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톨리 샵신

아나톨리 이바노비치 샵신
로마자 표기Anatoly Ivanovich Shabshin
출생1910년 10월 15일
사망1967년 1월 15일
성별남성
국적소비에트 연방
경력서울의 소련 영사관 부영사
직업군인, 외교관

아나톨리 이바노비치 샵신(러시아어: Анатолий Иванович Шабшин, 1910년 10월 15일 ~ 1967년 1월 15일)은 소비에트 연방의 군인이자 외교관이다. 8.15 해방 전후 시기에 서울의 소련 영사관 부영사로 근무하며 대한민국 내 공산주의자들의 활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1]

생애

MGB 요원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한반도에서 서울 주재 소련총영사관의 부영사라는 대외직명을 가지고 활동하였다.[2] 1939년 경성부에 개설된 소련총영사관은 일제가 패망한 이후에도 유지되었으며, 해방 당시 서울 주재 소련 영사는 알렉산드르 폴랸스키(Alexander Sergeievitch Polianski, 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Полянский)였다.[3][4][5] 샵신은 1940년 소련총영사관으로 부임 이곳에 근무하며 조선을 깊이 연구하였다 한다. 한글을 배워 한국어 대화에도 능통해 최초의 '러-조 사전'을 편찬하기도 했다.[2] 북한 소련 군정의 총지휘자 스티코프는 항상 샵신만큼 조선을 잘 아는 사람을 지금까지 본일이 없다며 칭찬하기도 했다.[2]

소련 군정청 출범 이후 샵신은 경성부평양부를 왕래하며 미군정하에 있는 남한의 정세를 니콜라이 레베데프에게 보고하고 레베데프의 지시에 따라 남한에서 조선공산당을 조종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2] 일제 강점기 때부터 지하에서 활동하던 조선공산당 총수 겸 책임비서 박헌영과도 수시로 연락을 주고받았다.[2] 1945년 8월 일본 제국이 패망한 직후 박헌영은 한반도 정책을 놓고 샵신을 찾아와 대책을 협의하였다. 서울의 소련 영사관은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을 계기로 1946년 7월 2일 폐쇄되고[6][7][8][9], 이때 샵신도 서울을 떠났다.[10] 그 후 그는 평양으로 가서 북한 주재 소련군 사령부 정치위원이 되었다고 한다.[11] 평양에서 그의 직책은 미소공위 소련대표단의 일원이며 소련군사령부의 정치고문인 발라사노프(Gerasim M. Balasanov)의 부관이었다.[12]

소련 총영사관 도서실장 파냐 이삭코브나 샵시나(Фаня Исааковна Шабшина, Fanya Isaakovna Shabshina, 1906 ~ 1998)[13][14]는 샵신의 배우자로 나중에 소련으로 귀국한 뒤 한국에 대한 책들을 출간하여, 러시아의 '한국학의 대모'(代母)로 불렸다.[2][15][16]

샵신은 믿는 한국인 친구에게 자신이 조선공산당을 통제하고 있으며 박헌영은 자신의 심복(henchman)이라는 사실을 밝혔다고 한다.[17] 샵신은 직급이 높다고 볼 수 없지만 그보다 10살이나 위인 박헌영을 비롯한 남한의 공산주의자들을 배후에서 조종하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1]

1945년 8.15 해방 직후 소련이 북한 지도자 감을 물색할 때 소련의 극동군 사령부와 NKVD(KGB 전신)는 88국제여단김일성을 밀고, 샵신의 추천을 받은 외무성 쪽은 박헌영을 밀었다고 한다.[18][19] 스탈린은 추천이 올라 온 두 사람 중 김일성을 9월초 모스크바로 불러 면담을 한 후 그를 지도자로 결정하였다. 하지만 박헌영 측의 이의 제기로 1946년 7월 초 두 사람을 모두 모스크바로 불러 면접 시험을 다시 보게되는데,[20][21] 이때 박헌영의 통역을 샵신의 부인 샵시나가 맡았다고 한다.[22][23] 스탈린은 지도자를 바꿀 마음이 없었기 때문에 김일성을 그대로 지도자로 임명하였고, 이 면접 시험은 박헌영의 불만을 달래기 위한 요식 행위에 지나지 않았다.

샵신(Anatoli I. Shabshin)의 본명은 쿨리코프(Куликов, Kulikov)였고, 따라서 아내 샵시나(F. I. Shabshina, Шабшина Фаня Исааковна)의 본명은 쿨리코바(Куликова, Kulikova)였다.

샵시나의 저서

각주

  1. 김학준, 광복50주년 특집 해방공간의 주역 〈12〉 蘇(소) 부영사 샤브신 : 朴憲永(박헌영) 조종 신탁지지 이끌어 1995.10.31. 동아일보 7면
  2. (광복 5년사 쟁점 재조명)<1부> ⑬소련은 왜 일사불란했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동아일보 2004-11-14
  3. 주한미군사 2 > 2부. 4장. 점령 첫 해의 미소관계(American-Soviet Relations, The First Year) > 소련영사관(The Soviet Consul)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4. Dae-Sook Suh 편집, Korean Studies: New Pacific Currents p.53 : The Fate of the Soviet Consulate in Seoul
  5. 孫世一의 비교 評傳 (76)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李承晩과 金九 : 朝鮮人民共和國의 主席과 內務部長 월간조선 2010년 7월호
  6. 주한미군사 2 > 2부. 4장. 점령 첫 해의 미소관계(American-Soviet Relations, The First Year) > 연락의 유지 > 소련 영사관의 폐쇄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7. 한민족독립운동사 11권 한민족독립운동의 기본흐름 > 10. 대한민국의 수립 > 4)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때로부터 제2차 공동위원회가 열리기 전까지 미군정의 정책과 우리겨레의 대응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8. 서울中(중)구貞(정)동에 남아있는 러시아공사관의 탑부분 1978.05.26. 경향신문 5면 : 소련측은 美·蘇共委 休會(미·소공위 휴회) 후인 1946년 6월 24일 해방후 서울에 설치했던 영사관을 폐쇄했다. 소련의 서울 영사관 폐쇄는 미국이 소련 점령 지역인 平壤(평양)에 미국영사관의 開設(개설)을 요구한데 대한 간접적인 反對(반대)회답이었다.
  9. 蘇領事舘閉鎻(소영사관폐쇄) 間牒(간첩)니코라이夫妻追放(부처추방) 1949.09.07. 동아일보 1면 : 영사관 폐쇄 후에도 건물은 소련인들이 쓰고 있었던 것 같음.
  10. RG 338, Records of United States Army Force in Korea, Lt. Gen. John R. Hodge Official File, 1944-48, Entry No. 11070, Box 70, 032.1 Congress 1, etc. (5 of 8) p.113에 부영사 샵신은 6월 30일, 총영사 폴랸스키는 7월 2일에 서울을 떠났다고 나옴.
  11. 國史館論叢 第103輯> 조선민주애국청년동맹의 노선과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추진운동(김행선) > Ⅲ.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추진 및 구국운동 > 3. 8·15 2주년 기념시민대회 추진과 대검거사건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2. 孫世一의 비교 評傳 (90) 한국 민족주의의 두 類型 - 李承晩과 金九 : 總罷業과 都市暴動과 슈티코프의 지령 월간조선 2011년 10월호
  13. ru: Шабшина, Фаня Исааковна 러시아어 Wikipedia : 구글 영역 Shabshina, Fanya Isaakovna
  14. ШАБШИНА (Куликова) Фаня Исааковна : 구글 영역 Shabshina (Kulikova) Fanya Isaakovna
  15. 1945년 남한에서: 어느 러시아 지성이 쓴 역사현장 기록 / 파냐 이사악꼬브나 샵시나 저; 김명호 역. 서울: 한울, 1996.
    식민지 조선에서 : 어느 러시아 지성이 쓴 역사현장 기록 / 파냐 이사악꼬브나 샵시나 지음; 김명호 옮김; 서울 : 한울, 1996.3
  16. F. 샤브시나 꿀리꼬바, (역사인물 회고) 소련의 여류 역사학자가 만난 박헌영 Archived 2018년 6월 16일 - 웨이백 머신 서울 : 역사비평사, 1994
  17. 주한미군사 2 > 2부. 1장. 한국의 정치와 사람들, 첫 6개월 > 2. 공산당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8. 소정치장교 / 입북전 김일성 「면접」(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 중앙일보 1991.08.19 종합 5면
  19. 박헌영의 정치노선:상(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7) 중앙일보 1992.02.06 종합 11면
    박헌영의 정치노선:하/소의 「찬탁」지지에 겉으로만 따르는 척/남쪽 정세 불리하자 김일성 지지 선회“중위세력손잡고 사회주의로 통일”(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8) 중앙일보 1992.02.10 종합 11면
    박헌영 스탈린에 김일성 비판편지(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80) 중앙일보 1992.07.23 종합 11면
  20. 비록(秘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상, 하 2권 (중앙일보 특별취재반, 중앙일보사, 1992) - 상권 pp.326~327. 당시 평양의 소련군정은 서울에 있던 박헌영을 비밀리에 평양으로 데려갔고, 소련군정을 총지휘하는 연해주군관구 사령관이었던 메레츠코프(Kirill Meretskov, 1897-1968) 원수가 보로쉴로프(현 우수리스크)에서 비밀리에 비행기로 평양으로 날아와 김일성과 박헌영을 태우고 모스크바로 갔다고 한다.
  21. 박병엽 구술, 유영구, 정창현 엮음, 《김일성과 박헌영 그리고 여운형 - 전 노동당 고위간부가 본 비밀회동》 (선인, 2010) p.70 : 김일성과 박헌영의 4차 회동이 1946년 6월 27일~ 7월 12일경까지 평양과 모스크바에서 이루어졌다고 했다. 이때 박헌영과 김일성에 대한 스탈린의 면접 시험이 있었다.
  22. 1946년 김일성의 소련 첫 방문/바실리 V 레베데프 고려대 사학과 석사 서울신문 2019.05.14.
  23. 새 교과서들이 덮어준 '김일성과 북한의 8대 치부' NewDaily 2011.04.0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