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七)
(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七)
(Transcription of Saddharmapundarika Sutra (The Lotus Sutra) in Silver on Indigo Paper, Volume 7)|
|
종목 | 보물 (구)제269-4호 (2007년 10월 24일 지정) |
---|
수량 | 1권1첩 |
---|
시대 | 조선시대 |
---|
소유 | 국유 |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七)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경이다. 2007년 10월 24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69-4호로 지정[1]되었다.
개요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七)은 구마라집(鳩摩羅什)이 한역한 묘법연화경을 저본으로 1422년(세종 4)에 비구 덕명(比丘 德名)이 어머니의 극락왕생을 위해 발원하여 감지에 은니로 쓴 7첩 중 ‘권3’과 ‘권7’의 2첩에 해당된다.[1]
표지에는 보상화문(寶相華紋) 네 송이가 장식되어 있으며, 화문(花紋)은 금니로, 화경(花莖)은 주로 은니로 그려져 있다. 권수(卷首)에는 금니로 변상도를 그리고 변상도 다음에 권두 서명과 구마라집의 역자(譯者) 표시가 보인다. 서체는 사경체(寫經體)의 특징인 조맹부체(趙孟頫體)로 썼다.[1]
사경의 후면에는 묵서(墨書)와 주서(朱書)의 ‘광덕사(廣德寺)’ 사찰명이 쓰여져 있다. 이로 보아 이 사경은 천안의 광덕사에서 사성되었거나 혹은 복장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후면에 ‘광덕사’라는 사찰명이 주서되어 있고 이 사경과 크기·체제·경문의 글씨가 동일한 사경으로 보물 제269-1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과 보물 제390호 《광덕사 고려사경》 중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2, 4, 5, 6》(보물 제269-2호)이 있다. 기존에 지정되어 있는 것에 《동아대학교 소장본인 권3》(보물 제269-3호)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인 권7》(보물 제269-4호)을 합하면 완벽한 “1질”을 이루게 되며, 이는 전래된 사경 가운데 전질이 밝혀진 것이 드문 예로써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1]
같이 보기
각주
- ↑ 가 나 다 라 마 문화재청고시제2007-91호, 《국가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6613호, 123면, 2007-10-24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