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에서 다성음악(polyphony)은 독립적인 멜로디가 둘 이상의 라인에 동시에 구성되는 어우러짐의 일종으로, 하나의 소리만을 지닌 단성음악, 그리고 화음이 수반되는 멜로디의 어우러짐의 일종인 화성음악과는 반의어이다.
서양 음악 전통의 문맥 속에서 다성음악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중세 및 르네상스 후기 음악을 가리킨다. 다성음악으로 부를 수 있는 푸가 등의 바로크 형태는 대위법으로 대신 기술되는 것이 보통이다.
다성음악이라는 용어는 모노폴리가 아닌 어우러짐을 기술하기 위해 더 광의적인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은 호모포니를 다성음악의 아류형으로 간주한다.[1]
기원
전통적인(프로페셔널이 아닌) 다성음악은 전 세계 여러 민족 가운데에서 두루 관찰된다.[2]
대부분의 모노폴리 지역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유럽, 오세아니아에 위치해 있다. 전통 음악의 다성음악의 기원은 유럽의 프로페셔널 음악의 다성음악의 출현보다 앞선다. 현재 보컬 다성음악의 기원의 문제에 대한 2가지 상반된 접근방법이 존재한다: 문화적 모델(Cultural Model), 진화적 모델(Evolutionary Model).[3] 문화적 모델의 경우 다성음악의 기원은 인간의 음악 문화의 발달과 연관된다. 다성음악의 전통은 점층적으로 모노폴리 전통을 대체하는 방향으로 흘렀다는 의미이다.[4] 진화적 모델의 경우 다성음악 흔적의 기원은 훨씬 더 심오하며 더 초기의 인류진화단계에 연결된다. 다성음악은 인류의 방어체계의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다성음악의 전통은 점차 전 세계적으로 사라져갔다는 것이다.[5]:198–210
각주
↑DeVoto, Mark (2015). 〈Polyphony〉.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5년 12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