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갈림
기관갈림(carina, tracheal bifurcation) 또는 기관분기부(氣管分岐部), 기관용골(氣管龍骨)은 기관이 두 개의 기관지로 갈라지는 부분이다.[1][2]
구조
기관갈림은 기관의 아래쪽 끝, 보통 넷째나 다섯째 등뼈 높이에 위치한다.[1][3] 복장뼈각과 같은 높이에 있으나 호흡 중에 기관갈림이 등뼈 두 개 높이만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정중선보다 약간 오른쪽에 있으며[4] 진행 방향은 앞쪽에서 뒤쪽으로 간다.
기관지동맥이 기관갈림과 기관 아래쪽에 혈액을 공급한다.[5]
기관갈림은 대동맥활이 기관 왼쪽으로 가로지르는 부분 뒤쪽에 위치한다.[3] 홀정맥은 기관갈림 위쪽에서 기관 오른쪽으로 지나간다.[6]
임상적 중요성
오른쪽 기관지가 거의 수직 방향으로 똑바로 주행하는 것에 반해 왼쪽 기관지는 더 비스듬하게, 수평에 가깝게 기관갈림에서 갈라진다.[4] 따라서 기관으로 떨어진 이물질은 오른쪽 기관지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7]
기관갈림의 점막은 기침반사를 일으키는 기관과 후두의 가장 민감한 영역이다.
기관갈림이 넓어지고 뒤틀리는 것은 보통 기관갈림 주변의 림프절에 암종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소견이기 때문에 심각하게 여겨진다.
기도에 생기는 손상인 기관기관지손상의 60%는 기관갈림 주변의 2.5cm 가량에서 생긴다.[8]
추가 이미지
참고 문헌
이 문서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퍼블릭 도메인 자료 - 미국 국립암연구소 문서 "Dictionary of Cancer Terms".
- ↑ 가 나 Fernandez, Luis G.; Norwood, Scott H.; Berne, John D. (2008년 1월 1일), Asensio, JUAN A.; Trunkey, DONALD D., 편집., “Tracheal, Laryngeal, and Oropharyngeal Injuries”, 《Current Therapy of Trauma and Surgical Critical Care》 (영어) (Philadelphia: Mosby), 215–226쪽, doi:10.1016/b978-0-323-04418-9.50036-9, ISBN 978-0-323-04418-9,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Reynolds, Susan D.; Pinkerton, Kent E.; Mariassy, Andrew T. (2015년 1월 1일), Parent, Richard A., 편집., “Chapter 6 - Epithelial Cells of Trachea and Bronchi”, 《Comparative Biology of the Normal Lung (Second Edition)》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61–81쪽, doi:10.1016/b978-0-12-404577-4.00006-0, ISBN 978-0-12-404577-4,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Schipper, Paul; Sukumar, Mithran; Mayberry, John C. (2008년 1월 1일), Asensio, JUAN A.; Trunkey, DONALD D., 편집., “Pertinent Surgical Anatomy of the Thorax and Mediastinum”, 《Current Therapy of Trauma and Surgical Critical Care》 (영어) (Philadelphia: Mosby), 227–251쪽, doi:10.1016/b978-0-323-04418-9.50037-0, ISBN 978-0-323-04418-9,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Drevet, Gabrielle; Conti, Massimo; Deslauriers, Jean (2016년 3월). “Surgical anatomy of the tracheobronchial tree”. 《Journal of Thoracic Disease》 8 (Suppl 2): S121–S129. doi:10.3978/j.issn.2072-1439.2016.01.69. ISSN 2072-1439. PMC 4775257. PMID 26981262.
- ↑ Acocella, F.; Brizzola, S. (2011년 1월 1일), Bosworth, Lucy A.; Downes, Sandra, 편집., “12 - Tracheal tissue regeneration”, 《Electrospinning for Tissue Regeneration》, Woodhead Publishing Series in Biomaterials (영어) (Woodhead Publishing), 242–279쪽, doi:10.1533/9780857092915.2.242, ISBN 978-1-84569-741-9,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Hardie, E. (2014년 1월 1일), Langley-Hobbs, Sorrel J.; Demetriou, Jackie L.; Ladlow, Jane F., 편집., “Chapter 46 - Trachea and bronchus”, 《Feline Soft Tissue and General Surgery》 (영어) (W.B. Saunders), 531–540쪽, doi:10.1016/b978-0-7020-4336-9.00046-9, ISBN 978-0-7020-4336-9,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Kumar, Sudesh; Al-Abri, Rashid; Sharma, Ashok; Al-Kindi, Hussain; Mishra, P (2010년 10월). “Management of Pediatric Tracheo Bronchial Foreign Body Aspiration”. 《Oman Medical Journal》 25 (4): e019. doi:10.5001/omj.2010.99. ISSN 1999-768X. PMC 5556322. PMID 28845222.
- ↑ Chu CP, Chen PP (April 2002). “Tracheobronchial injury secondary to blunt chest trauma: Diagnosis and management”. 《Anaesth Intensive Care》 30 (2): 145–52. doi:10.1177/0310057X0203000204. PMID 12002920.
외부 링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