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고리 은하(영어: Polar-ring galaxy)는 가스와 별로 구성되어 은하의 회전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회전하고 있는 외부 고리를 가진 은하의 한 유형이다.[2] 이 극고리는 두 은하가 서로 중력 상호작용을 할 때 형성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거기에 대한 한가지 가능성은 지나가는 은하의 물질이 기조력에 의해 벗겨져 극고리 은하에서 보이는 극고리를 형성했다는 것이다. 다른 가능성으로는 작은 은하가 거대한 은하의 회전면에 대해 수직으로 충돌하여 사실상 극고리 구조를 형성했다는 것이다.[3]
가장 잘 알려져있는 극고리 은하는 렌즈상 은하(S0)이지만, 물리학적 관점에서 이들은 광범위한 은하 유형의 일부이다. 일부 타원 은하도 극고리를 포함하고 있다.
NGC 2685[4], NGC 4650A[5][6], A 0136 -0801[3], ESO 415 -G26[6] 이 네 렌즈상 은하가 가장 처음으로 극고리 은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은하들이 광범위하게 연구되는 동안, 많은 극고리 은하가 발견되었다.[7] 극고리 렌즈상 은하는 근처의 렌즈상 은하 전체의 0.5%를 차지하고 있고, 렌즈상 은하의 5% 만이 일생 동안 극고리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7]
SPRC란 157개의 극고리 은하가 수록된 슬론 극고리 목록(Sloan Polar-Ring Catalogue)을 의미한다. 목록 내의 은하들은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의 이미지와 함께 표시된다. 목록은 네 부분(A,B,C,D)으로 나뉘어 있는데, A 섹션의 6개의 은하는 운동학적으로 확인된 은하이다. B 섹션에는 27개의 은하가 있고, C 섹션에는 73개의 은하, D 섹션에는 51개의 은하가 수록되어 있다.
SPRC (신판)
SPRC 신판은 SPRC 구판의 개정판으로, 275개의 후보가 추가되었다. 가장 좋은 후보로는 70개의 은하가, 좋은 후보로는 115개의 은하가, 관계된 천체로는 53개의 은하가, 단순하게 고리 모양을 하고 있는 37개의 은하가 있다.
갤러리
아리조나주 레몬산 천문대의 24인치 망원경으로 촬영한 NGC 660 이미지이다. 조세프 D. 슐만 제공.
↑ 가나다F. Schweizer, B. C. Whitmore, V. C. Rubin (1983). “Colliding and merging galaxies. II - S0 galaxies with polar rings”. 《Astronomical Journal》 88: 909–925. Bibcode:1983AJ.....88..909S. doi:10.1086/113377.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J. L. Sérsic (1967). “Southern Peculiar Galaxies III”. 《Zeitschrift für Astrophysik》 67: 306–311. Bibcode:1967ZA.....67..306S.
↑ 가나다B. C. Whitmore, D. B. McElroy, F. Schweizer (1987). “The shape of the dark halo in polar-ring galaxies”. 《Astrophysical Journal》 314: 439–456. Bibcode:1987ApJ...314..439W. doi:10.1086/165077.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가나B. C. Whitmore, R. A. Lucas, D. B. McElroy, T. Y. Steiman-Cameron, P. D. Sackett, R. P. Olling (1990). “New observations and a photographic atlas of polar-ring galaxies”. 《Astronomical Journal》 100: 1489–1522, 1721–1755. Bibcode:1990AJ....100.1489W. doi:10.1086/115614.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가나Bertola, F. and Galletta, G. (1978). “A new type of galaxy with prolate structure”. 《Astrophysical Journal》 226: L115–L118. Bibcode:1978ApJ...226L.115B. doi:10.1086/182844.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Bertola, F., Galletta, G., Zeilinger, W.~W. (1985). “Warped dust lanes in elliptical galaxies - Transient or stationary phenomena?”. 《Astrophysical Journal》 292: L51–L55. Bibcode:1985ApJ...292L..51B. doi:10.1086/184471.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가나Varnas, S.R. Bertola, F., Galletta, G., Freeman, K.C., Carter, D. (1987). “NGC 5266 - an elliptical galaxy with a dust ring”. 《Astrophysical Journal》 313: 69–88,. Bibcode:1987ApJ...313...69V. doi:10.1086/164949.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