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권여신
주권여신(영어: Sovereignty goddess, 아일랜드어: Bandia an Fhlaithis)이란, 거의 켈트학에서만 사용되는 용어로서, 영토가 의인화된 여신이자 그 영토를 다스리는 왕과 결혼하고 성교함으로써 왕에게 주권을 부여하는 여신들이다. 근동-그리스의 히에로스 가모스와 비슷한 개념이다.[1] 켈트 신화에서 가장 심도깊게 연구된 주제 중 하나다.[2][3][4][5] 그러나 최근에는 웨일스 및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모든 여성들이 주권여신에서 파생된 존재라고 해석하는 것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6]
역사적 증거
그리스-로마의 기록을 보면, 켈트족 사회에서 캄마, 카르티만두아 등의 여성들이 여신과 결부된 역할을 했다.[7] 또한 중세 아일랜드의 의례를 살펴보면, 새로운 왕의 즉위를 “왕-됨의 결혼식(아일랜드어: banais ríghe)”이라 하여, 왕이 되는 것이 곧 영토와 결혼하는 것으로 상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8] 1188년에 작성된 『히베르니아 지리지』에는 케넬 코날 왕이 즉위하면서 백마와 수간하는 의식을 치루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말은 도축된 뒤 국으로 끓이는데, 국을 끓일 때 왕이 솥 안에 들어가서 땀을 낸 뒤 그 국물을 왕과 백성들이 모두 나누어 음복했다고 한다.[9] 이것은 켈트족 특유의 말의 여신과의 관련성을 강하게 시사한다(‘말=여신=국토=주권’과의 결합).
주권여신의 관념이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문헌은 「오하드의 아홉 아들들의 모험」(Echtra Mac nEchach)이다. 이 이야기에 보면 무시무시하게 생긴 추녀가 오하드 무그머돈 왕의 젊은 아들들에게 물을 주면서 자기에게 그 답례로 키스를 해 달라고 요구하는데, 니얼만이 키스를 해주었을 뿐 아니라 아예 그녀와 성교까지 했다. 그러자 추녀는 미녀로 변해서 자신이 의인화된 “주권(in flaithes)”이며, 니얼이 타라의 왕이라고 선언한다.[10] 이 이야기는 니얼의 후예를 자처하는 이 넬 왕조가 대권을 잡은 뒤 윤색된 위사일 가능성이 농후하지만, 그만큼 “국토-주권이 의인화된” 여신과의 성적 결합이 남자 왕의 정통성을 보증하는 요소였음을 방증한다.[11]
비판
주권여신의 전통이 중세 초기 아일랜드에 존재했다는 증거는 분명해 보이며, 이에 따라 켈트학자들은 켈트 신화에 등장하는 여러 여성 캐릭터들을 에우헤메로스화된 주권여신들이라고 해석했다. 이런 식의 신화 해석은 1920년대 케임브리지 의례학파에서 본격적으로 시작했다.[12] 이런 식으로 해석된 여성 캐릭터로는 귀네비어[13][14][15] 칼러흐 베러,[16] 메브,[17] 리아논,[18] 모리안, 마하, 버이브 등이 있다.[19] 제프리 초서의 「바스부인 이야기」에 나오는 “흉칙한 부인”도 이런 관점에서 해석되었다.[20][21] 브리타 어슬링거는 고아일랜드어 문학에 나타나는 이들 여성 캐릭터들의 이름이 어원적으로 지배권과 관련이 있거나 아예 국명이 여성화된 이름이고, 또한 그들의 서사가 무언가 마시는 행위와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권여신들로부터 파생된 존재라고 주장한다.[22]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정설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23] 예컨대 고름플리어흐 잉겐 돈카다, 고름플리어흐 잉겐 플란 신나, 고름플리어흐 잉겐 무르하더 등 9세기-10세기의 여왕들의 이야기가 주권여신 관념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독해되어 왔는데, 증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다.[24] 또한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 캐릭터들이 주권여신 전통과 어떠한 역사적 관련이 있다 하더라도 모든 것을 그 렌즈를 통해서만 보는 것은 지나친 환원주의라는 비판도 있다.[25]
각주
- ↑ James MacKillop, A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s.v. Sovereignty, Lady.
- ↑ Victoria Simmons, 'Sovereignty Myth', in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ed. by John T. Koch (Santa Barbara: ABC-CLIO, 2005), s.v.
- ↑ Cf. Proinsias Mac Cana, ‘Aspects of the theme of king and goddess in Irish literature’, Études Celtiques, 7 (1955-56), 76-114, 356-413 and 8 (1958-9), 59-65.
- ↑ Cf. J. Doan, 'Sovereignty Aspects in the Roles of Women in Medieval Irish and Welsh Society', Proceedings of the Harvard Celtic Colloquium, 5 (1985), 87-102.
- ↑ Breatnach, R. A. (1953). “The Lady and the King a Theme of Irish Literature”. 《Studies: An Irish Quarterly Review》 42 (167): 321–336. JSTOR 30098456.
- ↑ Sessle, Erica J. (1994). “Exploring the Limitations of the Sovereignty Goddess through the Role of Rhiannon”. 《Proceedings of the Harvard Celtic Colloquium》 14: 9–13. JSTOR 20557270.
- ↑ Victoria Simmons, 'Sovereignty Myth', in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ed. by John T. Koch (Santa Barbara: ABC-CLIO, 2005), s.v.
- ↑ James MacKillop, A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s.v. Sovereignty, Lady; http://oxfordindex.oup.com/view/10.1093/oi/authority.20110803095444376 보관됨 7 11월 2017 - 웨이백 머신.
- ↑ Medieval Ireland: An Encyclopedia, ed. by Seán Duffy (New York: Routledge, 2005), s.v. Feis
- ↑ Victoria Simmons, 'Sovereignty Myth', in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ed. by John T. Koch (Santa Barbara: ABC-CLIO, 2005), s.v.
- ↑ James MacKillop, A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s.v. Sovereignty, Lady.
- ↑ Sessle, Erica J. (1994). “Exploring the Limitations of the Sovereignty Goddess through the Role of Rhiannon”. 《Proceedings of the Harvard Celtic Colloquium》 14: 9–13. JSTOR 20557270. , citing Máille, Tomas Ó (1928). “Medb Chruachna”. 《Zeitschrift für celtische Philologie》 17: 129–163. doi:10.1515/zcph.1928.17.1.129. S2CID 202160774.
- ↑ Proinsias Mac Cana, ‘Aspects of the Theme of the King and Goddess’, ‘’Étude Celtique’’, 6 (1955), 356-413.
- ↑ Roger Sherman Loomis, The Grail, from Celtic Myth to Christian Symbol (Cardiff: Wales University Press, 1963).
- ↑ Flint F. Johnson, Origins of Arthurian Romances (Jefferson: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2012).
- ↑ Jo Radner, 'The Hag of Beare: The Folklore of a Sovereignty Goddess', Tennessee Folklore Society Bulletin, 40 (1970), 75-81.
- ↑ Tomas Ó Máille, 'Medb Chruachna', Zeitschrift für celtische Philologie, 17 (1928), 129-63.
- ↑ Catherine A. McKenna, 'The Theme of Sovereignty in Pwyll’, Bulletin of the Board of Celtic Studies, 29 (1980), 35-52.
- ↑ Francoise Le Roux and Christian-J. Guyonvarc'h, La Souveraineté guerriére de l'Irlande: Mórrígan, Bodb, Macha (Rennes, 1983).
- ↑ Sigmund Eisner, Tale of Wonder: Source Study for the Wife of Bath's Tale (Wexford, 1957).
- ↑ Victoria Simmons, 'Sovereignty Myth', in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ed. by John T. Koch (Santa Barbara: ABC-CLIO, 2005), s.v.
- ↑ Britta Irslinger, “Medb 'the intoxicating one'? (Re-)constructing the past through etymology”, Ulidia 4.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Ulster Cycle of Tales. Queens-University, Belfast, 27–29 June 2013, eds. Mícheál Ó Mainnín and Gregory Toner (Dublin, 2017), pp. 38-94.
- ↑ Roberta Frank, ‘The Lay of the Land in Skaldic Poetry’, in Myth in Early Northwest Europe, ed. by Stephen O. Glosecki, Medieval and Renaissance Texts and Studies, 320/Arizona Studies in the Middle Ages and the Renaissance, 21 (Tempe, AZ: Arizona Center for Medieval and Renaissance Studies, 2007), pp. 175–96.
- ↑ Mhaonaigh, Máire Ní (2002). “Tales of Three Gormlaiths in Medieval Irish Literature”. 《Ériu》 52: 1–24. JSTOR 30008176.
- ↑ Sessle, Erica J. (1994). “Exploring the Limitations of the Sovereignty Goddess through the Role of Rhiannon”. 《Proceedings of the Harvard Celtic Colloquium》 14: 9–13. JSTOR 2055727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