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음반의 타이틀곡은 〈Orange Blossom Special〉로 음반에 앞서 발매되었으며, 성공을 거두었다. 녹음 당시 이 곡의 원작자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으며,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커버하고 있었다. 캐시는 메이벨 카터로부터 이 노래가 어빈 T. 루스가 작곡한 곡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는 나중에 캐시가 플로리다주마이애미에서 열린 공연에서 만났다. 캐시의 녹음은 그의 레퍼토리에서 이례적으로 부츠 랜돌프의 테너 색소폰 솔로를 특징으로 한다.
1965년 2월에 발매된 이 음반은 빌보드 200에서 49위뿐만 아니라 《빌보드》 컨트리 음반 차트에서 3위에 올랐다. 싱글 〈Orange Blossom Special〉은 《빌보드》 핫 컨트리 싱글 차트 3위에 올랐고, 준 카터와의 듀엣 〈It Ain't Me Babe〉는 핫 컨트리 싱글 차트 4위에 올랐다.
〈Orange Blossom Special〉의 커버곡이 캐시의 라이브 콘서트에 참석한 관객들로부터 받은 호평으로 인해 1965년 2월 이 음반에 앞서 싱글이 발매되어 빌보드 핫 100 차트 3위에 올랐다.[3] 1960년대 중반에는 이 곡의 원작자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캐시는 녹음 세션에서 메이벨 카터에게 원작자에 대해 물었고, 카터는 이 노래가 어빈 T. 루스와 그의 동생 고든이 작곡했다고 말했다. 카터는 또한 캐시에게 그 작곡가가 플로리다주에 살고 있다고 말했다. 캐시는 플로리다주의 디스크 자키 짐 브루커에게 전화를 걸어 에버글레이즈에서 세미놀족 부부와 함께 살고 있다고 말했다. 브루커는 라디오 쇼에서 루스가 캐시의 전화번호를 알려달라고 방송국에 전화하는 것을 듣고 있다고 말했다. 루스는 방송국에 전화를 걸어 캐시에게 연락을 취했고 캐시는 곧 예정된 콘서트를 위해 플로리다주마이애미에 도착할 것이라고 말했다.[4][5]
마이애미에서 공연 중간 휴식 시간 동안 한 남자가 캐시에게 어빈 T. 루스를 자처하며 다가왔다. 캐시는 그 이름을 들었지만 루스가 누군지 기억할 수 없었다. 그가 몇 곡을 썼다는 것을 명확히 한 후, 그는 그의 형과 공동 작곡한 〈The Special〉이 특히 성공적이었다고 언급했다. 캐시는 자신이 《Orange Blossom Special》을 말하는 것을 알아챘다. 캐시는 실제로 루스였던 이 남자가 맞춤식 스왐프 버기를 타고 그의 집에서 마이애미에 있는 여동생의 집으로 여행을 갔으며, 콘서트에 참석하기 위해 자전거를 빌렸다고 믿었다. 캐시는 그 남자를 콘서트에서 그와 함께 공연하도록 초대했고, 관객들의 환호를 받았다. 나중에 루스는 "스페셜은 지금쯤 모든 사람의 것이었지만, 그것은 나의 베스트 넘버였다"고 말했다.[3][5][6] 《Orange Blossom Special》의 캐시의 뒷면 커버 음반 노트는 루스와의 만남을 설명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이 음반은 1965년 2월에 발매되었고[1], 《빌보드》 컨트리 음반에서 3위, 팝 음반에서 각각 49위에 올랐다.[8] 싱글 〈Orange Blossom Special〉은 《빌보드》 핫 컨트리 싱글 차트 3위와 핫 100 차트 80위를 기록했다.[9]준 카터와의 듀엣곡 〈It Ain't Me Babe〉는 핫 컨트리 싱글에서 4위, 핫 100에서 58위에 올랐다.[10]
〈Orange Blossom Special〉은 캐시가 직접 하모니카 파트를 연주하면서 캐시의 콘서트의 단골 부분이 되었다. 《At Folsom Prison》 라이브 음반에 수록된 공연에서 캐시는 이 노래가 "오리에게 키스하는 것보다 더 빨리 하모나를 바꿔야 한다"고 농담을 건넸다.
↑Noles, Randy; Hartford, John; Stuart, Marty (2007). 《Fiddler's Curse: The Untold Story of Ervin T. Rouse, Chubby Wise, Johnny Cash and the Orange Blossom Special》. Centerstream Publications. 188쪽. ISBN978-1-57424-214-0.
↑ 가나Cash, Johnny (1965). 〈Orange Blossom Special Tore the House Down〉. 《Orange Blossom Special》 (LP). Johnny Cash. Columbia Records. CL 2309.
↑Friskics-Warren, Bill (2009). 〈Fruitful Tree〉. 《No Depression #78: Survey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merican Music》. University of Texas Press. 15쪽. ISBN978-0-292-719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