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life satisfaction)[1]는 개인의 삶의 질에 대한 평가이다. 이는 기분, 관계 만족도, 달성한 목표, 자기 개념, 자신의 삶에 대처하는 자기 인식 능력 측면에서 평가된다. 삶의 만족도는 현재의 감정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를 포함한다. 삶의 만족도는 경제적 지위, 교육 정도, 경험, 거주지 등을 기준으로 측정되었다.[2][3][4][5]

삶의 만족도는 특정 시점에서 개인의 삶에 대한 감정과 태도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의미하며, 부정적인 평가부터 긍정적인 평가까지 다양하다. 이는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을 포함하여 다양한 차원의 웰빙을 포괄한다. 삶의 만족도는 개인적 가치관, 문화적 배경, 경제적 조건, 사회적 관계 등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삶의 만족은 주관적 웰빙의 핵심 부분이다. 많은 요인들이 주관적인 웰빙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사회인구통계학적 요인에는 성별, 연령, 결혼 상태, 소득, 교육 등이 포함된다. 심리사회적 요인에는 건강과 질병, 기능적 능력, 활동 수준, 사회적 관계 등이 포함된다. 사람들은 나이가 들수록 삶의 만족도를 얻는 경향이 있다.

같이 보기

색인
기타

각주

  1. Veenhoven, Ruut (1996). “The study of life satisfaction” (PDF). 《W. E. Saris, R. Veenhoven, A. C. Scherpenzeel, & B. Bunting (Eds.), A Comparative Study of Satisfaction with Life in Europe》 (963 463 081 2): 11–48, Chapter 1 – Budapest: Eötvös University Press 경유. 
  2. “Life satisfaction”. OECD Better Life Index.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3. Gilman, Rich; Huebner, Scott (Summer 2003). “A Review of Life Satisfaction Research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PDF).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8 (2): 192–205. doi:10.1521/scpq.18.2.192.21858. 2013년 3월 5일에 확인함. 
  4. Ernst Kossek, Ellen; Ozeki, Cynthia (April 1998). “Work-Family Conflict, Policies, and the Job-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A Review and Directions for Organizational Behavior-Human Resources Research” (PDF).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 (2): 139–149. doi:10.1037/0021-9010.83.2.139. 2013년 3월 5일에 확인함. 
  5. Serrano, Juan Pedro; Latorre, Jose Miguel; Gatz, Margaret; Montanes, Juan (June 2004). “Life Review Therapy Using Autobiographical Retrieval Practice for Older Adults With Depressive Symptomatology” (PDF). 《Psychology and Aging》 19 (2): 272–277. doi:10.1037/0882-7974.19.2.272. PMID 15222820. 2013년 3월 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