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매개 질병(airborne disease)는 공기를 통해 전염될 수 있는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아울러 부르는 말이다. 의학이나 수의학에서 다루는 많은 질병이 공기 매개 질병으로 분류된다.[2]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등이 병원체가 될 수 있으며, 호흡, 대화, 기침, 재채기, 먼지, 액체 분사, 화장실 물 내리기, 에어로졸이나 물방울을 만드는 모든 활동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가스, 공기 중 입자 등 대기오염으로 인한 질병은 공기 매개 질병이라 부르지 않는다.
공기 전염은 호흡기 비말에 의한 전염과는 다른 개념이다. 호흡기 비말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다른 공기 매개성 입자들과는 달리 5μm이상의 커다란 크기를 가지고 있어, 생성된 후 땅으로 빠르게 떨어진다. 또한 호흡기 비말은 주로 물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공기 매개성 입자들은 상대적으로 건조하기 때문에, 병원체의 생존 및 전달 능력이 비교적 낮다. 따라서 공기 매개 질병은 그 수가 제한적이다.
개괄
공기 매개 질병은 공기를 통한 전염을 통해 발생하는 질병들을 부르는 말이다. 미생물 등의 병원체는 에어로졸, 먼지 또는 액체 속에 퍼질 수 있다. 에어로졸은 감염된 동물이나 사람의 신체 분비물이나, 다락방, 굴, 쓰레기 등에 축적되는 노폐물 등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감염된 에어로졸은 충분히 오랫동안 공기중에 머무르며 상당히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재채기를 통해 버스의 한 쪽 끝에서 다른 한 쪽 끝까지 방울이 날라갈 수 있다.[3]
공기 중의 병원체나 알레르기성 물질을 흡입할 경우 코, 목, 부비동, 폐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호흡기 뿐만 아니라 신체의 다른 부위에도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호흡기 상부에 감염이 발생할 경우 축농증, 기침, 인후염이 나타날 수 있다. 대기 오염도 공기 매개 질병을 심화시킬 수 있는데, 천식이 대표적이다. 오염물질은 기도에 염증을 일으킴으로써 폐 기능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4]
↑Siegel JD, Rhinehart E, Jackson M, Chiarello L,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2007 Guideline for Isolation Precautions: Prevent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in Healthcare Settings”(PDF). 《CDC》. 19쪽. 2019년 2월 7일에 확인함. Airborne transmission occurs by dissemination of either airborne droplet nuclei or small particles in the respirable size range containing infectious agents that remain infective over time and distance
↑Mitchell, Bailey W.; King, Daniel J. (October–December 1994). “Effect of Negative Air Ionization on Airborne Transmission of Newcastle Disease Virus”. 《Avian Diseases》 38 (4): 725–732. doi:10.2307/1592107. JSTOR1592107.
↑Peternel R, Culig J, Hrga I (2004).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Cladosporium spp. and Alternaria spp. spores in Zagreb (Croatia) and effects of some meteorological factors.”. 《Ann Agric Environ Med》 11 (2): 303–7. PMID15627341.
↑Sabariego S, Díaz de la Guardia C, Alba F (May 2000). “The effect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the daily variation of airborne fungal spores in Granada (southern Spain)”. 《Int J Biometeorol》 44 (1): 1–5. doi:10.1007/s004840050131. PMID10879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