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통계역학 (영어 : Quantum statistical mechanics )은 양자역학 적인 시스템의 앙상블 을 다루는 학문을 일컫는다. 고전통계역학 에서는 계의 상태가 위상 공간 의 한 점으로 나타내어 졌다면, 양자통계역학에서는 힐베르트 공간 에서의 벡터인
|
ψ ψ -->
⟩ ⟩ -->
{\displaystyle |\psi \rangle }
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고전통계역학에서의 위상 공간 밀도(위상 공간 상에서의 미시상태의 밀도)는 양자통계역학에서 밀도 연산자
ρ ρ -->
{\displaystyle {\boldsymbol {\rho }}}
, 또는 밀도 행렬
{
ρ ρ -->
k
′
,
k
}
{\displaystyle \{\rho _{k',k}\}}
에 대응된다. 밀도 연산자는 음이 아니고 자기수반 하며 양자역학적 시스템을 기술하는 힐베르트 공간 H 에서 대각합 이 1이다.
기댓값
양자역학 에서 관측가능량 (observable)
A
{\displaystyle A}
의 기댓값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A
⟩ ⟩ -->
Q
M
=
⟨ ⟨ -->
ψ ψ -->
E
(
i
)
|
A
|
ψ ψ -->
E
(
i
)
⟩ ⟩ -->
{\displaystyle \langle \mathbf {A} \rangle _{QM}=\langle \psi _{E}^{(i)}|\mathbf {A} |\psi _{E}^{(i)}\rangle }
여기서
A
{\displaystyle \mathbf {A} }
는 관측가능량
A
{\displaystyle A}
에 대응되는 연산자 이고 E는 기저벡터가 에너지의 고유벡터들로 선택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며, (i)는 쓰인 벡터가 i번째 기저벡터임을 나타낸다.
한편, 동일한 계를 여러 번 관측했을 때의 통계적인 기댓값은 다음과 같다.
⟨ ⟨ -->
A
⟩ ⟩ -->
=
∑ ∑ -->
i
ρ ρ -->
i
⟨ ⟨ -->
ψ ψ -->
E
(
i
)
|
A
|
ψ ψ -->
E
(
i
)
⟩ ⟩ -->
{\displaystyle \langle \mathbf {A} \rangle =\sum _{i}\rho _{i}\langle \psi _{E}^{(i)}|\mathbf {A} |\psi _{E}^{(i)}\rangle }
밀도 연산자
임의의 기저공간의 기저벡터가
|
ϕ ϕ -->
k
⟩ ⟩ -->
{\displaystyle |\phi _{k}\rangle }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밀도 행렬 의 성분
ρ ρ -->
k
′
,
k
{\displaystyle \rho _{k',k}}
과 밀도 연산자 를 정의할 수 있다.
⟨ ⟨ -->
A
⟩ ⟩ -->
=
∑ ∑ -->
k
,
k
′
ρ ρ -->
k
′
,
k
⟨ ⟨ -->
ϕ ϕ -->
k
|
A
|
ϕ ϕ -->
k
′
⟩ ⟩ -->
{\displaystyle \langle \mathbf {A} \rangle =\sum _{k,k'}\rho _{k',k}\langle \phi _{k}|\mathbf {A} |\phi _{k'}\rangle }
=
∑ ∑ -->
k
,
k
′
⟨ ⟨ -->
ϕ ϕ -->
k
′
|
ρ ρ -->
|
ϕ ϕ -->
k
⟩ ⟩ -->
⟨ ⟨ -->
ϕ ϕ -->
k
|
A
|
ϕ ϕ -->
k
′
⟩ ⟩ -->
{\displaystyle =\sum _{k,k'}\langle \phi _{k'}|{\boldsymbol {\rho }}|\phi _{k}\rangle \langle \phi _{k}|\mathbf {A} |\phi _{k'}\rangle }
=
∑ ∑ -->
k
′
⟨ ⟨ -->
ϕ ϕ -->
k
′
|
ρ ρ -->
A
|
ϕ ϕ -->
k
′
⟩ ⟩ -->
{\displaystyle =\sum _{k'}\langle \phi _{k'}|{\boldsymbol {\rho }}\mathbf {A} |\phi _{k'}\rangle }
=
Tr
(
ρ ρ -->
A
)
{\displaystyle ={\mbox{Tr}}({\boldsymbol {\rho }}\mathbf {A} )}
여기서
Tr
(
ρ ρ -->
A
)
{\displaystyle {\mbox{Tr}}({\boldsymbol {\rho }}\mathbf {A} )}
는
ρ ρ -->
A
{\displaystyle {\boldsymbol {\rho }}\mathbf {A} }
의 대각합이다. 기저벡터를
|
ϕ ϕ -->
k
⟩ ⟩ -->
{\displaystyle |\phi _{k}\rangle }
로 잡았을 때
ρ ρ -->
k
′
,
k
{\displaystyle \rho _{k',k}}
는 밀도 행렬의
k
′
,
k
{\displaystyle k',k}
번째 성분에 해당되며, 밀도 연산자와는 아래와 같은 관계를 가진다.
ρ ρ -->
k
′
,
k
=
⟨ ⟨ -->
ϕ ϕ -->
k
′
|
ρ ρ -->
|
ϕ ϕ -->
k
⟩ ⟩ -->
{\displaystyle \rho _{k',k}=\langle \phi _{k'}|{\boldsymbol {\rho }}|\phi _{k}\rangle }
밀도 연산자는 규격화 조건에 의해
Tr
(
ρ ρ -->
)
=
∑ ∑ -->
i
ρ ρ -->
i
,
i
=
1
{\displaystyle {\mbox{Tr}}({\boldsymbol {\rho }})=\sum _{i}\rho _{i,i}=1}
을 만족하며, 에르미트 연산자 이므로
ρ ρ -->
† † -->
=
ρ ρ -->
{\displaystyle {\boldsymbol {\rho }}^{\dagger }={\boldsymbol {\rho }}}
도 만족한다.
ρ ρ -->
{\displaystyle {\boldsymbol {\rho }}}
의 시간에 대한 편미분이 0이고
H
{\displaystyle {\mbox{H}}}
가 헤밀토니언일 때
[
H
,
ρ ρ -->
]
=
0
{\displaystyle \left[{\mbox{H}},{\boldsymbol {\rho }}\right]=0}
임이 알려져 있고, 따라서 에너지 고유벡터 가 가장 편리한 기저벡터이며, 이러한 기저 공간에서 밀도 행렬의 성분은
ρ ρ -->
m
n
=
ρ ρ -->
m
δ δ -->
m
,
n
{\displaystyle \rho _{mn}=\rho _{m}\delta _{m,n}}
을 만족하게 된다.
작은 바른틀 앙상블
에너지 기저 공간에서의 작은 바른틀 앙상블 (microcanonical ensemble)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ρ ρ -->
n
=
{
1
/
Ω Ω -->
,
if
E
≤ ≤ -->
E
n
≤ ≤ -->
E
+
δ δ -->
E
0
,
otherwise
{\displaystyle \rho _{n}=\left\{{\begin{matrix}1/{\Omega },&{\mbox{if }}E\leq E_{n}\leq E+\delta E\\0,&{\mbox{otherwise}}\end{matrix}}\right.}
바른틀 앙상블
에너지 기저 공간에서의 바른틀 앙상블 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ρ ρ -->
n
=
exp
-->
(
− − -->
β β -->
E
n
)
∑ ∑ -->
m
exp
-->
(
− − -->
β β -->
E
m
)
{\displaystyle \rho _{n}={\frac {\exp(-\beta E_{n})}{\sum _{m}\exp(-\beta E_{m})}}}
임의의 기저 공간에서는 밀도 연산자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ρ ρ -->
=
exp
-->
(
− − -->
β β -->
H
)
Tr
(
exp
-->
(
− − -->
β β -->
H
)
)
{\displaystyle {\boldsymbol {\rho }}={\frac {\exp(-\beta {\mbox{H}})}{{\mbox{Tr}}(\exp(-\beta {\mbox{H}}))}}}
여기서
β β -->
{\displaystyle \beta }
는
1
k
B
T
{\displaystyle {\frac {1}{k_{B}T}}}
이고,
k
B
{\displaystyle k_{B}}
는 볼츠만 상수 ,
T
{\displaystyle T}
는 절대온도이다. 분모는 바른틀 분배함수
Z
{\displaystyle Z}
이므로 아래와 같이 열역학 변수들을 유도할 수 있다.
U
=
⟨ ⟨ -->
H
⟩ ⟩ -->
=
Tr
(
exp
-->
(
− − -->
β β -->
H
)
H
)
Tr
(
exp
-->
(
− − -->
β β -->
H
)
)
=
− − -->
∂ ∂ -->
∂ ∂ -->
β β -->
ln
-->
Tr
(
exp
-->
(
− − -->
β β -->
H
)
)
{\displaystyle {\mbox{U}}=\langle {\mbox{H}}\rangle ={\frac {{\mbox{Tr}}(\exp(-\beta {\mbox{H}}){\mbox{H}})}{{\mbox{Tr}}(\exp(-\beta {\mbox{H}}))}}=-{\frac {\partial }{\partial \beta }}\ln {{\mbox{Tr}}(\exp(-\beta {\mbox{H}}))}}
=
− − -->
∂ ∂ -->
∂ ∂ -->
β β -->
ln
-->
Z
{\displaystyle =-{\frac {\partial }{\partial \beta }}\ln {Z}}
S
=
⟨ ⟨ -->
− − -->
k
B
ln
-->
ρ ρ -->
⟩ ⟩ -->
=
k
B
Tr
(
ρ ρ -->
ln
-->
ρ ρ -->
)
=
k
B
β β -->
⟨ ⟨ -->
H
⟩ ⟩ -->
+
k
B
ln
-->
Z
{\displaystyle {\mbox{S}}=\langle -k_{B}\ln {\boldsymbol {\rho }}\rangle =k_{B}{\mbox{Tr}}({\boldsymbol {\rho }}\ln {\boldsymbol {\rho }})=k_{B}\beta \langle {\mbox{H}}\rangle +k_{B}\ln {Z}}
F
=
U
− − -->
T
S
=
− − -->
k
B
T
ln
-->
Z
=
− − -->
k
B
T
ln
-->
Tr
(
exp
-->
(
− − -->
β β -->
H
)
)
S
{\displaystyle {\mbox{F}}={\mbox{U}}-T{\mbox{S}}=-k_{B}T\ln {Z}=-k_{B}T\ln {\mbox{Tr}}(\exp(-\beta {\mbox{H}})){\mbox{S}}}
큰 바른틀 앙상블
에너지 기저 공간에서의 큰 바른틀 앙상블 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ρ ρ -->
n
=
exp
-->
(
− − -->
β β -->
(
E
n
− − -->
μ μ -->
N
)
)
∑ ∑ -->
m
,
N
exp
-->
(
− − -->
β β -->
(
E
m
− − -->
μ μ -->
N
)
)
{\displaystyle \rho _{n}={\frac {\exp(-\beta (E_{n}-\mu N))}{\sum _{m},N\exp(-\beta (E_{m}-\mu N))}}}
임의의 기저 공간에서는 밀도 연산자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ρ ρ -->
=
exp
-->
(
− − -->
β β -->
(
H
− − -->
μ μ -->
N
)
)
Tr
(
exp
-->
(
− − -->
β β -->
(
H
− − -->
μ μ -->
N
)
)
{\displaystyle {\boldsymbol {\rho }}={\frac {\exp(-\beta ({\mbox{H}}-\mu {\boldsymbol {N}}))}{{\mbox{Tr}}(\exp(-\beta ({\mbox{H}}-\mu {\boldsymbol {N}}))}}}
여기에서
μ μ -->
{\displaystyle \mu }
는 화학 퍼텐셜 ,
N
{\displaystyle {\boldsymbol {N}}}
은 입자 개수 연산자 이다. 분모는 큰 바른틀 분배함수
Z
{\displaystyle {\mathcal {Z}}}
이다. 엔트로피
S
{\displaystyle {\mbox{S}}}
와 큰 퍼텐셜
Φ Φ -->
{\displaystyle \Phi }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
=
⟨ ⟨ -->
− − -->
k
B
ln
-->
ρ ρ -->
⟩ ⟩ -->
=
k
B
Tr
(
ρ ρ -->
ln
-->
ρ ρ -->
)
=
k
B
β β -->
⟨ ⟨ -->
H
⟩ ⟩ -->
− − -->
k
B
β β -->
μ μ -->
⟨ ⟨ -->
N
⟩ ⟩ -->
+
k
B
ln
-->
Z
{\displaystyle {\mbox{S}}=\langle -k_{B}\ln {\boldsymbol {\rho }}\rangle =k_{B}{\mbox{Tr}}({\boldsymbol {\rho }}\ln {\boldsymbol {\rho }})=k_{B}\beta \langle {\mbox{H}}\rangle -k_{B}\beta \mu \langle {\boldsymbol {N}}\rangle +k_{B}\ln {\mathcal {Z}}}
Φ Φ -->
=
U
− − -->
T
S
− − -->
μ μ -->
N
=
− − -->
k
B
T
ln
-->
Z
{\displaystyle \Phi ={\mbox{U}}-T{\mbox{S}}-\mu N=-k_{B}T\ln {\mathcal {Z}}}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