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자리 파이는 고물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항성이다. 겉보기 등급은 2.733으로[3] 밤중에 맨눈으로도 쉽게 볼 수 있다. 시차 자료로 얻은 지구로부터 이 별까지의 거리는 대략 810 광년(약 250 파섹)이다.[2] 파이는 이중성으로 주인별으로부터 각거리로 0,72 초각, 위치각상 148도 떨어진 곳에 겉보기 등급 6.86의 짝별이 있다.[8]
고물자리 파이의 분광형 스펙트럼은 K3 Ib이다.[6] 광도분류 Ib는 광도가 낮은 초거성으로, 중심핵의 수소 연료를 다 태워서 주계열 단계에서 진화한 상태이다. 항성은 많이 부풀어 그 반지름은 태양의 약 290배에 이른다. 항성 표면의 유효온도는 약 4천 켈빈으로[7] 겉보기상으로 K형의 오렌지색 항성으로 보인다.[9] 파이는 반규칙 변광성으로[10] 밝기가 2.70에서 2.85까지 변한다.[11] 고물자리 파이는 산개성단콜린더 135에서 가장 밝은 별이기도 하다.[12]
명칭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알루드라는 정수에서 호시(弧矢, 활과 화살)에 속한 별 중 하나이다.[13] 호시의 구성원은 큰개자리 에타, 큰개자리 델타, HD 63032, HD 65456, 고물자리 오미크론, 마르케브, 큰개자리 엡실론, 큰개자리 카파, 고물자리 파이이다. 여기에서 큰개자리 에타는 궁시구(弧矢九, 궁시에서 아홉 번째 별)가 된다.
↑ 가나Gutierrez-Moreno, Adelina; 외. (1966), 《A System of photometric standards》 1, Publicaciones Universidad de Chile, Department de Astronomy, 1–17쪽, Bibcode:1966PDAUC...1....1G
↑Kaler, james B., “PI PUP (Pi Pupp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2년 1월 10일에 확인함
↑ 가나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3, Ann Arbor, Michiga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Bibcode:1982MSS...C03....0H
↑ 가나Pérez Martínez, M. Isabel; Schröder, K.-P.; Cuntz, M. (June 2011), “The basal chromospheric Mg II h+k flux of evolved stars: probing the energy dissipation of giant chromospher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4 (1): 418–427, arXiv:1102.4832, Bibcode:2011MNRAS.414..418P, doi:10.1111/j.1365-2966.2011.18421.x
↑Fabricius, C.; Makarov, V. V. (April 2000), “Two-colour photometry for 9473 components of close Hipparcos double and multipl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56: 141–145, Bibcode:2000A&A...356..141F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Kazarovets, E. V.; 외. (January 1999), “The 74th Special Name-list of Variable Stars”, 《Information Bulletin on Variable Stars》 4659: 1, Bibcode:1999IBVS.4659....1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