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신경얼기
팔신경얼기 (brachial plexus) 또는 상완신경총 (上腕神經叢), 완신경총 은 아래쪽 네 개의 목신경 과 첫째 가슴신경 (C5 , C6 , C7 , C8 , T1 )의 앞가지 에 의해 형성되는 신경얼기 이다. 팔신경얼기는 척수 에서 시작하여 첫째 갈비뼈 위쪽에서 목 의 목겨드랑관 을 지나 겨드랑 으로 들어간다. 가슴 , 어깨 , 팔, 손의 들신경섬유 와 날신경섬유 로 분포한다.
구조
팔신경얼기는 다섯 개의 뿌리(roots), 세 개의 줄기(trunks), 여섯 개의 갈래(divisions, 세 개는 앞갈래이며 세 개는 뒤갈래), 세 개의 다발(cords), 다섯 개의 가지(branches)로 나누어진다. 팔신경얼기에서는 다섯 개의 종말가지(terminal branches)와 많은 수의 곁가지(collateral branches, 또는 pre-terminal branches)가 나온다.[ 1] 곁가지들은 팔신경얼기의 다양한 지점에서 갈라져 나간다.[ 2] 카데바 해부에서 팔신경얼기의 각 부분을 구분하기 위해 흔히 사용하는 구조는 근육피부신경 , 가쪽다발 , 정중신경 , 안쪽다발 , 자신경 이 이루는 M 또는 W 모양의 구조이다.
뿌리
다섯 개의 뿌리는 다섯 개 척수신경 앞가지 가 목의 근육들에 분포하는 신경을 낸 뒤에 불리는 명칭이다. 팔신경얼기는 C5, C6, C7, C8, T1 다섯 개의 척수신경에서 형성된다. C5와 C6는 위줄기를, C7은 쭉 이어져 중간줄기를, C8와 T1은 아래줄기를 형성한다. 일부 경우에서는 C4와 T2가 팔신경얼기 형성에서 기여할 수 있다. 등쪽어깨신경은 위줄기에서 갈라져 나와[ 2] 어깨뼈 를 뒤로 들이고 아래쪽으로 돌리는 마름근 에 분포한다. 빗장밑근신경 은 C5와 C6에서 시작하여 호흡 하는 도중 첫째 갈비뼈를 올리는 빗장밑근 에 분포한다. C5, C6, C7에서 시작하는 긴가슴신경 은 어깨뼈를 가쪽으로 움직이고 앞으로 내미는 작용을 하는 앞톱니근 에 분포한다.
줄기
다섯 개의 뿌리가 서로 합쳐져 세 개의 줄기를 형성한다.
위줄기 (upper 또는 superior trunk) - C5와 C6가 합쳐져 형성
중간줄기(middle trunk) - C7이 그대로 연속되어 형성
아래줄기(lower 또는 inferior trunk) - C8과 T1이 합쳐져 형성
갈래
각 줄기가 두 개의 갈래로 갈라져 총 여섯 개의 갈래가 만들어진다.
위줄기, 중간줄기, 아래줄기의 앞갈래(anterior division)
위줄기, 중간줄기, 아래줄기의 뒤갈래(posterior division)
해부학적 위치에서 몸을 관찰하면 앞갈래가 뒤갈래보다 얕은 쪽에 위치한다.
다발
여섯 개의 갈래는 세 개의 다발을 이룬다. 갈래의 이름은 겨드랑동맥 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붙여졌다.
뒤다발 은 세 줄기의 뒤갈래가 합쳐져 만들어진다. (C5-C8, T1)
가쪽다발 은 위줄기와 중간줄기의 앞갈래가 합쳐져 만들어진다. (C5-C7)
안쪽다발 은 아래줄기의 앞갈래가 연속된 것이다. (C8, T1)
도표
팔신경얼기 의 해부학적 구조 뿌리, 줄기, 갈래, 다발이 표시되어 있다. 각 가지의 이름을 클릭하면 위키백과의 각 신경 문서로 이동할 수 있다.
가지
팔신경얼기에서 갈라져 나가는 가지들의 목록이 아래에 써져 있다. (이탤릭체로 표시된) 몇몇 가지들은 다발을 형성하기 이전에 갈라져 나가는 가지들이다. 위의 도표에서 왼쪽의 근육피부신경 , 겨드랑신경 , 노신경 , 정중신경 , 자신경 은 마지막 가지인 종말가지이다. 근육피부신경과 정중신경은 모두 가쪽다발에서 갈라져 나오기 때문에 연결되어 있다. 근육피부신경은 정중신경으로 가지를 보내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1]
가지가 나오는 패턴에는 여러 변이가 있지만 매우 드물다.[ 3]
볼드체 (굵은 글씨)는 신경을 구성하는 주된 척수신경 성분이며, 이탤릭체 (기울임체)는 자주 신경을 구성하지만 항상 기여하지는 않는 척수신경 성분이다.
시작 위치
신경
뿌리[ 4]
근육 분포
피부 분포
뿌리
등쪽어깨신경
C4 , C5
마름근 , 어깨올림근
-
뿌리
긴가슴신경
C5 , C6 , C7
앞톱니근
-
뿌리
가로막신경 으로의 가지
C3, C4, C5
가로막
-
위줄기
빗장밑근신경
C5 , C6
빗장밑근
-
위줄기
어깨위신경
C5 , C6
가시위근 , 가시아래근
-
가쪽다발
가쪽가슴근신경
C5, C6 , C7
큰가슴근 , 작은가슴근 (안쪽가슴근신경 과 교통하여 분포)
-
가쪽다발
근육피부신경
C5, C6, C7
부리위팔근 , 위팔근 , 위팔두갈래근
이후 아래팔의 앞가쪽 피부와 팔꿉관절 에 분포하는 가쪽아래팔피부신경 이 된다.[ 2]
가쪽다발
정중신경 의 가쪽뿌리
C5 , C6, C7
정중신경으로의 섬유
(아래의 '정중신경의 안쪽뿌리' 참고)
-
뒤다발
위어깨밑신경
C5, C6
가시위근 (위쪽 부분)
-
뒤다발
가슴등신경 (중간어깨밑신경이라고도 함)
C6, C7 , C8
넓은등근
-
뒤다발
아래어깨밑신경
C5, C6
가시위근 아래쪽 부분, 큰원근
-
뒤다발
겨드랑신경
C5 , C6
앞가지: 어깨세모근 과 그 얕은 쪽 피부 약간 뒤가지: 작은원근 과 어깨세모근
뒤가지는 위가쪽위팔피부신경 이 되어 어깨 가쪽과 위팔, 어깨관절 에 분포한다.[ 2]
뒤다발
노신경
C5, C6, C7, C8, T1
위팔세갈래근 , 손뒤침근 , 팔꿈치근 , 아래팔 의 폄근, 위팔노근
뒤위팔피부신경 을 통해 위팔 뒤쪽의 피부에 분포. 노신경 얕은가지는 엄지와 집게손가락 사이의 피부를 포함한 손등 쪽 면에 분포.
안쪽다발
안쪽가슴근신경
C8, T1
큰가슴근 , 작은가슴근
-
안쪽다발
정중신경 의 안쪽뿌리
C8, T1
자쪽손목굽힘근 을 제외한 모든 아래팔 굽힘근, 둘째와 셋째 손가락에 분포하는 깊은손가락굽힘근 , 첫째와 둘째 벌레근 , (되돌이엄지가지를 통해) 엄지두덩 의 근육들
노신경과 자신경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 손의 피부. 엄지손가락 의 손바닥 쪽 피부, 집게손가락 과 가운뎃손가락 , 약손가락 의 절반, 이 손가락들의 손톱
안쪽다발
안쪽위팔피부신경
C8, T1
-
위팔의 앞쪽과 안쪽 피부
안쪽다발
안쪽아래팔피부신경
C8, T1
-
아래팔의 안쪽 피부
안쪽다발
자신경
C7, C8, T1(C7 성분은 자쪽손목굽힘근에 분포)
자쪽손목굽힘근 , 깊은손가락굽힘근 의 넷째와 다섯째 손가락 부분, 엄지두덩근육과 첫째, 둘째 벌레근을 제외한 모든 손의 자체기원근육.
손의 안쪽, 안쪽 손가락 1.5개의 손바닥 쪽 면, 안쪽 손가락 2.5개의 손등 쪽 면
기능
팔신경얼기는 팔의 근육과 피부에 분포한다. 팔신경얼기의 신경이 분포하지 않는 예외는 척수더부신경 이 분포하는 등세모근 과 갈비사이위팔신경 이 분포하는 겨드랑이 주변의 피부이다. 팔신경얼기는 신경얼기 뿌리와 합류하는 회색교통가지 를 통해 교감신경줄기 와 교통한다.
팔신경얼기의 다섯 종말가지는 모두 특별한 감각, 운동, 고유수용성감각 기능을 가진다.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서의 분포는 아래와 같다.[ 5] [ 6]
종말가지
감각 분포
근육 분포
근육피부신경
아래팔 앞가쪽의 피부
위팔근, 위팔두갈래근, 부리위팔근
겨드랑신경
어깨와 위팔의 가쪽 피부
어깨세모근, 작은원근
노신경
가쪽 아래팔과 손목 의 뒤쪽, 뒤쪽 위팔
위팔세갈래근, 위팔노근, 팔꿈치근, 뒤쪽 위팔과 아래팔의 폄근
정중신경
손의 가쪽 2/3 부위와 첫째-넷째 손가락의 끝부분 피부
아래팔 굽힘근, 엄지두덩근, 첫째와 둘째 벌레근
자신경
손바닥, 손의 안쪽, 셋째-다섯째 손가락의 피부
새끼두덩, 일부 아래팔 굽힘근, 엄지모음근, 셋째와 넷째 벌레근, 뼈사이근
추가 이미지
빗장뼈 아래쪽 부위의 겨드랑오목에서 본 오른쪽 팔신경얼기의 신경들.
해부된 카데바 표본에서 본 팔신경얼기의 먼쪽 부분.
팔신경얼기.
팔신경얼기의 가지들을 보여주는 모식도.
팔신경얼기의 다이어그램. 각 신경 뿌리가 어떤 가지로 이어지는지 색깔별로 표시되어 있다.
C5-T1 앞가지를 포함한 팔신경얼기의 모식도.
척수신경의 혼합섬유.
같이 보기
각주
↑ 가 나 Kawai, H; Kawabata, H (2000). 《Brachial Plexus Palsy》. Singapore: World Scientific. 6, 20쪽. ISBN 9810231393 .
↑ 가 나 다 라 Saladin, Kenneth (2015). 《Anatomy and Physiology》 7판. New York: McGraw Hill. 489 –491쪽. ISBN 9789814646437 .
↑ Goel, Shivi; Rustagi, SM; Kumar, A; Mehta, V; Suri, RK (2014년 3월 13일). “Multiple unilateral variations in medial and lateral cords of brachial plexus and their branches” . 《Anatomy & Cell Biology》 47 (1): 77–80. doi :10.5115/acb.2014.47.1.77 . PMC 3968270 . PMID 24693486 .
↑ Moore, K.L.; Agur, A.M. (2007). 《Essential Clinical Anatomy》 3판.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30 –1쪽. ISBN 978-0-7817-6274-8 .
↑ Saladin, Kenneth (2007). 《Anatomy and Physiology: The Unity of Form and Function》 . New York, NY: McGraw-Hill. 491 쪽. ISBN 9789814646437 .
↑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 《www.nysora.com》. New York School of Regional Anesthesia. 2013년 9월 20일. 2017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추가 자료
Saladin, Kenneth (2014). 《Anatomy and Physiology》 7판. McGraw-Hill Education. 491쪽.
Kishner, Stephen. “Brachial Plexus Anatomy” . 《Medscape》. WebMD. 2015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