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위너 과정
확률 과정 이론에서, 위너 확률 과정 (Wiener確率過程, 영어 : Wiener stochastic process ) 또는 위너 과정 (Wiener過程)은 시간차
Δ Δ -->
t
{\displaystyle \Delta t}
의 증분의 확률 분포 가 평균 0, 분산
Δ Δ -->
t
{\displaystyle \Delta t}
의 정규 분포 를 이루며, 각 증분이 서로 독립이며, 그 궤적이 거의 확실하게 연속 적인 연속 시간 확률 과정 이다.
정의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유한 차원 유클리드 공간
R
d
{\displaystyle \mathbb {R} ^{d}}
확률 공간
Ω Ω -->
{\displaystyle \Omega }
확률 과정
(
W
t
: : -->
Ω Ω -->
→ → -->
R
n
)
t
∈ ∈ -->
[
0
,
∞ ∞ -->
)
{\displaystyle (W_{t}\colon \Omega \to \mathbb {R} ^{n})_{t\in [0,\infty )}}
이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면, 위너 확률 과정 (영어 : Wiener stochastic process )이라고 한다.
임의의
t
∈ ∈ -->
[
0
,
∞ ∞ -->
)
{\displaystyle t\in [0,\infty )}
및
Δ Δ -->
t
>
0
{\displaystyle \Delta t>0}
에 대하여, 확률 변수
W
t
+
Δ Δ -->
t
− − -->
W
t
: : -->
Ω Ω -->
→ → -->
V
{\displaystyle W_{t+\Delta t}-W_{t}\colon \Omega \to V}
의 확률 분포 는 평균이 0이며 분산 이
t
{\displaystyle t}
인 정규 분포
N
(
0
,
Δ Δ -->
t
)
{\displaystyle {\mathcal {N}}(0,\Delta t)}
이다.
(초기 조건)
Pr
(
W
0
=
0
)
=
1
{\displaystyle \Pr(W_{0}=0)=1}
. 즉, 거의 확실하게
W
0
=
0
{\displaystyle W_{0}=0}
이다.
임의의
0
≤ ≤ -->
s
≤ ≤ -->
t
≤ ≤ -->
u
{\displaystyle 0\leq s\leq t\leq u}
에 대하여,
W
u
− − -->
W
t
{\displaystyle W_{u}-W_{t}}
와
W
s
{\displaystyle W_{s}}
는 서로 독립 이다.
Pr
(
W
t
∈ ∈ -->
C
0
(
R
,
V
)
)
=
1
{\displaystyle \Pr(W_{t}\in {\mathcal {C}}^{0}(\mathbb {R} ,V))=1}
. 즉,
W
t
{\displaystyle W_{t}}
는 거의 확실하게 연속 함수
R
→ → -->
V
{\displaystyle \mathbb {R} \to V}
를 이룬다. 다시 말해,
임의의
ω ω -->
∈ ∈ -->
Ω Ω -->
{\displaystyle \omega \in \Omega }
및 임의의
ϵ ϵ -->
>
0
{\displaystyle \epsilon >0}
및 임의의
t
∈ ∈ -->
[
0
,
∞ ∞ -->
)
{\displaystyle t\in [0,\infty )}
에 대하여,
∀ ∀ -->
s
∈ ∈ -->
(
t
− − -->
δ δ -->
,
t
+
δ δ -->
)
: : -->
‖ ‖ -->
W
max
{
0
,
s
}
(
ω ω -->
)
− − -->
W
t
(
ω ω -->
)
‖ ‖ -->
<
ϵ ϵ -->
{\displaystyle \forall s\in (t-\delta ,t+\delta )\colon \|W_{\max\{0,s\}}(\omega )-W_{t}(\omega )\|<\epsilon }
이 되게 하는 양의 실수
δ δ -->
>
0
{\displaystyle \delta >0}
가 존재한다.
연산
1차원 위너 확률 과정의 자기 유사성
위너 확률 과정
(
W
t
: : -->
Ω Ω -->
→ → -->
R
n
)
t
∈ ∈ -->
[
0
,
∞ ∞ -->
)
{\displaystyle (W_{t}\colon \Omega \to \mathbb {R} ^{n})_{t\in [0,\infty )}}
이 주어졌을 때, 확률 과정
α α -->
− − -->
1
W
α α -->
2
t
{\displaystyle \alpha ^{-1}W_{\alpha ^{2}t}}
역시 위너 확률 과정을 이룬다. 즉, 그 그래프는 일종의 프랙털 을 이룬다.
W
t
{\displaystyle W_{t}}
가 유클리드 공간
V
{\displaystyle V}
값의 위너 확률 과정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부분 벡터 공간
V
′
≤ ≤ -->
V
{\displaystyle V'\leq V}
에 대하여,
proj
V
′
-->
W
t
{\displaystyle \operatorname {proj} _{V'}W_{t}}
역시
V
′
{\displaystyle V'}
값의 위너 확률 과정이다.
임의의 직교 행렬
M
∈ ∈ -->
O
-->
(
V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O} (V)}
및
V
{\displaystyle V}
값의 위너 확률 과정
(
W
t
: : -->
Ω Ω -->
→ → -->
V
)
t
∈ ∈ -->
[
0
,
∞ ∞ -->
)
{\displaystyle (W_{t}\colon \Omega \to V)_{t\in [0,\infty )}}
에 대하여,
M
W
t
{\displaystyle MW_{t}}
역시
V
{\displaystyle V}
값의 위너 확률 과정이다.
예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확률 공간
Ω Ω -->
{\displaystyle \Omega }
실수 힐베르트 공간
L
2
-->
(
[
0
,
1
]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2}([0,1],\mathbb {R} )}
의 정규 직교 기저
(
f
i
: : -->
[
0
,
1
]
→ → -->
R
)
i
∈ ∈ -->
I
{\displaystyle (f_{i}\colon [0,1]\to \mathbb {R} )_{i\in I}}
. 여기서
I
{\displaystyle I}
는 임의의 가산 무한 집합 이다.
서로 독립 이며, 평균 0, 분산 1의 정규 분포 를 따르는 확률 변수 들의 열
(
X
i
: : -->
Ω Ω -->
→ → -->
R
)
i
∈ ∈ -->
I
{\displaystyle (X_{i}\colon \Omega \to \mathbb {R} )_{i\in I}}
그렇다면, 임의의
t
∈ ∈ -->
[
0
,
1
]
{\displaystyle t\in [0,1]}
에 대하여, 급수
W
(
t
)
=
∑ ∑ -->
i
∈ ∈ -->
I
X
i
⟨ ⟨ -->
1
[
0
,
t
]
|
f
i
⟩ ⟩ -->
L
2
-->
(
[
0
,
1
]
,
R
)
∈ ∈ -->
L
2
-->
(
[
0
,
1
]
,
R
)
{\displaystyle W(t)=\sum _{i\in I}X_{i}\langle 1_{[0,t]}|f_{i}\rangle _{\operatorname {L} ^{2}([0,1],\mathbb {R} )}\in \operatorname {L} ^{2}([0,1],\mathbb {R} )}
는 (
L
2
-->
(
[
0
,
1
]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2}([0,1],\mathbb {R} )}
의 거리 위상 에서) 수렴한다. (여기서
1
[
0
,
t
]
{\displaystyle 1_{[0,t]}}
는 폐구간의 지시 함수 이다.) 이는 위너 확률 과정의 정의를 거의 확실한 연속성만을 제외하고 모두 만족시킨다.
만약 정규 직교 기저 를
f
i
(
x
)
=
{
2
cos
-->
(
π π -->
i
x
)
i
∈ ∈ -->
{
1
,
2
,
… … -->
}
1
i
=
0
{\displaystyle f_{i}(x)={\begin{cases}{\sqrt {2}}\cos(\pi ix)&i\in \{1,2,\dotsc \}\\1&i=0\end{cases}}}
로 잡는다면, 위 급수가
t
∈ ∈ -->
[
0
,
1
]
{\displaystyle t\in [0,1]}
에 대하여 균등 수렴 하는 것을 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급수는 위너 확률 과정을 이룬다.
역사
노버트 위너 의 이름을 땄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