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小笒)은 한국의 전통 관악기 중의 하나다. 향악기로 분류되며, 대금, 중금과 함께 신라삼죽(新羅三竹)에 들어간다.
기원과 역사
《삼국사기》에 따르면, 소금을 비롯한 신라삼죽은 '신라에서 기원된 것으로 누가 만든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한다.[1]
《악학궤범》 이후의 문헌에는 소금이 나타나지 않다가 1950년대 초 국악사양성소의 교과 과정 속에서 소금이라는 이름이 재생되었다.[2]
당적과의 차이
당적은 소금보다 내경의 치수가 조금 짧다(그래서 당적이 소금보다 음역이 조금 높다). 지공의 개수로 보면 당적은 취구 1개, 지공 6개로 구멍이 총 7개이지만 소금은 취구 1개, 지공 6개, 칠성공 1~2개로 구멍이 8개 또는 9개다.[3]
이용과 편성
소금은 〈보허자〉, 〈낙양춘〉과 같은 당악과 〈보태평〉, 〈정대업〉등의 당악계 음악 및 〈여민락〉, 〈수제천〉과 같은 향악의 합주에 편성된다.
현대 음악에서는 특유의 영롱한 소리 때문에 각종 창작국악에 널리 이용된다.
형태
재질은 주로 대나무이지만 오늘날에는 교육 목적으로 쓰일 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지공은 모두 6개이며 음정의 조절을 위하여 끝에 칠성공을 (하나 또는 두 개) 파기도 한다.
-현재의 전문가들은 창작곡을 연주 할때에는 정악곡을 할 때의 소금보다 얇은 관대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줄곧 쓰던 소금보다 좀 더 높은음을 자유 자재로 연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음역
음역은 임종(林: B♭)에서 중청남려(㵜: C′′′)까지다.
같이 보기
각주
- ↑ 《삼국사기》잡지 제 1
- ↑ 서한범, 《국악통론》, 태림출판사, 1981년, 189면
- ↑ 한영숙, 〈소금과 당적에 관한 재고〉, 《한국음악연구》 56, 한국국악학회, 2014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