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사망률(neonatal mortality)이란 생후 28일 미만의 영아의 사망률을 말하고 통상 출생 1, 000에 대한 신생아 사망수의 비율로 표시한다. 특히 생후 1주미만의 사망률을 조기 신생아 사망률이라고 한다.[1] 임신 기간 중 산모의 영양이 결핍되면 대사성임신중독증, 태반조기발견, 각종 감염, 빈혈, 임신소모, 조기분만, 자연분만 또는 난산의 가능성이 많아지며, 신생아에게는 사산, 지체중아, 조산아, 각종 감염증, 저혈종증, 출산시장애 등의 막대한 건강손실을 갖고 올 수 있다. 한국에서 1970년을 시점으로 할 때 신생아 사망률은 의술의 발달, 모자보건, 적은 자녀수, 환경의 개선, 건강보험, 경제적 안정 등의 이유로 많이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2]
한국의 신생아 사망률 통계
2000-2019 대한민국의 신생아 사망률 (출처: 유엔[3])
연도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
2014
|
2013
|
2012
|
2011
|
2010
|
2009
|
2008
|
2007
|
2006
|
2005
|
2004
|
2003
|
2002
|
2001
|
2000
|
신생아 사망률
|
1.50
|
1.60
|
1.60
|
1.60
|
1.60
|
1.70
|
1.70
|
1.70
|
1.70
|
1.80
|
1.80
|
1.90
|
2.00
|
2.20
|
2.40
|
2.60
|
2.80
|
3.00
|
3.20
|
3.40
|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