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사망자 수는 기록의 미비로 인해 알 수 없으나,[7][12] 우크라이나인이 많이 사는 쿠반 지역을 포함시킬 경우 사망자 수가 급격히 치솟는 경향이 있다. 2007년 데이비드 마플스가 추산한 수치에서는 우크라이나에서만 750만 명이 죽었고 그 중 우크라이나인은 400만 명이라고 추산했다.[13] 2010년 키예프 항소심재판소에서 발견한 바에 따르면 이 기근으로 인한 인구 손해는 직접 굶어 죽은 사람 390만 명에 출산율 감소로 인한 610만 명까지 합쳐서 1000만 명에 이른다.[7]
기근의 주요 원인으로는 제1차 5개년 계획의 농업 집산화정책을 강제한 것, 농업 노동력이 감소한 것, 그리고 여러 차례의 가뭄 등이 꼽힌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것이 우크라이나인과 카자흐인이라는 민족에 대한 인종청소를 위한 의도적 행위였다고 보는 반면, 이에 반대하는 의견도 적지 않다.[14]:507 카자흐스탄 지역에서는 러시아 내전기에 있었던 튀르케스탄 대기근의 영향까지 더해져서 소련 체제가 세워지고 15년 만에 인구의 절반 이상이 죽었고, 카자흐스탄에서 카자흐인이 정작 소수민족(38%)이 되는 결과를 낳았다.[15][16]
↑Markoff, Dr. Alexandr Pavlovich (1933). professors of the Russian Commercial Institute, 편집. “Famine in the USSR”(pdf). Bulletin Economique Russe (프랑스어) 9.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Sabol, Steven (2017). 《"The Touch of Civilization": Comparing American and Russian Internal Colonization》.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47쪽. ISBN9781607325505.
↑David R. Marples. Heroes and Villains: Creating National History in Contemporary Ukraine. p.50
↑Marples, David R. (May 2009). “Ethnic Issues in the Famine of 1932–1933 in Ukraine”. Europe-Asia Studies61 (3): 505–518. doi:10.1080/09668130902753325. Geoffrey A. Hosking concluded that: Conquest’s research establishes beyond doubt, however, that the famine was deliberately inflicted there [in Ukraine] for ethnic reasons...Craig Whitney, however, disagreed with the theory of genoc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