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유두종(Papillary carcinomas of the breast, PCB)은 유방암의 희귀 형태이다.[1] 세계보건기구(2019)는 유방의 유두상 신생물(예: 양성 또는 암성 종양)을 관내 유두종, 유두관 상피내암종(PDCIS), 피막성 유두암종(EPC), 고형유두암종(SPC)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및 침윤성 유두암종(IPC)이 있다. 여기서는 후자의 4가지 암종이 고려된다. 관내 유두종은 양성 신생물이다.[2] 세계보건기구(WHO)는 고형 유두상 암종에는 상피내 SPC와 침윤성 SPC라는 두 가지 아형이 있는 것으로 간주했다.[3]
PCB는 외분비선이나 기관, 혈관 또는 많은 내부 장기의 충치 내부 표면으로 이어지는 관의 외부 표면을 덮는 상피 세포에서 발생한다. PCB는 유선관의 상피 세포에서 유래된 암종이다.[1] 이는 임상적으로, 조직학적으로, 생물학적으로 이질적인 유방암 그룹으로, 다른 유두상 유방 병변은 물론 서로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4] PBS 종양을 식별하려면 유방의 유두 병변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유방 병리학자의 의견이 필요할 수 있다.[3][5][6][7][8]
네 가지 유형의 PCB는 부분적으로 다음을 포함한 몇 가지 미세한 특징으로 정의되고 진단된다.
- 인접한 정상 조직으로의 종양 침범의 존재
- 근상피 세포, 즉 일반적으로 유선관의 기저막에 위치하며 수축하여 유선에서 젖을 배출하는 세포의 존재 및 위치 근상피 세포의 두 가지 마커인 사이토케라틴 5 및 케라틴 6A를 검출하는 6개의 항체[3][6]
- 암종을 둘러싸는 두꺼운 섬유질 피막의 존재[6]
- 신경내분비 분화 영역의 존재, 즉 특히 신경분비 과립, 즉 뉴런에서 발견되는 직경 약 180 나노미터의 세포질 과립의 존재를 포함하여 신경과 호르몬 생산 세포의 특징을 결합한 특징을 가진 축적된 종양 세포 부위 분비세포[9]
- 점액 함유 과립을 함유하는 인장 고리 모양 세포의 존재[10]
각주
- ↑ 가 나 Huang K, Appiah L, Mishra A, Bagaria SP, Gabriel ME, Misra S (May 2021).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Invasive Papillary Carcinoma of the Breast”. 《The Journal of Surgical Research》 261: 105–112. doi:10.1016/j.jss.2020.12.026. PMID 33422900. S2CID 231575839.
- ↑ Athanasiou A, Khomsi F, de Joliniere B, Feki A (2021). “Encapsulated Papillary Carcinoma: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Frontiers in Surgery》 8: 743881. doi:10.3389/fsurg.2021.743881. PMC 8854492. PMID 35187043.
- ↑ 가 나 다 Brogi E, Krystel-Whittemore M (January 2021). “Papillary neoplasms of the breast including upgrade rates and management of intraductal papilloma without atypia diagnosed at core needle biopsy”. 《Modern Pathology》 34 (Suppl 1): 78–93. doi:10.1038/s41379-020-00706-5. PMID 33106592. S2CID 225072361.
- ↑ Kulka J, Madaras L, Floris G, Lax SF (January 2022). “Papillary lesions of the breast”. 《Virchows Archiv》 480 (1): 65–84. doi:10.1007/s00428-021-03182-7. PMC 8983543. PMID 34734332.
- ↑ Tariq MU, Idress R, Qureshi MB, Kayani N (December 2020). “Encapsulated papillary carcinoma of breast;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25 cases and literature review with emphasis on high grade variant”. 《Annals of Diagnostic Pathology》 49: 151613. doi:10.1016/j.anndiagpath.2020.151613. PMID 32911448. S2CID 221622997.
- ↑ 가 나 다 Ross DS, D'Alfonso TM (March 2022). “Papillary Neoplasms of the Breast: Diagnostic Features and Molecular Insights”. 《Surgical Pathology Clinics》 15 (1): 133–146. doi:10.1016/j.path.2021.11.009. PMID 35236629. S2CID 246465764.
- ↑ Tay TK, Tan PH (June 2021). “Papillary neoplasms of the breast-reviewing the spectrum”. 《Modern Pathology》 34 (6): 1044–1061. doi:10.1038/s41379-020-00732-3. PMID 33462367. S2CID 231639987.
- ↑ Morgan S, Dodington D, Wu JM, Turashvili G (2021). “Solid Papillary Carcinoma and Encapsulated Papillary Carcinoma of the Breast: Clinical-Pathologic Features and Basement Membrane Studies of 50 Cases”. 《Pathobiology》 88 (5): 359–373. doi:10.1159/000517189. PMID 34265775. S2CID 235960649.
- ↑ Tsang JY, Tse GM (June 2021). “Breast cancer with neuroendocrine differentiation: an update based on the latest WHO classification”. 《Modern Pathology》 34 (6): 1062–1073. doi:10.1038/s41379-021-00736-7. PMID 33531618. S2CID 231745657.
- ↑ Nassar H, Qureshi H, Adsay NV, Volkanadsay N, Visscher D (April 2006).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solid papillary carcinoma of the breast and associated invasive carcinoma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30 (4): 501–7. doi:10.1097/00000478-200604000-00011. PMID 16625097. S2CID 30657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