 金九 : 總罷業과 都市暴動과 슈티코프의 지령 월간조선 2011년 10월호
- ↑ ru: Шабшина, Фаня Исааковна 러시아어 Wikipedia : 구글 영역 Shabshina, Fanya Isaakovna
- ↑ ШАБШИНА (Куликова) Фаня Исааковна : 구글 영역 Shabshina (Kulikova) Fanya Isaakovna
- ↑ 1945년 남한에서: 어느 러시아 지성이 쓴 역사현장 기록 / 파냐 이사악꼬브나 샵시나 저; 김명호 역. 서울: 한울, 1996.
식민지 조선에서 : 어느 러시아 지성이 쓴 역사현장 기록 / 파냐 이사악꼬브나 샵시나 지음; 김명호 옮김; 서울 : 한울, 1996.3
- ↑ F. 샤브시나 꿀리꼬바, (역사인물 회고) 소련의 여류 역사학자가 만난 박헌영 Archived 2018년 6월 16일 - 웨이백 머신 서울 : 역사비평사, 1994
- ↑ 주한미군사 2 > 2부. 1장. 한국의 정치와 사람들, 첫 6개월 > 2. 공산당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소정치장교 / 입북전 김일성 「면접」(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 중앙일보 1991.08.19 종합 5면
- ↑ 박헌영의 정치노선:상(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7) 중앙일보 1992.02.06 종합 11면
박헌영의 정치노선:하/소의 「찬탁」지지에 겉으로만 따르는 척/남쪽 정세 불리하자 김일성 지지 선회“중위세력손잡고 사회주의로 통일”(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8) 중앙일보 1992.02.10 종합 11면
박헌영 스탈린에 김일성 비판편지(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80) 중앙일보 1992.07.23 종합 11면
- ↑ 비록(秘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상, 하 2권 (중앙일보 특별취재반, 중앙일보사, 1992) - 상권 pp.326~327. 당시 평양의 소련군정은 서울에 있던 박헌영을 비밀리에 평양으로 데려갔고, 소련군정을 총지휘하는 연해주군관구 사령관이었던 메레츠코프(Kirill Meretskov, 1897-1968) 원수가 보로쉴로프(현 우수리스크)에서 비밀리에 비행기로 평양으로 날아와 김일성과 박헌영을 태우고 모스크바로 갔다고 한다.
- ↑ 박병엽 구술, 유영구, 정창현 엮음, 《김일성과 박헌영 그리고 여운형 - 전 노동당 고위간부가 본 비밀회동》 (선인, 2010) p.70 : 김일성과 박헌영의 4차 회동이 1946년 6월 27일~ 7월 12일경까지 평양과 모스크바에서 이루어졌다고 했다. 이때 박헌영과 김일성에 대한 스탈린의 면접 시험이 있었다.
- ↑ 1946년 김일성의 소련 첫 방문/바실리 V 레베데프 고려대 사학과 석사 서울신문 2019.05.14.
- ↑ 새 교과서들이 덮어준 '김일성과 북한의 8대 치부' NewDaily 2011.04.0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