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자리 파이

고물자리 파이
명칭
다른 이름 고물자리 파이, CCDM J07171-3706A, CPD−36  1211, FK5 278, GC 9706, HD 56855, HIP 35264, HR 2773, IDS 07136-3655 A, PPM 283747, SAO 197795, WDS J07171-3706Aa,Ab[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고물자리
적경(α) 07h 17m 08.55678s[2]
적위(δ) −37° 05′ 50.8962″[2]
겉보기등급(m) 2.733[3]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4.04 ± 0.33 밀리초각[2]
성질
광도 19,200 L[4]
나이 2,000 ± 390 만 년[5]
분광형 K3 Ib[6]
추가 사항
질량 11.7 ± 0.2 M[5]
표면온도 3,990–4,055 켈빈[7]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고물자리 파이고물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항성이다. 겉보기 등급은 2.733으로[3] 밤중에 맨눈으로도 쉽게 볼 수 있다. 시차 자료로 얻은 지구로부터 이 별까지의 거리는 대략 810 광년(약 250 파섹)이다.[2] 파이는 이중성으로 주인별으로부터 각거리로 0,72 초각, 위치각상 148도 떨어진 곳에 겉보기 등급 6.86의 짝별이 있다.[8]

고물자리 파이의 분광형 스펙트럼은 K3 Ib이다.[6] 광도분류 Ib는 광도가 낮은 초거성으로, 중심핵의 수소 연료를 다 태워서 주계열 단계에서 진화한 상태이다. 항성은 많이 부풀어 그 반지름은 태양의 약 290배에 이른다. 항성 표면의 유효온도는 약 4천 켈빈으로[7] 겉보기상으로 K형의 오렌지색 항성으로 보인다.[9] 파이는 반규칙 변광성으로[10] 밝기가 2.70에서 2.85까지 변한다.[11] 고물자리 파이는 산개성단 콜린더 135에서 가장 밝은 별이기도 하다.[12]

명칭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알루드라는 정수에서 호시(弧矢, 활과 화살)에 속한 별 중 하나이다.[13] 호시의 구성원은 큰개자리 에타, 큰개자리 델타, HD 63032, HD 65456, 고물자리 오미크론, 마르케브, 큰개자리 엡실론, 큰개자리 카파, 고물자리 파이이다. 여기에서 큰개자리 에타는 궁시구(弧矢九, 궁시에서 아홉 번째 별)가 된다.

각주

  1. “CCDM J07171-3706A -- Double or multiple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Gutierrez-Moreno, Adelina; 외. (1966), 《A System of photometric standards》 1, Publicaciones Universidad de Chile, Department de Astronomy, 1–17쪽, Bibcode:1966PDAUC...1....1G 
  4. Kaler, james B., “PI PUP (Pi Pupp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2년 1월 10일에 확인함 
  5. Tetzlaff, N.; Neuhäuser, R.; Hohle, M. M. (January 2011),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 190–200, arXiv:1007.4883, Bibcode:2011MNRAS.410..190T, doi:10.1111/j.1365-2966.2010.17434.x 
  6. 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3, Ann Arbor, Michiga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Bibcode:1982MSS...C03....0H 
  7. Pérez Martínez, M. Isabel; Schröder, K.-P.; Cuntz, M. (June 2011), “The basal chromospheric Mg II h+k flux of evolved stars: probing the energy dissipation of giant chromospher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4 (1): 418–427, arXiv:1102.4832, Bibcode:2011MNRAS.414..418P, doi:10.1111/j.1365-2966.2011.18421.x 
  8. Fabricius, C.; Makarov, V. V. (April 2000), “Two-colour photometry for 9473 components of close Hipparcos double and multipl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56: 141–145, Bibcode:2000A&A...356..141F 
  9.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10. Kazarovets, E. V.; 외. (January 1999), “The 74th Special Name-list of Variable Stars”, 《Information Bulletin on Variable Stars》 4659: 1, Bibcode:1999IBVS.4659....1K 
  11. Burnham, Robert (1978), 《Burnham's celestial handbook: an observer's guide to the universe beyond the solar system》, Dover books explaining science 3 2판, Courier Dover Publications, 1499쪽, ISBN 0-486-23673-0 
  12. Eggen, O. J. (February 1983), “Six clusters in Puppis-Vela”, 《Astronomical Journal》 88: 197–214, Bibcode:1983AJ.....88..197E, doi:10.1086/113306 
  13. R.H. 앨런은 호시(弧矢)의 구성원에 돛자리 델타돛자리 오메가가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AEEA는 돛자리 델타는 천사(天社)의 구성원이며 돛자리 오메가는 어떤 별자리에도 속해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앨런은 천사를 용골자리 에타의 중국식 이름으로 해석했다.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Argo Navis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17 日 Archived 2012년 2월 4일 - 웨이백 머신 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