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대머리따오기(Southern bald ibis)는 남아프리카 산악 지대의 열린 초원이나 반사막에서 발견되는 큰 새이다. 분류학적으로 이 새는 아프리카 북부 지역인 붉은볼따오기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3][4] 이 새의 한 종으로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부 고지대와 산악 지역에만 서식하는 매우 제한된 서식지를 가지고 있다.[4]
이 크고 광택이 나는 청흑색의 따오기는 깃털이 없는 붉은 얼굴과 머리, 그리고 길고 구부러진 붉은 부리를 가지고 있다. 이 새는 바위와 절벽 사이에서 번식하며, 알 두세 개를 낳아 부화하기 전에 21일 동안 부화한다. 큰 새로 먹이를 먹고 상당한 무리를 지어 둥지를 꾼다.[5][6] 곤충, 작은 파충류, 설치류, 작은 새를 먹는다. 가끔씩 먹는 울음소리 외에는 소리를 내는 일이 거의 없다.[7]
따오기는 긴 곡선형 부리를 가진 사교적인 긴 다리를 가진 물새로, 한 아과는 저어새과를 형성하고 다른 아과는 저어새아과이다.[8] 두 개의 대머리따오기속 종은 깃털이 없는 얼굴과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나무보다는 절벽에서 번식하고, 친척들이 사용하는 습지보다 건조한 서식지를 선호한다는 점에서 다른 따오기와 다르다.[9][10] 이 종은 현재 IUCN 적색 목록에 거의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지만, 당장 멸종위기에 처하지는 않다.[4][7][11]
묘사
남부대머리따오기는 남아프리카 지역 고지대에 서식하는 드문 새이다.[4][5][12]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이 종의 총 번식 개체수가 약 4,600마리로 추정되었다.[5] 2020년대 기준으로 총 번식 개체수는 6,500마리에서 8,000마리 사이이며, 번식 개체수는 1,600마리에서 2,000마리 사이이다.[13] 그러나 이 종의 생물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4]
깃털은 짙은 녹색이며 녹색, 보라색, 청동색 줄무늬가 있다. 목에는 청록색의 긴 깃털이 있다. 성체가 되면 어깨에는 구리색 음영이 나타난다. 그러나 어린 시절에는 깃털이 주로 칙칙한 회색을 띈다. 이 새의 라틴어 이름인 제론티쿠스 칼부스(Geronticus calvus)는 깃털이 없고 주름진 머리와 얼굴을 가리키는 "대머리 노인"으로 번역된다. 머리는 맨 흰 피부가 분명하기 때문에 이 종을 인식하는 데 중요한 특징이다. 머리 꼭대기에는 붉은 돔 모양의 왕관이 있다. 이 새들의 부리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고 다리와 함께 빨간색이다. 마찬가지로 눈도 주황색-빨간색 음영으로 표시된다.[7]
분포 및 서식지
남부대머리따오기는 매우 제한된 서식지를 가진 종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지역에는 이 종의 번식 조류가 4,600마리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5] 이 종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동부 지역에 국한되어 있으며 고지대와 산악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4] 분포 범위는 레소토의 고지대에서 에스와티니까지 확장된다. 이 새들은 지정된 서식지 내에서 짧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5]
이 새들은 절벽 둥지를 틀고 산면의 탁 트인 지역, 강 협곡, 때로는 폭포 주변에서 번식한다. 번식 서식지는 주로 해발 1,200~2,000m의 산악 초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초원 지역은 포유류의 이전 방목으로 인해 늦여름과 초가을에 잎의 영양가가 낮아 "사워"로 분류된다.[5]
행동
남부대머리따오기는 큰 무리를 지어 먹이를 먹고 둥지를 틀고 사는 새이다. 이들은 적합한 먹이를 찾기 위해 최대 100마리까지 무리를 지어 이동한다.[7] 식충동물로서 이들의 먹이는 주로 불에 탄 초원에서 발견되는 곤충과 기타 작은 무척추동물로 구성되어 있다.[5][6] 이 종은 절벽 가장자리에서 둥지를 틀고 대부분의 경우 집단으로 번식한다.[5] 가끔 먹는 소리 외에는 거의 소리를 내지 못한다.[7]
울음소리
남부대머리따오기는 비교적 조용한 새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 종은 약한 폭식 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아프리카의 옛 이름인 "와일드칼코엔(Wilde-Kalkoen)"을 다시 지칭하는 것으로, "야생 칠면조"로 번역된다. 이 새는 둥지 지역과 비행 중에 가장 시끄러운 소리를 낸다. 이 새는 칠면조의 울음소리와 유사한 고음의 keeaaw-klaup-klaup 울음소리를 낸다.[7]
먹이
이 종은 식충성이며 주로 곤충과 기타 작은 육상 무척추동물을 먹는다.[5][6] 채집된 옥수수 밭에서 먹이를 먹거나 과도하게 방목된 목초지와 불에 탄 초원을 번갈아 가며 먹이를 찾는다. 이들은 땅을 따라 걸으며 땅을 쪼고 탐사한다.[11] 먹이의 주요 구성 요소는 줄기뚫이나방의 애벌레이다. 이 새는 또한 배설물과 잎을 뒤집어 애벌레, 메뚜기, 딱정벌레, 지렁이, 달팽이, 때로는 개구리, 작은 죽은 포유류와 새를 포함한 먹이를 찾는다.[7]
7월과 8월 상반기 동안, 알을 낳기 전에 새들은 옥수수 밭에서 먹이를 찾는다. 8월 하반기와 9월 초, 부화 기간 동안 새들은 옥수수 밭, 풀을 뜯은 목초지, 불에 탄 초원을 번갈아 가며 관찰된다. 마지막으로, 9월과 10월의 둥지 단계에서는 옥수수 밭에서 번식하지만, 쟁기질을 한 들판에서는 더 자주 나타난다. 키가 큰 풀에서는 가시가 관찰되는 경우가 드물며 습지 지역에서는 거의 없다. 이 새들은 이동성을 저해하고 먹이를 숨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키가 큰 풀을 피한다. 이 지역에서는 느린 걸음으로 먹이를 먹이로 삼는 기술이 필요하지만, 이 새는 먹이를 먹기 위해 빠른 걸음으로 걷는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둥지와 매우 가까운 지역에서는 먹이를 찾는 것을 피하는 것으로 보인다.[11]
그들의 주요 먹이 지역인 불에 탄 초원은 영양분의 부족으로 인해 "사워"라고 불린다. 이 지역들은 과도한 잎을 제거하기 위해 1년에서 3년마다 불에 타버린다. 겨울과 봄에는 새로운 성장이 나타나는 불에 탄 지역에서 먹이를 먹으며 이용 가능한 곤충을 찾아다니기도 한다. 이들의 번식기는 이러한 작물의 연소 기간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번식과 생존은 이러한 불에 탄 초원의 가용성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5]
번식
남부대머리따오기는 절벽에 둥지를 틀고 열린 가장자리에서 번식한다.[5] 이 지역의 대부분 접근하기 어려운 특성 때문에 번식기 동안의 관찰은 어렵다.[12] 그러나 이 새들은 주로 군집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쌍은 다른 개체들로부터 멀리 둥지를 틀기로 결정한다. 암컷은 7월 말부터 10월 중순까지 어디서든 알을 낳는다. 그 후, 어린 개체들은 10월 중순경과 12월까지 날아갈 깃털을 발달시킨다.[5]
둥지는 주로 막대기와 풀로 이루어져 있다. 평균적으로 이러한 물질의 수집은 첫 번째 알을 낳기 약 2주 전에 시작된다. 첫 번째 알을 낳으면 26일에서 32일 동안 부화한다. 부화한 새들은 부화일 3일 전쯤에 위치를 변경하고 알을 더 자주 회전시킨다. 부화 후 병아리들은 처음 7~10일 동안 역류를 통해 부모의 먹이를 먹는다. 35일 후에는 둥지를 떠나 방황하고 40~50일 후에는 날 수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시간을 절벽 가장자리나 둥지에서 보낸다.[12]
각주
- ↑ BirdLife International. (2024). “Geronticus calvus”. 《IUCN 적색 목록》 (IUCN) 2024: e.T22697496A234993178. 2024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 “Appendices | CITES”. 《cites.org》. 2022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Pegoraro (2001). “Mitochondrial DNA sequence evidence for close relationship of Bald Ibis, Geronticus calvus, and Waldrapp Ibis, G. eremita”. 《Ostrich》 72 (3-4): 215–216. doi:10.2989/00306520109485324.
- ↑ 가 나 다 라 마 바 Siegfried (1971). “The status of the Bald Ibis of Southern Africa”. 《Biological Conservation》 3 (2): 88–91. doi:10.1016/0006-3207(71)90004-8.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Manry, D. (1985a). “Distribution, Abundance and Conservation of the Bald Ibis Geronticus calvus in Southern Africa”. 《Biological Conservation》 33 (4): 351–362. doi:10.1016/0006-3207(85)90076-x.
- ↑ 가 나 다 Manry, D. (1985b). “Reproductive performance of the Bald Ibis Geronticus calvus in relation to rainfall and grass-burning”. 《Ibis》 127 (2): 159–173. doi:10.1111/j.1474-919x.1985.tb05052.x.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Geronticus calvus”. 《Wildscreen Arkive》. 2015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 del Hoyo, J.; Elliot, A.; Sargatal, J., 편집. (1992).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1: Ostrich to Ducks》. Barcelona: Lynx Edicions. ISBN 84-87334-09-1.
- ↑ Snow, David; Perrins, Christopher M., 편집. (1998).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concise edition (2 volum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854099-X.
- ↑ Sinclair, Ian; Hockey, Phil; Tarboton, Warwick (2002). 《SASOL Birds of Southern Africa》. Cape Town: Struik. ISBN 1-86872-721-1.
- ↑ 가 나 다 Kopij, G. (2001). “Feeding ecology of the Southern Bald Ibis, Geronticus calvus, in the Free State, South Africa”. 《Ostrich》 72 (3-4): 193–198. doi:10.2989/00306520109485316.
- ↑ 가 나 다 Kopij, G; Kok, O; Nuttall, R (2000). “Breeding cycle of the Southern Bald Ibis, Geronticus calvus”. 《Ostrich》 71 (3-4): 393–399. doi:10.1080/00306525.2000.9639838.
- ↑ BirdLife International (2016). “Geronticus calv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6: e.T22697496A93617026. doi:10.2305/IUCN.UK.2016-3.RLTS.T22697496A93617026.en. 202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