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카 다항식
수학에서 뤼카 다항식(영어: Lucas polynomials)은 에두아르 뤼카의 이름을 딴 다항식열이다. 피보나치 다항식과 점화식이 같다. 뤼카 수(영어: Lucas numbers, Lucas series)는 뤼카 다항식에 1을 대입하여 얻는 정수열이다. 피보나치 수와 점화식이 같다.
정의
제2종 뤼카 수열을 로 쓰자.
뤼카 다항식
뤼카 다항식 은 와 같다. 즉,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뤼카 수
뤼카 수 은 와 같다. 즉,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처음 몇 뤼카 수는 다음과 같다.
- 2, 1, 3, 4, 7, 11, 18, 29, 47, 76, 123, 199, 322, 521, 843, ... (OEIS의 수열 A000032)
위 점화식을 음수 에게도 적용하여 뤼카 수를 확장할 수 있다. 이 경우 0번째, -1번째, ... 뤼카 수는 다음과 같다.
- 1, 2, -1, 3, -4, 7, -11, 18, -29, 47, -76, 123, -199, 322, -521, ... (OEIS의 수열 A061084)
성질
일반항
뤼카 다항식의 일반항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바닥 함수이다. 특히 뤼카 수의 일반항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황금비이다.
항등식
다음과 같은 항등식이 성립한다.
생성 함수
뤼카 다항식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특히 뤼카 수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뤼카 소수
뤼카 소수(영어: prime Lucas numbers)는 다음과 같다.
- 2, 3, 7, 11, 29, 47, 199, 521, 2207, 3571, 9349, 3010349, 54018521, 370248451, 6643838879, ... (OEIS의 수열 A000032)
뤼카 소수의 첨수는 다음과 같다.
- 0, 2, 4, 5, 7, 8, 11, 13, 16, 17, 19, 31, 37, 41, 47, ... (OEIS의 수열 A001606)
뤼카 소수의 첨수는 항상 0이거나 소수이거나 2의 거듭제곱이다. 뤼카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추측이 있다.[1]
역사
프랑스 수학자 에두아르 뤼카의 이름을 땄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