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보로리스 (또는 슬로우로리스 )는 늘보로리스속 또는 니크티케부스속 (Nycticebus )에 속하는 3 종의 로리스의 총칭이다. 보르네오섬 과 동남아시아 의 필리핀 에서부터 방글라데시 , 베트남 , 인도네시아 , 인도 (인도 북동부, 벵갈), 중국 남부(윈난성 지역)와 태국 에 걸쳐 분포하는 곡비원류 영장류 로 느리게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
이들의 큰 눈이 현지의 전통 의약품에서 높이 평가되어 사냥되기 때문에, 멸종위기등급 에서 취약 등급 또는 위기 등급으로 분류되고 있다.[ 2]
인도네시아에서의 이름은 "말루말루"(malu malu )로 번역[ 3] 하면, "부끄럼타는 놈"이라는 뜻이다.
미국의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은 늘보로리스를 멸종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4]
그 밖에도 늘보로리스는 SBS TV 의 정글의 법칙 in 보르네오와 EBS 하나뿐인 지구 , TV 동물농장 에서도 간혹 소개되어 온 것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IUCN에서 지정받고 있는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오게 되는 등 보호 관찰이 가장 시급하다고 여겨지는 것으로 보인다.
독
늘보로리스는 유일하게 독이 있는 영장류로 알려져 있다.
이 속의 알려진 9종은 모두 독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들은 팔뚝에 있는 아포크린땀샘 에서 형성되는 악취가 나는 액체인 상완샘 분비물과 타액으로 구성된 복합적인 독을 가지고 있다. 두 유체는 개별적으로도 독성이 있으며 혼합시 더 강력한 독을 생성한다.
혼합한 독소의 독성은 야생 식품 섭취로 증가시킬 수 있다. 최근에 포획된 야생 늘보로리스의 결합된 독액은 바크라코톡신 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1년 이상 야생을 접하지 않은 늘보로리스들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늘보로리스의 상완샘 분비물은 기생충 방지 및 교감을 포함한 여러 가지 생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늘보로리스의 타액은 상완샘 분비물과 혼합하지 않아도 인간의 피부 세포에 독성을 나타낸다.
늘보로리스의 상완샘 분비물은 독성 반응이 아닌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5] 늘보로리스에 물리면 고통스러운 부종을 생기게 하고, 인간이 죽었던 사건은 과민성 쇼크 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6]
늘보로리스는 독을 주입하기에 적합된 치열을 가졌다.
하위 종
순다로리스 (Nycticebus coucang )
벵갈늘보로리스 (Nycticebus bengalensis )
피그미늘보로리스 (Nycticebus pygmaeus )
자바늘보로리스 (Nycticebus javanicus )
필리핀늘보로리스 (Nycticebus menagensis )
방카늘보로리스 (Nycticebus bancanus ) (Lyon, 1906)
보르네오늘보로리스 (Nycticebus borneanus ) (Lyon, 1906)
카얀강늘보로리스 (Nycticebus kayan ) Munds, Nekaris & Ford, 2012
각주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22-123쪽. ISBN 0-801-88221-4 . OCLC 62265494 .
↑ "International Wildlife Encyclopedia." 3 ed., vol. 11, pp1490-1492, 2002.
↑ Piper, Ross (2007), 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 , 그린우드 출판사(Greenwood Press).
↑ “Lesser Slow loris (Nycticebus pygmaeus)” . FWS U.S. Fish & Wildlife Service. 2009년 5월 16일. 2011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16일에 확인함 .
↑ Hagey, Lee R.; Fry, Bryan G.; Fitch-Snyder, Helena (2007). Gursky, Sharon L.; Nekaris, K. A. I., 편집. 《Talking Defensively, a Dual Use for the Brachial Gland Exudate of Slow and Pygmy Lorises》 (영어). Boston, MA: Springer US. 253–272쪽. doi :10.1007/978-0-387-34810-0_12 . ISBN 978-0-387-34807-0 .
↑ Wilde, Henry (1972년 9월 1일). “Anaphylactic Shock Following Bite by a ‘Slow Loris,’ Nycticebus Coucang” . 《The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영어) 21 (5): 592–594. doi :10.4269/ajtmh.1972.21.592 . ISSN 0002-96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