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넙다리정맥(femoral vein) 또는 대퇴정맥(大腿靜脈)은 넙다리혈관집 안에서 넙다리동맥과 함께 주행하는 정맥이다. 큰모음근에 뚫려 있는 구멍인 모음근구멍에서 시작하며, 오금정맥이 연속된 정맥이다. 그 후 고샅인대 아래쪽 경계에서 바깥엉덩정맥이 되며 끝난다. 넙다리정맥의 판막은 보통 첨판이 두 개이며 판막의 수는 사람들 간에, 또는 종종 오른다리와 왼다리 간에도 변이가 있다.[1]
구조
온넙다리정맥(총대퇴정맥, common femoral vein)은 깊은넙다리정맥이 합류하는 지점과 고샅인대 아래쪽 경계 사이의 넙다리정맥을 말한다.[2]
넙다리빗근밑정맥(봉공근하정맥, subsartorial vein[3][4]) 또는 얕은넙다리정맥(천대퇴정맥, superficial femoral vein[3])은 모음근구멍과 깊은넙다리정맥이 들어오는 지점 사이의 넙다리정맥을 가리키며, 이 부분에서 넙다리정맥은 모음근굴 안을 주행한다. 그러나 'superficial femoral vein'이라는 용어는 혼란의 여지가 있으므로 많은 의사들 사이에서는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5] 특히 넙다리정맥은 심부정맥혈전증으로 인해 항응고제나 혈전용해술을 시행하기도 하는 깊은정맥이다. 그런데 'superficial'이라는 단어는 의사들이 넙다리정맥을 얕은정맥으로 착각할 수 있게 만들어 혈전증 환자에게 잘못된 치료를 하게 만들 수 있다.[6][7][8] 따라서 깊은넙다리정맥이 들어오는 지점보다 먼쪽의 넙다리정맥은 'subsartorial vein'이라고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
↑Jonas Keiler; Marko Schulze; Host Claassen; Andreas Wree (2018). “Femoral vein diameter, valve and tributary topography in humans - a post mortem analysis”. 《Clinical Anatomy》 31 (7): 1065–1076. doi:10.1002/ca.23224. PMID30240062.
↑Page 590 in: Reva Arnez Curry, Betty Bates Tempkin (2014). 《Sonography - E-Book: Introduction to Normal Structure and Function》. Elsevier Health Sciences. ISBN9780323292177.
↑ 가나Gitto, Lorenzo; Bonaccorso, Luigi; Serinelli, Serenella (2019). “Death due to severe blood loss following an accidental lesion to the femoral vessels”. 《Medico-Legal Journal》 87 (4): 196–201. doi:10.1177/0025817219875425. ISSN0025-8172. PMID31686595.
↑Thiagarajah R, Venkatanarasimha N, Freeman S (2011). “Use of the term "superficial femoral vein" in ultrasound.”. 《J Clin Ultrasound》 39 (1): 32–34. doi:10.1002/jcu.20747. PMID2095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