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차

돈차
종류후발효차

다른 이름전차, 청태전
원산지한국

특징주화 모양을 띤 후발효차

신선한 모습을 띤 돈차

돈차(돈茶)는 주화 모양으로 생긴 한국후발효차로 떡차(병차, 餠茶)의 일종이다. 전차(錢茶)라고 부르기도 하며 발효된 찻잎이 푸른 이끼가 낀 주화처럼 생겼다고 해서 청태전(靑苔錢)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2] 주로 대한민국 전라남도 장흥군에서 재배된다.[3][4]

역사

세종실록 지리지》, 《동국여지승람》, 《경세유표》를 비롯한 여러 문헌에서 신라 말기에 보림사에서 처음으로 돈차가 재배되었다는 기록이 전한다.[3] 보림사가 위치한 전라남도 장흥군은 고려, 조선 시대에 한국의 문화의 거점으로 여겨졌다. 특히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전국 19개소의 다소(茶所, 차(茶)를 생산하는 곳) 가운데 13개소가 전라도 장흥도호부(長興都護府)에 존재한다는 기록이 전한다.[5][4]

제조 과정

돈차에 사용되는 찻잎은 5월에 한반도 남부 연안에서 서식하는 야생 차나무의 잎을 손으로 채취한 것이다.[6] 찻잎을 볶는 방식은 한국에서 흔한 차 가공 방식이지만 돈차는 찻잎을 찌는 방식에서 시작한다.

가장 먼저 수확한 지 12시간이 지난 찻잎을 시루가마솥에서 찐다.[4][6] 찐 찻잎은 절구에 찧거나 맷돌에 갈아서 만든 다음에 둥근 덩어리 모양으로 빚는다.[3] 둥근 찻잎 덩어리는 햇빛에 말리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찻잎 덩어리의 가운데에 구멍이 생기면서 엽전과 비슷한 모양을 띠게 된다.[6] 돈차는 적어도 6개월 동안 발효하는데 비록 20년 이상 발효되더라도 풍부한 맛과 향기를 띠는 데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6]

준비

약 7 ~ 9그램 상당의 돈차 덩어리는 한 번에 500 ~ 600 밀리리터 정도를 담을 수 있다. 돈차 덩어리는 가끔 소비하기 전에 양쪽에서 낮은 열에 볶는다.[3][6] 찻잎을 볶는 것은 찻잎의 살균 뿐만 아니라 차의 독특한 향과 맛을 띠는 데에 도움이 된다.[3] 돈차는 서너번 정도 다시 담그면 향과 맛을 유지한다.[4] 돈차는 85 ~ 95℃ 사이의 물에서 5 ~ 10분 정도 우린다.

한의학에서의 사용

한의학에서는 돈차가 복통 예방, 해독 작용, 발열 완화, 변비 예방, 감기 증상의 관리와 같이 약한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여겨진다.[4][6]

각주

  1. “돈차(-茶)”.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20년 9월 13일에 확인함. 
  2. 김용기 (2013년 10월 3일). “장흥 발효차 청태전 ‘맛의 방주’ 등재”. 《광주일보. 2017년 3월 21일에 확인함. 
  3. “[국내여행]그 분을 만나러 가는 여행…장흥돈차 청태전 복원 주인공 ‘김수희’”. 매일경제신문. 2014년 4월 9일. 2017년 3월 22일에 확인함. 
  4. “Don Tea”. 《슬로 푸드 재단 (Slow Food Foundation)》. 2017년 3월 22일에 확인함. 
  5.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 전라도 장흥도호부 기사: (장흥도호부는) 향(鄕)이 6이니, 도내산(徒內山)·아서(阿西)·어산(語山)·유치(有恥)·안양(安壤)·가을전(加乙田, 갈밭)이요, 다소(茶所)가 13이니 요량(饒良)·수태(守太)·칠백유(七百乳)·정산(井山)·가을평(加乙坪)·운고(雲高)·정화(丁火)·창거(昌居)·향여(香餘)·웅점(熊岾)·가좌(加佐)·거개(居開)·안칙곡(安則谷)이다. (鄕六, 徒內山, 阿西, 語山, 有恥, 安壤, 加乙田. 茶所十三, 饒良, 守太, 七百乳, 井山, 加乙坪, 雲高, 丁火, 昌居, 香餘, 熊岾, 加佐, 居開, 安則谷.)
  6. “[오늘의 세상] '맛의 방주(사라질 위기에 처한 먹거리를 보존하려 만든 목록)'에 오른 돈차(엽전 모양으로 빚은 茶(차))·烏鷄(오계)(온몸이 검은 닭)… 한국 토종 먹거리의 재발견”. 조선일보. 2013년 10월 2일. 2017년 3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