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트라스

미트라스
계약의 신이자 태양의 신
소속태양신
힌두 동등신미트라
조로아스터교 동등신미트라

미트라스(라틴어: Mithra)는 로마 제국 시대의 서양 밀교 중 하나인 미트라교최고신이다. 미트라스(Mithras)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의 신의 이름이었던 미트라(Mithra)의 한 변형인 것으로 학자들은 보고 있다.[1][2] 이 견해는 프란츠 퀴몽(Franz Cumont: 1868~1947) 이래의 미트라교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받아들여진 견해이다.[3] 미트라(Mithra)의 그리스어인 "Μίθρας (미트라스)"가 나타나는 초기의 예로는 기원전 4세기의 크세노폰(기원전 430?~354?)의 저작으로, 아케메네스 왕조의 시조로 페르시아 제국을 세운 키루스 2세(재위: 기원전 559~530)의 전기인 《키루스의 교육(Cyropaedia)》이 있다.[4]

라틴어 낱말과 고대 그리스어 낱말의 정확한 형태는 어형 변화 또는 격 변화 때문에 차이가 있다. 라틴어를 사용한 숭배자들이 "미트라(Mithras)"를 주격으로 사용한 고고학적 사례가 있다. 그러나 포르피리오스의 저작인 그리스어로 된 《육식의 기피에 대하여(De abstinentia)》에는 에우불로스와 팔라스가 미트라교의 역사에 대한 책을 저술했다고 되어 있는데 이 책은 현존하지 않는다. 포르피리오스의 말 표현에 따르면 이들 두 저자들은 "미트라(Mithra)"라는 이름을 격 변화를 하지 않는 외래어로 취급했던 것으로 보인다.[5]

다른 언어에서 미트라(Mithras)와 관련된 신의 이름들이 사용된 예로는 다음의 경우들이 있다.

학자들은 이란어 "미트라(Mithra)"와 산스크리트어 "미트라(Mitra)"는 모두 "계약, 협정, 약속"을 뜻하는 인도이란어 낱말인 "미트라(mitra)"로부터 온 것으로 보고 있다.[11]

현대의 역사가들은 이들 이름들이 동일한 신을 가리키는지에 대해 서로 견해가 다르다. 존 힌넬스(John R. Hinnells)는 미트라(Mitra) · 미트라(Mithra) · 미트라(Mithras)는 모두 서로 다른 지역들에서 숭배된 같은 신의 다른 이름이라고 본다.[12] 반대로, 데이빗 울란지(David Ulansey)는 황소를 죽이는 미트라는 기원전 1세기에 숭배되기 시작한 신으로 옛 이름이 새로운 신에게 적용된 것이라고 본다.[13]

고대 이란 종교 학자인 메리 보이스(Mary Boyce)는 로마 제국의 미트라교는 역사가들이 생각하는 것보다는 이란 종교적인 내용을 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트라(Mithras)라는 이름이 대변하는 것처럼 이란 종교적인 내용은 여전히 미트라교의 중요한 부분이다"라고 하였다.[14]

토럭터니

토럭터니가 묘사된 이탈리아마리노(Marino)에 있는 기원후 3세기의 벽화. 왼쪽 위 모서리에는 태양신 헬리오스가 까마귀와 함께 나타나 있고 오른쪽 위 모서리에서는 달의 여신 루나가 나타나 있다.
1926년에 이탈리아 피아노 로마노에서 발견된 기원후 2~3세기의 고대 로마의 양면 부조의 앞면으로 토럭터니 장면이 부조되어 있다. 이 양면 부조의 뒷면에는 만찬 장면이 부조되어 있다.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
비엔나의 미술사 박물관의 토럭터니

모든 미트라에움에서 가장 중요한 아이콘은 미트라가 황소를 죽이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이 장면은 토럭터니(tauroctony)라고 불린다.[15]

토럭터니의 이미지는 벽화인 경우도 있고 부조인 경우도 있고 입체 조각품인 경우도 있다. 그리고 토럭터니 장면 주위에 주변 세부 사항들이 함께 있는 경우도 있고 생략된 경우도 있다. 중심 아이콘인 토럭터니에서, 미트라는 아나톨리아식의 의복을 하고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는데, 힘이 다빠져 지친[16] 상태의 황소를 무릎으로 누르면서 왼손으로는 황소의 양코를 잡고[16] 오른손으로는 황소를 칼로 찔러 죽이고 있다. 그러면서 미트라는 어깨 너머로 왼쪽 위에 있는 태양신 (Sol)을 보고 있다. , 각각 한 마리가 흘러내리는 피로 다가가고 있다. 전갈이 황소의 생식기를 붙잡고 있다. 까마귀가 황소 주위를 날고 있거나 황소 위에 앉아 있다. 세 개의 밀알이 황소의 꼬리로부터 나오는 것이 보이는데, 칼로 찔린 상처로부터 나오는 사례도 있다. 황소는 흰색인 경우가 흔하다. 미트라 신은 황소 위에 자연스럽지 않은 자세로 앉아 있는데, 오른다리는 황소의 발굽을 눌러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있고 왼다리는 구부려서 황소의 등 또는 옆구리를 누르고 있다.[17] 양쪽 옆에는 각각 한 명씩, 미트라와 유사한 복장을 한 총 2명의 횃불을 든 사람들 또는 신들이 있는데, 이들은 카우테스(Cautes)와 카우토파테스(Cautopates)라고 불린다. 카우테스는 위로 향한 횃불을 들고 있고 카우토파테스는 아래로 향한 횃불을 들고 있다.[18][19] 때때로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는 횃불 대신에 양치기의 지팡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한다.[20]

토럭터니의 이벤트는 동굴 속에서 일어나는데, 말하자면, 미트라가 황소를 사냥한 후 그것에 올라타서 황소의 힘을 압도한 후에 동굴 속으로 끌고들어간 후에 일어난다.[21] 때때로 동굴은 원으로 둘러싸인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 원 둘레에는 황도대12 궁도들이 나타나 있다. 동굴 밖의 왼쪽 위에는 태양신인 (Sol)이 불타는 왕관을 쓰고 있는데 , 종종 4두2륜 마차인 콰드리가(quadriga)를 몰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종종 한 줄기의 광선이 에서 미트라에게로 발출 또는 비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동굴 밖의 오른쪽 위에는 달의 여신인 루나(Luna)가 초승달과 함께 나타나 있는데 종종 2두2륜 마차인 비가(biga)를 몰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22]

어떤 사례들에서는 중앙의 토럭터니가 왼쪽, 위, 오른쪽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보조적인 장면들로 둘러싸여 있다. 이 장면들은 미트라에 대한 일련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미트라가 바위에서 태어나는 이야기, 물의 기적 이야기, 황소를 사냥하고 타는 이야기, 과 만나고 이 미트라에게 무릎을 꿇는 이야기, 과 악수하는 이야기, 황소 고기를 과 함께 먹는 만찬 이야기, 전차를 타고 하늘로 올라가는 이야기로 되어 있다.[22] 산타 프리스카(Santa Prisca) 미트라에움스투코(stucco · 치장벽토 부조)와 같은 어떤 사례들에서는 미트라 신이 그리스 · 로마의 영웅들이 흔히 취하는 누드 모습으로 나타나 있다.[23] 어떤 부조들은 양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즉, 한쪽 면을 본 후 축을 따라 회전시켜, 보는 사람이 이동하지 않고도, 다른 쪽 면을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한 쪽에는 황소를 죽이는 장면이 토럭터니가 부조되어 있고 다른 면에는 황소 고기로 만찬을 하는 장면이 부조되어 있다. 이것은 황소를 죽이는 장면이 의식의 전반부에서 사용되고, 이 의식이 끝나면 부조를 돌려서 의식의 후반부에서 두 번째 장면을 사용했다는 것을 보여준다.[24] 많은 미트라에움에서, 중심 컬트 아이콘으로서의 일차적인 토럭터니외에도 여러 이차적인 토럭터니들이 함께 발견되었으며, 또한, 집 또는 다른 장소에서 개인적인 예배 용도로 사용했으리고 추정되는 작은 휴대용 토럭터니 버전들이 발견되었다.[25]

만찬

1926년에 이탈리아 피아노 로마노에서 발견된 기원후 2~3세기의 고대 로마의 양면 부조의 뒷면으로 만찬 장면이 부조되어 있다. 이 양면 부조의 앞면에는 토럭터니가 부조되어 있다.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

미트라교의 아이코노그래피에서, 토럭터니 다음으로, 두 번째로 가장 중요한 아이콘은 만찬 장면이다.[26] 만찬 장면의 특징적인 부분은 미트라와 태양신이 죽임을 당한 황소에 기대 앉아서 만찬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26]

1926년에 이탈리아 로마 근처의 피아노 로마노(Fiano Romano)에서 발견되어 현재 파리루브르 박물관에 소장 중인 양면 부조의 앞면에는 토럭터니가 부조되어 있고 뒷면("오른쪽 사진")에는 만찬 장면이 부조되어 있다. 이 만찬 장면의 가운데에는 죽임을 당한 황소가 놓여 있는데, 황소의 머리와 뒷다리 하나가 보이고 있다. 미트라와 (Sol)이 죽은 황소에 기댄 상태로 나란히 앉아 있다. 부조를 쳐다볼 때, 오른쪽에 미트라가 있고 왼쪽에 이 있다. 미트라는 왼손에 횃불을 들고 있고 오른손을 의 등쪽으로 내뻗고 있다. 은 망토만 두르고 있는데, 망토는 옷을 어깨에 고정시키는 브로치를 사용하여 오른쪽 어깨 위에서 매여 있다. 의 머리 뒤의 광배에는 11개의 광선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 양면 부조의 앞면의 토럭터니 장면의 왼쪽 위 모서리에 있는 에는 12개의 광선이 있는 것으로 보아, 1개가 목에 가려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은 왼손에 채찍을 들고 있고 오른손을, 부조를 쳐다 볼 때 왼쪽 아래에 있는, 횃불을 들고 있는 자에게로 내뻗고 있다. 이 횃불을 들고 있는 자는 에게 뿔로 만든 술잔 또는 뿔모양의 술잔인 리톤(rhyton)을 바치고 있다. 오른쪽 아래에서는 다른 한 명의 횃불을 든 자가 있는데 이 사람 또는 신은 위로 향한 횃불을 왼손에 들고 있다. 이 사람 또는 신의 오른손에는 카듀셔스가 들려 있는데, 카듀셔스는 하단 중앙에 있는 제단 아래로 내뻗어져 있다. 카듀셔스의 끝은 땅에서 솟아나고 있는 물 또는 불 속으로 뻗어있다. 이것들이 물인지 불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에 이견이 있다. 볏이 있는 이 하단 중앙의 제단을 휘감고 있다. 왼쪽 위 모서리에는 달의 여신인 루나가 구름 속에서 오른쪽으로 바깥쪽을 보고 있다. 미트라, , 횃불을 든 자들 모두의 의복에는 빨간색으로 칠한 흔적이 있다.

로버트 터칸(Robert Turcan)은 카듀셔스의 끝이 닿아 있는 것은 물이 아니라 불꽃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는 카듀셔스메르쿠리우스(Mercury)의 물품이고 신화에서 메르쿠리우스저승 사자(psychopomp)의 역할을 하므로, 이 장면에서 카듀셔스로 불꽃을 이끌어내는 것은 인간의 영혼들을 사후세계로 보내는 것을 가리키며 카듀셔스와 불꽃은 미트라교의 이러한 교의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27] 로버트 터칸은 또한 이 부분을 토럭터니와 연결시키고 있는데, 그의 주장에 따르면, 죽임을 당한 황소의 피가 제단 아래의 땅을 적시고, 그 피로부터 영혼이 카듀셔스에 의해 불꽃의 형태로 끌어내어지고 있다.[27]

바위로부터의 탄생

바위(페트라 제네트릭스)로부터 탄생하는 미트라의 부조, 성 클레멘스 바실리카(Basilica di San Clemente)의 미트라에움
바위(페트라 제네트릭스)로부터 탄생하는 미트라:
목동들이 미트라를 돕고 있으며 무기들은 주위에 흩어져 있다. 하반신이 아직 바위 속에 있는 상태이다.

미트라는 바위로부터 태어난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바위로부터 탄생하는 미트라의 아이콘은 토럭터니만찬 아이콘 다음으로, 세 번째로 중요한 미트라교의 아이콘이다.[28]

이 바위로부터의 탄생 아이콘의 전형적인 경우, 미트라는 태어날 때 이미 아기나 어린아이가 아닌 청년의 상태인 것으로 나타나는데, 한 손에는 새로운 빛을 비추이는 횃불을 들고 다른 손에는 황소를 죽일 칼을 들고 바위로부터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28] 이 바위를 어머니 바위(mother rock) 또는 풍요와 다산의 바위(fecund rock)라는 뜻의 페트라 제네트릭스(petra genetrix)라 부른다. 바위로부터 탄생하는 미트라는 머리에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으며, 다리를 벌린 상태로 있는 경우도 있고 다리를 오므리고 있는 경우도 있다. 전자의 다리를 벌린 경우는 남성의 생식기를 가진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통해 미트라가 남신이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반면 후자의 다리를 오므린 경우는 남성의 생식기가 나타나 있는 경우도 있고 가려진 상태의 것도 있는데, 이 가려진 상태의 것은 미트라가 남성이라고 단정하지 않는 경우로 미트라가 여성일 수도 있다는 것 혹은 양성일체라는 것을 시사한다.[28]

하지만, 이러한 전형적인 모습과는 다른 변형된 모습들로 나타나는 다음과 같은 사례들이 있다.[28] 어린아이가 바위에서 나타나는 사례가 있으며, 한 사례에서는 미트라가 한 손에 구체를 들고 있다. 그리고 번개를 들고 있는 사례들도 있다. 또한 바위로부터 불꽃이 쏘아져 나오는 사례도 있으며 미트라의 프리기아 모자로부터 불꽃이 쏘아져 나오는 사례도 있다. 한 동상의 경우 기단부, 즉 바위에 구멍이 숭숭 나있어 샘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른 하나의 동상의 바위에는 물의 신의 얼굴이 새겨져 있다. 때때로 미트라는 활과 화살과 같은 다른 무기를 가지고 있기도 하며 또한  ·  · 돌고래 · 독수리 · 다른 종의 새 · 사자 · 악어 · 바닷가재 · 달팽이가 주위에 있는 사례도 있다. 어떤 부조들에는 바다의 신인 오케아노스라고 확인되는 수염이 있는 인물이 나타나 있으며 어떤 부조들에서는 4명의 바람의 신들이 나타나 있다. 이 경우 4원소를 모두 부르는 것을 묘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때때로 빅토리아 · 루나 ·  · 사투르누스가 미트라의 탄생시에 어떤 역할을 하는 것으로도 보인다. 특히, 사투르누스(Saturn)는 미트라에게 칼을 주어 미트라가 강력한 행위를 할 수 있게 돕는다.

어떤 사례들에서는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가 나타나 있기도 하며 또한 이들이 목동으로 나타나 있는 경우들도 있다.[29]


몇몇 사례들에서는 바위 대신에 고대 그리스로마에서 사용된 손잡이가 달린 단지 또는 항아리인 암포라(amphora)가 보이며, 소수의 변형된 사례에서는 알 또는 나무에서 태어나는 것으로 나타난 것도 있다. 어떤 사례들에서는 횃불 또는 촛불로 탄생을 축하하는 광경으로 묘사된 것도 있다.[28][30]

사자 머리의 인물

미트라 밀교의 레온토세팔린: 이탈리아 오스티아 안티카(Ostia Antica)의 미트라에움(기원후 190년에 헌당, CIMRM 312)에서 발견된 선화(線畵 · line drawing)
미트라 밀교의 레온토세팔린: 뱀의 머리가 사자의 입 안에 들어가 있다

미트라 밀교의 가장 특징적인 아이콘들 중의 하나는 사자 머리를 한 나체의 인물인데 이 아이콘은 미트라에움에서 종종 발견된다. 사자 머리의 인물 아이콘을 레온토세팔린(leontocephaline)이라 한다.

레온토세팔린 아이콘에서는, 사자 머리의 인물을 휘감고 있는데 의 머리는 흔히 이 인물의 머리, 즉 사자 머리 위에 놓여 있으며, 맨 오른쪽에 있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뱀의 머리가 사자의 입 안에 들어가 있는 사례도 있다. 사자는 대부분 입을 벌리고 있는데 이것은 무서운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이 사자 머리의 인물은 대개 4개의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손에 2개의 열쇠와 1개의 (笏 · scepter)을 들고 있는데, 1개의 열쇠를 쥐고 있는 사례들도 있다. 때때로 미트라는, 맨 오른쪽에 있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각선 십자가가 새겨진 구체 위에 서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오른쪽에 있는 두 레온토세팔린 중 왼쪽의 것에서, 4개의 날개는 사계절을 상징하며 번개가 가슴 부위에 새겨져 있다. 이 아이콘의 기저부에는 불카누스의 망치와 부젓가락, 그리고 메르쿠리우스의 수탉과 지팡이가 있다. 인간의 머리를 한 아이콘들이 드물게 발견되기도 한다.[31][32]

당시의 이집트 신화나스티시즘의 신화적 표현 양식에서 동물의 머리를 한 아이콘 또는 인물상은 널리 퍼져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트라 밀교의 레온토세팔린과 정확히 상응하는 아이콘 또는 인물상이 발견된 예는 없다.[31]

오른쪽에 있는 두 그림 중 왼쪽의 아이콘에서 보이는 봉헌된 비문을 해독해보면, 이 인물의 이름은 (미트라가 아니라) 아리마니우스(Arimanius)이다. (하지만 이 해독은 고고학적 증거가 아주 확실한 것은 아니다.) 아리마니우스는 그 이름만으로 볼 때 조로아스터교의 판테온에서 악마적 존재인 아리만과 동일한 존재이다. 비문들에 따르면 아리마니우스는 명백히 미트라 컬트 종교의 어떤 한 데우스(deus: 신(diety)을 뜻하는 라틴어)이다 (오스티아CIMRM 222, 로마CIMRM 369, 판노니아CIMRM 1773과 1775).[33]

어떤 학자들은 이 사자 머리의 인물은 아리만이라고 보고 있으며 반면 어떤 학자들은 이 사자 머리의 인물은 아이온(Aion), 즉 주르반(Zurvan) 또는 크로노스(Kronos)라고 보고 있다.[34] 비록 이 사자 머리 인물 또는 신의 정확한 이름 또는 정체에 대해서 학자들 간에 서로 의견이 다르지만, 이 인물 또는 신이 시간과 계절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는 것에는 대체로 모든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35]

같이 보기

각주

  1. Ulansey, David (1991).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New York: Oxford UP. 90쪽. ISBN 0-19-506788-6. It is therefore highly likely that it was in the context of Mithridates' alliance with the Cilician pirates that there arose the synchretistic link between Perseus and Mithra which led to the name Mithras (a Greek form of the name Mithra) being given to the god of the new cult. 
  2. 《Britannica,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06. 509쪽. ISBN 978-1-59339-491-2. ...Mithra is the next most important deity and may even have occupied a position of near equality with Ahura Mazde. He was associated with the Sun, and in time the name Mithra became a common word for “Sun.” Mithra functioned preeminently in the ethical sphere; he was the god of the covenant, who oversaw all solemn agreements that people made among themselves... In later times Mithra gave his name to Mithraism, a Mystery religion. 
  3. Ulansey, David (1991).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New York: Oxford UP. 8쪽. ISBN 0-19-506788-6. Cumont's... argument was straightforward and may be summarized succinctly: the name of the god of the cult, Mithras, is the Latin (and Greek) form of the name of an ancient Iranian god, Mithra; in addition, the Romans believed that their cult was connected with Persia (as the Romans called Iran); therefore we may assume that Roman Mithraism is nothing other than the Iranian cult of Mithra transplanted into the Roman Empire. 
  4. Xenophon, Cyropaedia 7.5.53. Cited in Henry George Liddell and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5. Gordon, Richard L. (1978). “The date and significance of CIMRM 593 (British Museum, Townley Collection”. 《Journal of Mithraic Studies II》: 148–174. . p. 160:
    "The usual western nominative form of Mithras' name in the mysteries ended in -s, as we can see from the one authentic dedication in the nominative, recut over a dedication to Sarapis (463, Terme de Caracalla), and from occasional grammatical errors such as deo inviato Metras (1443). But it is probable that Euboulus and Pallas at least used the name Mithra as an indeclinable (ap. Porphyry, 《De abstinentia》 II.56 and IV.16)."
  6. E.g. in Rig Veda 3, Hymn 59
  7. Michael Speidel (1980). 《Mithras-Orion: Greek hero and Roman army god》. Brill. 1–쪽. ISBN 9789004060555. India's sacred literature refers to him since the hymns of the Rig Veda. But it was in Iran where Mithras rose to the greatest prominence: rebounding after the reforms of Zarathustra, Mithras became one of the great gods of the Achaemenian emperors and to this very day he is worshipped in India and Iran by Parsees and Zarathustrians. 
  8. Hopfe, Lewis M.; Richardson, Henry Neil (1994년 9월). 〈Archaeological Indications on the Origins of Roman Mithraism〉. Lewis M. Hopfe.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Eisenbrauns. 150–쪽. ISBN 9780931464737. 2011년 3월 19일에 확인함. All theories of the origin of Mithraism acknowledge a connection, however vague, to the Mithra/Mitra figure of ancient Aryan religion. 
  9. Turcan, Robert (1996). 《The cults of the Roman Empire》. Wiley-Blackwell. 196–쪽. ISBN 9780631200475. 2011년 3월 19일에 확인함. The name Mithras comes from a root "mei-" (which implies the idea of exchange), accompanied by an instrumental suffix. It was therefore a means of exchange, the 'contract' which rules human relations and is the basis of social life. In Sanskrit, "mitra" means 'friend' or 'friendship', like "mihr" in Persian. In Zend, "mithra" means precisely the 'contract', which eventually became deified following the same procedure as "Venus", the 'charm' for the Romans. We find him invoked with Varuna in an agreement concluded c. 1380 BC between the king of the Hittites, Subbiluliuma, and the king of Mitanni, Mativaza....It is the earliest evidence of Mithras in Asia Minor. 
  10. Thieme, Paul (1960). “The 'Aryan' Gods of the Mitanni Treaties”.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80.4.  pp. 301-317.
  11. Schmidt, Hans-Peter (2006). 〈Mithra i: Mithra in Old Indian and Mithra in Old Iranian〉. 《Encyclopaedia Iranica》. New York: iranica.com.  (accessed April 2011)
  12. Hinnells, John R. (1990). 〈Introduction: the questions asked and to be asked〉. Hinnells, John R. 《Studies in Mithraism》. Rome: L'Erma di Bretschneider. 11쪽. The god is unique in being worshipped in four distinct religions: Hinduism (as Mitra), in Iranian Zoroastrianism and Manicheism (as Mithra), and in the Roman Empire (as Mithras). 
  13. Ulansey, David (1991).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New York: Oxford UP. 94쪽. ISBN 0-19-506788-6. the intimate alliance between the pirates and Mithridates Eupator, named after Mithra and mythically descended from Perseus, led to the pirates adopting the name Mithras for the new god. 
  14. Boyce, Mary; Grenet, Frantz (1975). 《Zoroastrianism under Macedonian and Roman rule, Part 1》. Brill. 468, 469쪽. ISBN 9004092714. 2011년 3월 16일에 확인함. The theory that the complex iconography of the characteristic monuments (of which the oldest belong to the second century A.C.) could be interpreted by direct reference to Iranian religion is now widely rejected; and recent studies have tended greatly to reduce what appears to be the actual Iranian content of this "self consciously 'Persian' religion", at least in the form which it attained under the Roman empire. Nevertheless, as the name Mithras alone shows, this content was of some importance; and the Persian affiliation of the Mysteries is acknowledged in the earliest literary reference to them. 
  15. David Ulansey, 《The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p. 6:
    "Although the iconography of the cult varied a great deal from temple to temple, there is one element of the cult's iconography which was present in essentially the same form in every mithraeum and which, moreover, was clearly of the utmost importance to the cult's ideology; namely the so-called tauroctony, or bull-slaying scene, in which the god Mithras, accompanied by a series of other figures, is depicted in the act of killing the bull."
  16. Clauss, M., 《The Roman cult of Mithras》, p.77.
  17. Mazur, Zeke. “Harmonious Opposition (PART I): Pythagorean Themes of Cosmogonic Mediation in the Roman Mysteries of Mithras” (PDF). 2011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4일에 확인함. The god’s right leg, appearing on the left as one faces the tauroctony, is nearly always straight as it pins the bull’s hoof to the ground, while his left leg, which is usually resting on the back or flank of the bull, is bent at the knee with his foot often partially obscured beneath the folds of his tunic. Anyone familiar with the cult’s iconography will immediately recognize this awkward and possibly unnatural posture as a typical or even essential aspect of the tauroctony. The remarkable consistency of this particular feature is underscored by comparison with the subtle variability of others.. 
  18. Clauss, M. 《The Roman cult of Mithras》, p.98-9.
    “An image search for "tauroctony" will show many examples of the variations.”
  19. Näsström, Britt-Marie. “The sacrifi ces of Mithras” (PDF). 2011년 4월 4일에 확인함. He is wearing a Phrygian cap and a wind-filled cloak, and, most remarkable of all, his head is turned in the other direction as if he would not look at his own deed. Still, this sacrifice is a guarantee of salvation for the participants. 
  20. J. R. Hinnells, "The Iconography of Cautes and Cautopates: the Data," Journal of Mithraic Studies 1, 1976, pp. 36-67. See also William W. Malandra, Cautes and Cautopate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an Encyclopedia Iranica article
  21. Clauss, M., 《The Roman cult of Mithras》, p.74.
  22. L'Ecole Initiative: Alison Griffith, 1996. "Mithraism" Archived 2004년 4월 27일 - 웨이백 머신
  23. Bjørnebye, Jonas (2007). 〈The Mithraic icon in fourth century Rome:The composition of the Mithraic cult icon〉. 《Hic locus est felix, sanctus, piusque benignus: The cult of Mithras in fourth century Rome,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philosophiae doctor (PhD)》. The figure of Mithras himself is usually attired in an oriental costume of Phrygian cap, tunica manicata (a long-sleeved tunic), anaxyrides (eastern style trousers), and a cape, though in some cases, he is depicted heroically nude or even, in a unique example from Ostia, in what seems to be a Greek chiton. Like the general trend in Graeco-Roman art, most if not all tauroctony scenes, regardless of the medium they were executed in, were painted, and the different items of Mithras’ clothing was usually colored in either blue or red, often, as in the painting at Marino, with most of the costume in red with only the inside of the cape being blue and star-speckled. The bull was often white, sometimes wearing the dorsuale, the Roman sacrificial band in reds or browns, while the torchbearers could be depicted in a variety of colors with reds and greens being the most common. 
  24. Klauck, Hans-Josef; McNeil, Bria (2003년 12월). 《The religious context of early Christianity: a guide to Graeco-Roman religions》. T & T Clark Ltd. 146–쪽. ISBN 9780567089434. 2011년 4월 9일에 확인함. 
  25. Beck, Roger (2006).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Great Britain: Oxford University Press. 21쪽. Often, the mithraeum was embellished elsewhere with secondary exemplars of the tauroctony, and there also seem to have been small portable versions, perhaps for private devotion. 
  26. Beck, Roger, "In the Place of the Lion: Mithras in the Tauroctony" in 《Beck on Mithraism: collected works with new essays》 (2004), p. 286-287].
  27. Beck, Roger (2007).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216134. , p. 27-28.
  28. Vermaseren, M. J. 〈The miraculous Birth of Mithras〉. László Gerevich. 《Studia Archaeologica》. Brill. 93–109쪽. 2011년 4월 10일에 확인함. 
  29. Vermaseren, M. J. László Gerevich, 편집. 《Studia Archaeologica》. Brill. 108쪽. 2011년 4월 10일에 확인함. 
  30. Commodian, 《Instructiones》 1.13: "The unconquered one was born from a rock, if he is regarded as a god." See also image of "Mithras petra genetrix Terme" inset above.
  31. von Gall, Hubertus, "The Lion-headed and the Human-headed God in the Mithraic Mysteries," in Jacques Duchesne-Guillemin ed. 《Études mithriaques》, 1978, pp. 511
  32. Cumont Franz, 《The Mysteries of Mithras》, pp 105
  33. Jackson, Howard M.,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Leontocephaline in Roman Mithraism" in《Numen》, Vol. 32, Fasc. 1 (Jul., 1985), pp. 17-45
  34. R D Barnett (1975). John R Hinnells, 편집. 《Mithraic studie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gress of Mithraic studies, Vol II》. Manchester University Press ND. 467–쪽. According to some, the lion man is Aion (Zurvan, or Kronos); according to others, Ahriman. 
  35. Beck, R, 《Beck on Mithraism》, pp. 194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