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린

퍼포린의 리본 다이어그램

퍼포린(Perforin)세포독성 T세포(CTL)와 자연 살해 세포(NK 세포)의 과립에서 발견되는 기공 형성 세포용해 단백질이다.

기능

탈과립시 퍼포린 분자는 퍼포린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샤페론 단백질이 작용하는 칼레티쿨린의 도움으로 표적 세포로 이동한다. 이후 퍼포린은 막 인지질을 통해 표적 세포의 원형질막에 결합하는 반면 포스파티딜콜린은 칼슘 이온에 결합하여 막에 대한 퍼포린의 친화도를 증가시킨다.[1]

퍼포린은 Ca2+의 의존적 방식으로 표적 세포에 기공을 형성한다. 형성된 기공은 그랜자임으로 알려진 프로-아폽토시스 프로테아제 계열의 표적 세포로의 수동 확산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2] 퍼포린의 용해막 삽입 부분은 MACPF 도메인이다.[3] 이 영역은 그람 양성 박테리아의 콜레스테롤 의존성 세포용해소와 상동성을 공유한다.[4]

퍼포린은 보체 성분 9(C9)와 구조적 및 기능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C9와 마찬가지로 이 단백질은 막관통 세관을 생성하고 비특이적으로 다양한 표적 세포를 용해할 수 있다. 이 단백질은 세포용해과립의 주요 세포용해 단백질 중 하나로, T세포자연살해세포 매개 세포용해의 핵심 영향을 주는 분자로 알려져 있다.[5] 퍼포린은 원형질막에 구멍을 만들어 칼슘 유입을 유발하고, 막 복구 메커니즘을 시작함으로써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복구 메커니즘은 퍼포린과 그랜자임을 초기 엔도솜으로 가져온다.[6]

임상적 중요성

퍼포린이 결함이 있는 PRF1 대립형질의 동형접합 유전은 드물고, 치명적인 유아기 상염색체 열성 장애인 가족성 혈구탐식성 림프조직구증가증 2형(FHL2)의 발병을 초래한다.[5]

상호작용

퍼포린은 칼레티쿨린과 상호작용한다.[7]

같이 보기

각주

  1. Osińska, Iwona et al.
  2. Trapani JA (1996). “Target cell apoptosis induced by cytotoxic T cells and natural killer cells involves synergy between the pore-forming protein, perforin, and the serine protease, granzyme B”.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Medicine》 25 (6): 793–9. doi:10.1111/j.1445-5994.1995.tb02883.x. PMID 8770355. 
  3. Tschopp J; Masson D; Stanley KK (1986). “Structural/functional similarity between proteins involved in complement- and cytotoxic T-lymphocyte-mediated cytolysis”. 《Nature》 322 (6082): 831–4. Bibcode:1986Natur.322..831T. doi:10.1038/322831a0. PMID 2427956. 
  4. “A common fold mediates vertebrate defense and bacterial attack”. 《Science》 317 (5844): 1548–51. 2007. Bibcode:2007Sci...317.1548R. doi:10.1126/science.1144706. PMID 17717151. 
  5. “Entrez Gene: PRF1 perforin 1 (pore forming protein)”. 
  6. “Perforin pores in the endosomal membrane trigger the release of endocytosed granzyme B into the cytosol of target cells”. 《Nat. Immunol.》 12 (8): 770–7. 2011. doi:10.1038/ni.2050. PMC 3140544. PMID 21685908. 
  7. “Interaction between a Ca2+-binding protein calreticulin and perforin, a component of the cytotoxic T-cell granules”. 《Biochemistry》 37 (29): 10386–94. July 1998. doi:10.1021/bi980595z. PMID 9671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