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자재천

대자재천(大自在天)은 불교 신화에 나오는 윤회의 세 영역을 모두 다스리는 통치자이다. 그는 또한 팔리어 문헌에서 때때로 사발로카디파티 데바(Sabbalokādhipatī Devā)라고도 불린다. 그의 주된 임무는 영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으로, 대자재천은 때때로 보살로 묘사되기도 한다.

이름

마혜수라(摩醯首羅)  · 마혜수라천(摩醯首羅天) · 마혜습벌라(摩醯濕伐羅) 또는 막혜이습벌라(莫醯伊濕伐羅)라고도 음역하며, 대자재(大自在) · 자재천(自在天) · 자재천주(自在天王) 또는 천주(天主)라고도 의역한다. 또는 상갈라(商羯羅, 산스크리트어: Śaṅkara) 혹은 이사나(伊舍那, 산스크리트어: Īśāna)라고도 하는데, 이 두 명칭은 시바의 다른 이름을 음역한 것이다.[1][2][3][4]

예를 들어, 구마라습(344~413)이 한역용수(150?~250?)의 《대지도론》(402~406년)의 제2권에서 구마라습마혜수라천(摩醯首羅天)이라고 음역하고 있으며 중국어로 의역하면 대자재(大自在)가 된다고 말하고 있다.[5][6]

여기서, (天)은 산스크리트어 데바(deva)의 번역어로 제바(提婆)라고도 음역되는데, 불교의 세계관에서는 6도 가운데 천상도에 거주하는 유정들로, 신적인 자재력권능 또는 역량을 가진 유정들이며, 천인(天人, 산스크리트어: apsaras)이라고도 한다. 한편 한자어 천인(天人, 산스크리트어: devamanuṣya)은 (天, 산스크리트어: deva)과 (人, 산스크리트어: manuṣya), 즉 천상도유정인간도유정을 통칭하는 낱말로도 사용된다.[7]

기원

시바 신의 별칭들 중 하나인 마헤슈바라대승 불교에 수용된 것이다.[8][9] 대자재천(大自在天)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크게[大] 자재[自在]한 천신[天, deva, 데바]' 즉 '커다란 역량이 있는 신'으로, 우주를 생성하고 유지하고 파괴하는 역량이 있는 신을 뜻한다. 즉, 트리무르티의 교의에서 말하는 브라흐만의 한 측면으로서의 시바를 뜻한다.[10][11]

대승불교 중관학파의 개조인 용수(150?~250?)의 《대지도론》의 한역본(402~406년) 제2권에는 시바(마혜수라천)에 대한 묘사가 비슈누(위뉴천)와 무루간(구마라천)에 대한 묘사와 함께 나오는데 다음과 같다.

摩醯首羅天,(秦言「大自在」)八臂,三眼,騎白牛。如韋紐天(秦言「遍悶」),四臂,捉貝持輪,騎金翅鳥。如鳩摩羅天,(秦言「童子」)是天擎雞持鈴,捉赤幡,騎孔雀,皆是諸天大將。

마혜수라천(摩醯首羅天)[진(秦)나라 말로는 대자재(大自在)라고 한다.]은 여덟 팔, 세 눈으로 흰 소를 탔고, 위뉴천(韋紐天)[진나라 말로는 변민(遍悶)이다.]은 네 팔로 소라[貝]를 쥐고 바퀴를 잡고서 금시조를 탔으며, 구마라천(鳩摩羅天)[진나라 말로는 동자(童子)이다.]은 닭을 높이 들어 올리고 요령을 잡고 붉은 번기[幡]를 쥐고서 공작을 탔다. 이들은 모두가 하늘의 대장들이다.

대지도론》 제2권. 한문본 & 한글본

같이 보기

각주

  1. 운허, "大自在天(대자재천)". 2013년 4월 23일에 확인
    "大自在天(대자재천): 【범】 Maheśvara 또는 마혜수라(摩醯首羅)ㆍ마혜습벌라(摩醯濕伐羅). 눈은 셋이고 팔은 여덟으로 흰 소를 타고 흰 불자(拂子)를 들고 큰 위덕을 가진 신의 이름. 외도들은 이 신을 세계의 본체라 하며, 또는 창조의 신이라 하여 이 신이 기뻐하면 중생이 편안하고, 성내면 중생이 괴로우며, 온갖 물건이 죽어 없어지면 모두 이 신에게로 돌아간다고 한다. 이 신을 비자사(毘遮舍)라 부르기도 하고 초선천(初禪天)의 임금이라 하며, 혹은 이사나(伊舍那)라 하여 제6 천주(天主)라고도 한다."
  2. 운허, "自在天(자재천)". 2013년 4월 23일에 확인
    "自在天(자재천): 마혜수라(摩醯首羅)의 번역. 곧 대자재천을 말함."
  3. 佛門網, "大自在天". 2013년 4월 23일에 확인
    "大自在天: dàzìzàitiān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梵名 Maheśvara,巴利名 Mahissara。音譯作摩醯首羅、莫醯伊濕伐羅。又作自在天、自在天王、天主。傳說為嚕捺羅天(梵 Rudra)之忿怒身,因其居住地之不同,又有商羯羅(梵 Śajkara)、伊舍那(梵 Īśāna)等之異名。此天原為婆羅門教之主神濕婆,信奉此天者被稱為大自在天外道,此派以天為世界之本體,謂此天乃一切萬物之主宰者,又司暴風雷電,凡人間所受之苦樂悲喜,悉與此天之苦樂悲喜相一致。故此天喜時,一切眾生均得安樂;此天瞋時,則眾魔現,國土荒亂,一切眾生均隨其受苦;若世界毀滅時,一切萬物將歸入大自在天中。此蓋為大自在天神格之表現;然除殺傷、暴惡等性格之外,此天亦具有救護、治療之性格,而以吉祥神之面貌出現。初時,此天與那羅延天同列於梵天之下,其後,其神位漸次升高,而成為最高神格,於婆羅門教中,被視為「其體常住,遍滿宇宙」,而有「以虛空為頭,以地為身」之泛神論之神格。然濕婆神進入佛教後,即成為佛教之守護神,稱為大自在天,住在第四禪天。其像為三目、八臂,騎白牛,執白拂之天人形,有大威力,能知大千世界雨滴之數,獨尊於色界。 密教將此天視同伊舍那天,為十二天之一。供養十二大威德天報恩品(大二一‧三八四上):「伊舍那天喜時,諸天亦喜,魔眾不亂也。舊名摩醯首羅也。佛言若供養摩醯首羅已,為供養一切諸天。此天瞋時,魔眾皆現,國土荒亂。」此天形像種類很多,有二臂像、四臂像、八臂像,更有十八臂像,然不多見。列位在現圖胎藏界曼荼羅外金剛部西邊之西南隅,羅剎眷屬之左外,身呈赤黑色,右手開肘豎掌,屈中、無名、小等三指,左手作拳,執三股戟向右,乘青黑水牛,左腳下垂。〔梵網經卷上、大教王經卷十一、守護大千國土經卷下、大吉義神咒經卷四、俱舍論卷七、慧琳音義卷二十六、胎藏界七集卷下〕(參閱「大自在天外道」784)
    頁數: p783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Maheśvara, 摩醯首濕伐羅 or Śiva, lord of the present chiliocosm, or universe; he is described under two forms, one as the prince of demons, the other as divine, i.e. 毘舍闍 Piśācamaheśvara and 淨居 Śuddhāvāsa- or Śuddhodanamaheśvara. As Piśāca, head of the demons, he is represented with three eyes and eight arms, and riding on a white bull; a bull or a linga being his symbol. The esoteric school takes him for the transformation body of Vairocana, and as appearing in many forms, e.g. Visnu, Nārāyana (i.e. Brahmā), etc. His wife (śakti) is Bhīmā, or 大自在天婦. As Śuddhāvāsa, or Pure dwelling, he is described as a bodhisattva of the tenth or highest degree, on the point of entering Buddhahood. There is dispute as to whether both are the same being, or entirely different. The term also means the sixth or highest of the six desire heavens.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又名摩醯首羅天,是色界十八天中之最高天,此天天王生有三目。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天名)自在天外道之主神也。梵語摩醯首羅訛略,正為摩醯濕伐涅Mahes/vara,譯言大自在。在色界之頂,為三千界之主。此大自在天有二種:一曰毘舍闍摩醯首羅,一曰淨居摩醯首羅。毘舍闍為鬼類之名,摩醯首羅論師之所祀,有二目八臂,乘白牛,住於色界。密教以之為大日如來之應現。彼又言此自在天現種種之形,有種種之名。韋紐天,那羅延天等是也。提婆涅槃論明二十種外道中。以之為第十五摩醯首羅論師。涅槃經明六師外道中。第五迦羅鳩馱迦旃延之宗計是也。中古以來至於今盛為印度所崇拜之西拔派之西拔神。即為大自在天。以牛或男根為其神體之標幟。其次淨居摩醯首羅者,第十地之菩薩,將成佛時在色界之頂,淨居天之上,現大自在天子之勝報,以勝妙之天形,紹佛位,行灌頂。入大乘論下曰:「淨治第十地,得無量無邊禁咒方術能令一切無礙自在作摩醯首羅天子,亦為一切世間依止。問曰:所言摩醯首羅者為同世間摩醯首羅,更有異耶?答曰:是淨居自在非世間自在。汝言摩醯首羅者,名字雖同而人非一,有淨居摩醯首羅,有毘舍闍摩醯首羅。其淨居者,如是菩薩鄰於佛地猶如羅穀障。(中略)如皇太子初受職時,以己業力故大寶蓮華自然化出,受一切種智位。(中略)坐蓮華已,十方世界諸佛放大光明照。此菩薩受灌頂位如轉輪聖王長子受王位時。」慧苑音義上曰:「摩醯首羅,正云摩醯濕伐羅,言摩醯者此云大也,濕伐羅者自在也,謂此天王於大千世界中得自在故也。」唯識述記七末曰:「舊言摩醯首羅,今應言摩醯伊濕伐羅,即大自在也。」智度論二曰:「摩醯首羅天,秦言大自在。八臂三眼,騎白牛。」俱舍光記七曰:「魯達羅,此云暴惡,大自在異名。大自在天總有千名,今現行世唯有六十,魯達羅其一名也。又解塗灰外道說,自在出過三界有三身:一、法身,遍充法界。二、受用身,居住色界上自在天宮,即佛法中說摩醯首羅天,三目八臂,身長萬六千踰繕那。三、化身,隨形六道種種教化。」十二天供儀軌曰:「伊邪那天,舊云摩醯首羅,唐言大自在天也。」因明大疏上曰:「商羯羅天,是羅醯首羅天,於一切世界有大勢力。」提婆涅槃論曰:「外道摩醯首羅論師作如是論,果是那羅延所作,梵天是因,摩醯首羅一體三分。所謂梵天,那羅延,摩醯首羅。地是依處,地主是摩醯首羅天。於三界中所有一切,命非命物皆是摩醯首羅天生。摩醯首羅身者,虛空是頭,地是身,水是尿,山是糞,一切眾生是腹中蟲,風是命,火是煖,罪福是業(百論疏引之作日月為眼),是八種是摩醯首羅身。」涅槃經十九曰:「今有大師,名迦羅鳩馱迦旃延。(中略)為諸弟子說如是說,若人殺害一切眾生,心無慚愧,終不墮惡。猶如虛空,不受塵水。有慚愧者,即入地獄。猶如大水,潤濕於地。一切眾生,悉是自在天之所作。自在天喜,眾生安樂。自在天瞋,眾生苦惱。一切眾生若罪若福。乃是自在天之所為作。云何當言人有罪福。」【又】(界名)謂欲界六欲天中之第六他化自在天也。法華經序品曰:「自在天子,大自在天子。」同文句二曰:「自在即第五,大自在即第六。」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mahêśvara, īśāna, mahā-deva, śiva.
    頁數: P 736"
  4. 佛門網, "商羯羅". 2013년 4월 23일에 확인
    "商羯羅: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Śaṅkara, 'auspicious' (M. W. ), a name for 'Śiva', and intp. as 骨鏁 bone-chains; name of 商羯羅阿闍梨 Śaṅkaracarya, the celebrated Indian philosopher of the eighth century A. D. who is known as a great opponent of Buddhism.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一)梵語 śajkara。又作賞迦羅。意譯骨鏁。乃古代印度外道祭祀所供之骨鏁。此外,亦指商羯羅天,即為骨鏁天,乃大自在天之別名。據傳,大自在天曾至人間化導,歸天之後,信眾顧戀,遂造立其苦行饑羸、骨節相連成鏁(鎖)之像,於祭祀時供奉之。〔因明入正理論疏卷上〕(參閱「骨鏁天」4353) (二)梵名 Śavkara。又稱商羯羅阿闍梨(梵 Śavkarācārya)、商卡拉。印度吠檀多派哲學家,婆羅門教改革家。生於南印度之摩拉巴爾,生卒年約於七○○至七五○年間,或謂七八○至八二○年間。曾遍遊印度,成立教團,進行傳教活動。直接承襲吠陀之冥思方式與奧義書「萬物一體」之理論,又吸收大乘佛教思想及耆那教部分教義,而改革婆羅門教為印度教,對佛教、耆那教造成極大之衝擊;更為印度思想界注入了新血,至今仍為印度思潮之主流。其所建立絕對一元論(或純粹不二論)之體系,認為現實世界皆為幻相(梵 māyā)而非真實,唯有個人之精神(我),和宇宙之最高原則(梵),方為同一不二之真實存在。 商羯羅之主要論點為:(一)梵論,商羯羅以為「梵」雖是真實而唯一者,但由於各人智慧不同,所體現之梵亦有上梵、下梵之分。(1)上梵,乃表現於「上智」之梵,為一絕對而實存之精神,其特性為:無德、無形、無差別、無屬性。(2)下梵,乃表現於無明「下智」之梵,其特性為:有德、有意志、人格性,此時有無數的有情存在。(二)世界觀,採取兩種看法,即:(1)從真諦門看,世界乃幻化迷妄之產物,亦即心識動,生萬物;心識不動,一切皆空。(2)從俗諦門看,世界之最初,唯有「梵」存在,其時,梵雖具有無量之種子力,然仍未發展為「名色」,此一冥然狀態稱為「非變異」;持續一段時期後,梵以自身之意志,發揮其種子力,將非變異世界變成紛華之現實世界,稱為「已變異」。再經一段時期,梵又收回此「已變異」狀態而回復「未變異」之世界,如是不斷反覆交替,乃為商羯羅之「下梵世界觀」。(三)有情觀,自上智立場觀之,並無有情之存在,僅有一唯一常住之「最上我」(梵 Haramātman);然自下智之立場觀之,由於下梵所具有之「人格性」,遂有下梵之世界出現,並因而產生無數有情,稱為「個人我」(梵 jivātman)。此等有情由於無明之故,乃附上五風、十一根、肉體等性質,猶如水中之月,映現出千差萬別之現象。(四)解脫觀:(1)從第一義諦而言,上智者具有常住、光明之真我,故不須經由修行證悟,此乃真實之「觀脫」(即無身解脫,梵 videha mukti),即可達於梵界。(2)從下梵之信仰而言,下智者則須修寂靜、節制、離欲、祭祀、苦行等,並於身滅之後,由天道而入於梵界。著有梵經(梵 Brahma-sūtra)注、薄伽梵歌(梵 Bhagavad-gītā)注、我之覺知(梵Ātma-bodha)、問答鬘(梵 Upadeśa-sāhasrī)、五分法等。
    頁數: p4409"
  5.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2권. p. T25n1509_p0073a02 - T25n1509_p0073b06. 불타(佛陀)
    "復名「佛陀」(秦言「知者」)。知何等法?知過去、未來、現在,眾生數、非眾生數,有常、無常等一切諸法。菩提樹下了了覺知,故名為佛陀。 問曰: 餘人亦知一切諸法,如摩醯首羅天,(秦言「大自在」)八臂,三眼,騎白牛。如韋紐天(秦言「遍悶」),四臂,捉貝持輪,騎金翅鳥。如鳩摩羅天,(秦言「童子」)是天擎雞持鈴,捉赤幡,騎孔雀,皆是諸天大將。如是等諸天,各各言大,皆稱一切智。有人作弟子,學其經書。亦受其法,言是一切智。 答曰:此不應一切智。何以故?瞋恚、憍慢心著故。如偈說:
     「若彩畫像及泥像, 聞經中天及讚天,
      如是四種諸天等, 各各手執諸兵杖。
      若力不如畏怖他, 若心不善恐怖他,
      此天定必若怖他, 若少力故畏怖他。
      是天一切常怖畏, 不能除卻諸衰苦。
      有人奉事恭敬者, 現世不免沒憂海。
      有人不敬不供養, 現世不妨受富樂。
      當知虛誑無實事, 是故智人不屬天。
      若世間中諸眾生, 業因緣故如循環,
      福德緣故生天上, 雜業因緣故人中,
      世間行業屬因緣, 是故智者不依天!」
    復次,是三天,愛之則欲令得一切願,惡之則欲令七世滅。佛不爾。菩薩時,若怨家賊來欲殺,尚自以身肉、頭目、髓腦而供養之,何況得佛?不惜身時,以是故,獨佛應當受佛名號;應當歸命佛,以佛為師,不應事天。 復次,佛有二事:一者、大功德神通力;二者、第一淨心,諸結使滅。 諸天雖有福德神力,諸結使不滅故,心不清淨,心不清淨故,神力亦少。 聲聞、辟支佛雖結使滅,心清淨,福德薄故力勢少。 佛二法滿足,故稱勝一切人;餘人不勝一切人。"
  6.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2권. pp. 91-93 / 2698. 불타(佛陀)
    "또한 불타(佛陀)170)라고도 한다. 진나라에서는 ‘아는 자(知者)라고 한다. 어떠한 법을 아는가? 과거 · 미래 · 현재의 중생의 수효와 비중생의 수효와 항상함과 무상함 등 온갖 법을 안다는 것이다. 또한 보리수171) 밑에서 분명하게 깨달아 아셨으므로 불타라 한다.
    [문] 다른 사람들도 온갖 법을 안다. 마혜수라천(摩醯首羅天)172)[진나라 말로는 대자재(大自在)라고 한다.]은 여덟 팔, 세 눈으로 흰 소를 탔고, 위뉴천(韋紐天)173)[진나라 말로는 변민(遍悶)이다.]은 네 팔로 소라[貝]를 쥐고 바퀴를 잡고서 금시조를 탔으며, 구마라천(鳩摩羅天)174)[진나라 말로는 동자(童子)이다.]은 닭을 높이 들어 올리고 요령을 잡고 붉은 번기를 쥐고서 공작을 탔다.
    이들은 모두가 하늘의 대장들이다. 이러한 신들에 대해서도 각각 ‘크다’ 하며, 모두 일체지(一切智)라 한다. 어떤 사람이 그의 제자가 되어서 그의 경서를 배우거나 그의 법을 받는다면 그를 일체지(一切智)라고 한다.
    [답] 이들은 일체지라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성냄과 교만에 마음이 집착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게송이 있다.

     채색으로 그려낸 상(像)이거나
     진흙으로 빚은 상이거나
     경[聞經] 속의 하늘이거나
     하늘을 찬탄하는 자이거나

     이와 같은 네 종류의 하늘들은
     각기 손에 온갖 무기[兵仗]을 쥐고 있으니
     힘이 그에게 미치지 못하면 그를 두려워하고
     마음이 착하지 못하면 그를 겁내하네.

     이 하늘이 반드시 남을 두렵게 한다지만
     힘이 적은 까닭에 남의 두려움을 받는다.
     이 하늘은 모든 이가 항상 두려워하지만
     쇠퇴하는 괴로움을 제거하지 못했으니

     누군가가 받들어 섬기고 공경한다 하여도
     이 세상의 근심 걱정 면하지 못하니
     누군가가 공경하거나 공양하지 않아도
     이 세상의 복락을 받기에는 방해됨이 없다네.

     거짓이라 진실함이 없는 줄 알라.
     그러므로 지혜로운 이는 하늘에 속하지 않으니
     세간의 중생들은
     업의 인연으로 고리 돌듯 하네.

     복덕의 인연으로 천상에 태어나고
     잡된 업의 인연으로 인간에 태어나니
     세간의 행과 업은 인연에 달린 것
     그렇기에 지혜로운 이는 하늘에 의존치 않는다네.

    또한 이 세 하늘은 사랑하면 온갖 소원을 이루어 주려하고, 미워하면 7세(世)를 멸망시키려 한다. 부처님은 그렇지 않으시니, 보살의 지위에 계실 때 원수가 와서 죽이려 하여도 오히려 자신의 몸과 살과 머리와 눈과 골수와 뇌로써 공양하였거늘 하물며 부처님이 되신 뒤에 목숨을 아끼지 않을 때이겠는가.
    그러므로 부처님만 부처라는 명호를 받을 수 있고, 부처님에게만 귀명하고 부처님만을 스승으로 삼을지언정 하늘을 섬기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한 부처님에게는 두 가지 일이 있으니, 첫째는 대공덕신통력(大功德神通力)이요, 둘째는 제일가는 맑은 마음으로 모든 번뇌를 멸하는 것[第一淨心諸結使滅]이다. 하늘들은 복덕과 신통력은 있으나 결사가 다하지 못했으므로 마음이 청정치 못하며, 마음이 청정치 못하므로 신통력도 적다. 성문과 벽지불들은 번뇌가 다하여 비록 마음은 청정하나 복덕이 얇기 때문에 그 세력이 적다. 부처님은 두 가지 법을 충족하는 까닭에 일체의 사람을 이긴다고 일컫는다. 다른 사람은 일체의 사람을 이긴다고 하지 못한다.
    170) 범어로는 Buddha.
    171) 범어로는 bodhivṛkṣa.
    172) 범어로는 Mahāśvara.
    173) 범어로는 Viṣṇu.
    174) 범어로는 Kumāra."
  7. 운허, "天人(천인)". 2013년 4월 23일에 확인
    "天人(천인):
    [1] 【범】 devamanuya 또는 인천(人天). 천상의 유정과 인간의 유정. 곧 천과 인.
    [2] 【범】 apsaras 또는 비천(飛天)ㆍ낙천(樂天). 천상의 유정들. 허공을 날아다니며, 음악을 연주하고 하늘 꽃을 흩기도 하며 항상 즐거운 경계에서 살지만 그 복이 다하면 다섯 가지 쇠락하는 괴로움이 생긴다 함."
  8. Kramrisch 1981, 477쪽
  9. 운허, "大自在天(대자재천)". 2013년 2월 18일에 확인
    "大自在天(대자재천):
    頁數: P 736"
  10. 운허 & 大自在天(대자재천)". 2013년 2월 18일에 확인, "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A4%A7%E8%87%AA%E5%9C%A8%E5%A4%A9&rowno=2.
  11. Majumdar, R. C. "Evolution of Religio-Philosophic Culture in India", in: Radhakrishnan (CHI, 1956), volume 4, p. 49.
    "Its most notable expression is to be found in the theological conception of the Trimūrti, i.e., the manifestation of the supreme God in three forms of Brahmā, Viṣṇu, and Śiva.... But the attempt cannot be regarded as a great success, for Brahmā never gained an ascendancy comparable to that of Śiva or Viṣṇu, and the different sects often conceived the Trimūrti as really the three manifestations of their own sectarian god, whom they regarded as Brahman or Absol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