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C 5866

NGC 5866
관측 자료 (원기 J2000)
관측 자료 (원기 J2000)
위치
별자리 용자리
적경 15h 06m 29.5s[1]
적위 +55° 45′ 48″[1]
물리적 성질
시선 속도 672 ± 9 km/s[1]
거리 5,000만 ± 300만 광년 (1,530 ± 70 킬로파섹)[2]
형태 S0[1]
규모
크기 4'.7 X 1'.9[1]
지름(광년) ~60,000
(18,400 pc)[3]
광학적 성질
겉보기등급 10.7[1]
기타 성질
명칭 방추은하,[4] M102, NGC 5866, UGC 9723,[1] PGC 53933[1]
메시에 천체 목록
NGC 천체 목록

NGC 5866용자리에 있는 비교적으로 밝은 렌즈형은하 또는 나선은하이다. 또한 방추은하(Spindle Galaxy)나 메시에 102로 불리기도 한다. 아마 1781년 피에르 메셍 또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였을 천체이고, 1788년 윌리엄 허셜이 그들과 별개로 발견하였다.

먼지원반

NGC 5866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 중 하나는 거대한 먼지원반이다. 가장자리가 거의 정확히 시선방향을 향하는 이 먼지원반은 렌즈형은하의 경우에서는 매우 특이한 것이다. 대부분의 렌즈형은하에 있는 먼지들은 일반적으로 은하핵 근처에서만 발견되며 은하 팽대부의 밝기 윤곽을 따른다.[5][6] 먼지원반 구조의 형태는 관측되는 부분이 은하의 가장자리 방향이라는 특성상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지만, 고리형의 구조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6] 또 NGC 5866 은하가 가장자리만 보이기 때문에 렌즈형은하로 오인된 나선은하일 수도 있다. 나선은하의 경우에서 이러한 먼지원반은 그렇게 특이하지 않다.[5]

은하군 정보

NGC 5866은 작은 은하군NGC 5866 은하군에서 가장 밝은 은하 중 하나이다. NGC 5866 은하군은 NGC 5866 외에 나선은하 NGC 5879NGC 5907을 포함하고 있으며,[7][8][9] 실제로는 M51 은하군M101 은하군으로 이루어진 더 크고 기다란 구조의 북서부 끝부분에 있는 작은 덩어리(subclump)에 해당한다.[10]

같이 보기

  • NGC 3115 - 방추은하라 불리는 또다른 렌즈형 은하
  • NGC 4710 - 가장자리 방향이 보이는 또다른 렌즈형 은하

각주

  1. “NASA/IPAC 외부은하 데이터베이스”. 《NGC 5866에 관한 결과》. 2006년 10월 30일에 확인함. 
  2. J. L. Tonry; A. Dressler; J. P. Blakeslee; E. A. Ajhar; 외. (2001). “The 은하 거리에 관한 SBF 탐사. IV. SBF 등급, 색깔, 거리.”. 《애스트로피지컬 저널》 546 (2): 681–693. arXiv:astro-ph/0011223. Bibcode:2001ApJ...546..681T. doi:10.1086/318301. 
  3. 허블사이트 http://hubblesite.org/newscenter/archive/releases/2006/24/image/a/
  4. “SIMBAD 천문학 데이터베이스”. 《NGC 5866에 관한 결과》. 2006년 10월 30일에 확인함. 
  5. G. J. Bendo; R. D. Joseph; M. Wells; P. Gallais; 외. (2002). “An Infrared Space Observatory Atlas of Bright Spiral Galaxies”. 《애스트로노미컬 저널》 123 (6): 3067–3107. Bibcode:2002AJ....123.3067B. doi:10.1086/340083. 
  6. E. M. Xilouris; S. C. Madden; F. Galliano; L. Vigroux; 외. (2004). “Dust emission in early-type galaxies: The mid-infrared view”. 《어스트로노미 & 애스트로피직스》 416 (1): 41–55. arXiv:astro-ph/0312029. Bibcode:2004A&A...416...41X. doi:10.1051/0004-6361:20034020. 
  7. R. B. Tully (1988). 《Nearby Galaxies Catalo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35299-1. 
  8. Af. Garcia (1993). “General study of group membership. II – Determination of nearby groups”. 《어스트로노미 앤 애스트로피직스 서플리먼트》 100: 47–90. Bibcode:1993A&AS..100...47G. 
  9. G. Giuricin; C. Marinoni; L. Ceriani; A. Pisani (2000). “Nearby Optical Galaxies: Selection of the Sample and Identification of Groups”. 《애스트로피지컬 저널》 543 (1): 178–194. arXiv:astro-ph/0001140. Bibcode:2000ApJ...543..178G. doi:10.1086/317070. 
  10. L. Ferrarese; H. C. Ford; J. Huchra; R. C. Kennicutt Jr.; 외. (2000). “A Database of Cepheid Distance Moduli and Tip of the Red Giant Branch, Globular Cluster Luminosity Function, Planetary Nebula Luminosity Function, and Surface Brightness Fluctuation Data Useful for Distance Determinations”. 《애스트로피지컬 저널 서플리먼트》 128 (2): 431–459. arXiv:astro-ph/9910501. Bibcode:2000ApJS..128..431F. doi:10.1086/313391. 

외부 링크

좌표: 하늘 지도 15h 06m 29.5s, +55° 45′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