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에프 샤프)는 강타입 함수형 우선 다중패러다임 언어이다. 주로 공통 언어 기반 크로스 플랫폼으로 사용되며, 자바스크립트[3]나 GPU 코드[4] 생성에도 사용할 수 있다.
F# 소프트웨어 재단[5]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오픈소스 기여자에 의해 개발된다. F#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만든 오픈소스 크로스 플랫폼 컴파일러가 있다.[6]비주얼 스튜디오[7]나 자마린 스튜디오[8]에서도 지원한다. 다른 프로그램으로는 Mono, MonoDevelop, SharpDevelop, MBrace, WebShaper 등이 있다. 테스트 에디터에서도 플러그인 형식으로 지원하며, 특히 Atom, VSCode, Vim, Emacs, Rider 등에서 지원한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Hello World"라고 할 만한 것은 팩토리얼을 계산하는 코드이다. F# 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letrecfactn=matchnwith|0->1|_->n*fact(n-1);;
이 코드는 팩토리얼을 재귀 함수로 정의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함수를 정의할 때는 let ... 와 같이 쓰고, 재귀함수를 정의할 때는 let rec ... 와 같이 명시한다. 함수의 마지막에는 두 개의 세미콜론으로 끝마침을 해 준다.
위 함수 정의는 수학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팩토리얼의 정의와 비슷하다. F# 코드는 문법과 계산방식의 측면에서 수학적 언어와 닮았다.
F# 은 자동으로 타입을 유추한다. 위의 fact 함수는 (int -> int) 타입 즉, 정수를 인자로 받아 또 다른 정수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두 번째 줄에서 F#의 또 다른 중요한 특성인 패턴 매칭을 볼 수 있다. 패턴 매칭은 match ... with ... 와 같이 표현한다. 함수 fact는 인자가 0 이면 1 을 반환하고, 아니면 두 번째 케이스를 실행하여 0에 도달할 때까지 fact 을 재귀적으로 계속 호출한다. 패턴 매칭에서 underbar('_')는 디폴트 케이스를 의미한다.
F# 은 OCaml을 계승한 언어여서, 위에서 설명한 부분은 OCaml 언어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개선된 팩토리얼 함수
팩토리얼 함수는 지수함수 보다도 훨씬 빨리 커지기 때문에 큰 정수의 계산도 가능해야 하고, 재귀호출 함수의 성능도 고려해야 한다. 큰 정수의 곱셈 계산을 위해 팩토리얼 값은 bigint 타입을 이용하고 그 대신 factiorial 함수의 인자는 int 타입으로 하여 재작성해 보았다. bigint 타입을 표현하는 리터럴은 int 타입을 표현하는 리터럴의 끝에 문자 I만 붙이면 된다. 즉 4는 int 타입이지만 4I는 bigint 타입이다. 또 int 타입을 bigint 타입으로의 타입변환은 정수값이 되는 표현식의 좌측에 bigint 만 붙이면 된다. 즉, bigint expression1 하면 expression1의 값을 bigint 타입으로 변환하는 식이다. 아래의 소스에서는 함수의 인자(매개변수)로 전달된 int 타입의 값 x를 bigint 타입으로 변환하기 위해 bigint x 라는 타입 변환식을 사용하였다. 아래의 factorial 함수는 (int -> bigint) 타입의 함수이다.
C 언어, Java 언어에서는 함수 안에서 함수를 또 정의하지 못하지만 F# 언어는 Python 언어, Lua 언어처럼 함수 안에서 함수를 또 정의할 수 있다. 위의 소스는 factorial 함수 안에서 재귀호출 함수 fac 을 정의하는 중첩 구조(nested structure)로 되어 있다.
저 소스에서 재귀호출 함수 fac에 전달되는 첫번 째 인자 a는 상태로 이해하면 된다. 여기서 상태는 재귀 호출 과정에서 계산된 전 단계의 팩토리얼 값으로 이용되고 있다. 4! 을 계산하는 저 소스의 계산과정을 추적하면
fac 1I 4
=> fac (4I) 3
=> fac (12I) 2
=> fac (24I) 1
=> 24I
이다.
저 소스는 5000! 을 계산할 때도 stack overflow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이 F# 언어의 한 특징이다. 보통의 명령형 언어(Python 언어)와 달리 패턴 매칭(match)에 의한 재귀호출은 상태에 의한 호출이기 때문이다. 저 소스에서 쓰인 재귀호출을 보통은 꼬리재귀호출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