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도론 에서 르베그 분해 (영어 : Lebesgue decomposition )는 임의의 시그마 유한 측도 를 절대 연속 성분 (絶對連續成分, 영어 : absolutely continuous component )과 특이 연속 성분 (特異連續成分, 영어 : singular continuous component )과 순수 점 성분 (純粹點成分, 영어 : pure point component )의 합으로 나타내는 표준적인 표현이다. 이 세 성분 가운데 절대 연속 성분과 순수 점 성분의 경우 간단한 구조 정리가 존재하지만, 특이 연속 성분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다. 일부 경우, 특이 연속 성분이 0임을 증명할 수 있다.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자기 수반 작용소 는 그 스펙트럼 위의 측도를 정의하며, 그 르베그 분해는 이에 대응되는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의 직합 분해를 정의한다.
정의
특이 측도
가측 공간
(
X
,
F
)
{\displaystyle (X,{\mathcal {F}})}
위의 두 측도
μ μ -->
{\displaystyle \mu }
,
ν ν -->
{\displaystyle \nu }
에 대하여, 만약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A
,
B
∈ ∈ -->
F
{\displaystyle A,B\in {\mathcal {F}}}
가 존재한다면, 이 두 측도가 서로 특이 측도 (영어 : singular measures )라고 한다.
A
∪ ∪ -->
B
=
X
{\displaystyle A\cup B=X}
μ μ -->
(
A
∩ ∩ -->
S
)
=
0
∀ ∀ -->
S
∈ ∈ -->
F
{\displaystyle \mu (A\cap S)=0\qquad \forall S\in {\mathcal {F}}}
ν ν -->
(
B
∩ ∩ -->
S
)
=
0
∀ ∀ -->
S
∈ ∈ -->
F
{\displaystyle \nu (B\cap S)=0\qquad \forall S\in {\mathcal {F}}}
르베그 분해
시그마 유한 측도 공간
(
X
,
F
,
μ μ -->
)
{\displaystyle (X,{\mathcal {F}},\mu )}
에 대하여,
μ μ -->
{\displaystyle \mu }
의 르베그 분해 는 다음과 같은 꼴의 분해이다.
μ μ -->
=
μ μ -->
ac
+
μ μ -->
s
{\displaystyle \mu =\mu _{\text{ac}}+\mu _{\text{s}}}
여기서
μ μ -->
ac
≪ ≪ -->
μ μ -->
{\displaystyle \mu _{\text{ac}}\ll \mu }
. 즉,
μ μ -->
ac
{\displaystyle \mu _{\text{ac}}}
는
μ μ -->
{\displaystyle \mu }
-절대 연속 측도 이다.
μ μ -->
s
⊥ ⊥ -->
μ μ -->
{\displaystyle \mu _{\text{s}}\perp \mu }
또한, 특이 성분
μ μ -->
s
{\displaystyle \mu _{\text{s}}}
는 다음과 같이 추가로 분해된다.
μ μ -->
s
=
μ μ -->
pp
+
μ μ -->
sc
{\displaystyle \mu _{\text{s}}=\mu _{\text{pp}}+\mu _{\text{sc}}}
여기서
μ μ -->
pp
{\displaystyle \mu _{\text{pp}}}
는 순수하게 원자로만 구성된 측도이다. 즉, 어떤 가산 집합
C
⊆ ⊆ -->
F
{\displaystyle {\mathcal {C}}\subseteq {\mathcal {F}}}
및 함수
f
: : -->
C
→ → -->
(
0
,
∞ ∞ -->
]
{\displaystyle f\colon {\mathcal {C}}\to (0,\infty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μ μ -->
pp
(
S
)
=
∑ ∑ -->
C
∈ ∈ -->
C
∩ ∩ -->
P
(
S
)
f
(
C
)
∀ ∀ -->
S
∈ ∈ -->
F
{\displaystyle \mu _{\text{pp}}(S)=\sum _{C\in {\mathcal {C}}\cap {\mathcal {P}}(S)}f(C)\qquad \forall S\in {\mathcal {F}}}
∀ ∀ -->
S
∈ ∈ -->
F
: : -->
(
μ μ -->
pp
(
S
∩ ∩ -->
C
)
>
0
⟹ ⟹ -->
S
∩ ∩ -->
C
=
C
)
{\displaystyle \forall S\in {\mathcal {F}}\colon (\mu _{\text{pp}}(S\cap C)>0\implies S\cap C=C)}
μ μ -->
sc
{\displaystyle \mu _{\text{sc}}}
는 원자를 갖지 않는다. 즉, 임의의
S
∈ ∈ -->
F
{\displaystyle S\in {\mathcal {F}}}
에 대하여, 만약
μ μ -->
sc
(
C
)
>
0
{\displaystyle \mu _{\text{sc}}(C)>0}
이라면,
μ μ -->
pp
(
C
∩ ∩ -->
S
)
>
0
{\displaystyle \mu _{\text{pp}}(C\cap S)>0}
이자
C
∩ ∩ -->
S
≠ ≠ -->
C
{\displaystyle C\cap S\neq C}
인
S
∈ ∈ -->
F
{\displaystyle S\in {\mathcal {F}}}
가 존재한다.
절대 연속 성분
μ μ -->
ac
{\displaystyle \mu _{\text{ac}}}
는 라돈-니코딤 정리 에 의하여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즉, 특이 연속 성분을 제외하면 르베그 분해의 나머지 두 성분은 쉽게 이해된다.
작용소의 경우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mathcal {H}}}
위의 조밀 부분 집합
D
⊆ ⊆ -->
H
{\displaystyle D\subseteq {\mathcal {H}}}
위에 정의된 자기 수반 작용소
T
: : -->
D
→ → -->
H
{\displaystyle T\colon D\to {\mathcal {H}}}
는 그 스펙트럼
σ σ -->
(
D
)
{\displaystyle \sigma (D)}
위의 측도 를 정의한다. 이 경우,
σ σ -->
(
D
)
{\displaystyle \sigma (D)}
위의 측도
μ μ -->
{\displaystyle \mu }
를 위와 같이 분해할 수 있다.
μ μ -->
=
μ μ -->
ac
+
μ μ -->
sc
+
μ μ -->
pp
{\displaystyle \mu =\mu _{\text{ac}}+\mu _{\text{sc}}+\mu _{\text{pp}}}
이에 따라, 측도의 분해에 대응하는 힐베르트 공간의 직합 분해를 정의할 수 있다.
H
=
H
ac
⊕ ⊕ -->
H
sc
⊕ ⊕ -->
H
pp
{\displaystyle {\mathcal {H}}={\mathcal {H}}_{\text{ac}}\oplus {\mathcal {H}}_{\text{sc}}\oplus {\mathcal {H}}_{\text{pp}}}
예
칸토어 3진 함수의 그래프
칸토어 3진 함수 (Cantor三進函數, 영어 : Cantor ternary function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f
: : -->
[
0
,
1
]
→ → -->
[
0
,
1
]
{\displaystyle f\colon [0,1]\to [0,1]}
f
: : -->
∑ ∑ -->
i
=
1
∞ ∞ -->
a
i
3
− − -->
i
↦ ↦ -->
{
(
∑ ∑ -->
i
=
1
a
i
− − -->
1
a
i
2
− − -->
i
− − -->
1
)
+
a
i
0
2
− − -->
i
0
∃ ∃ -->
i
0
=
min
{
i
∈ ∈ -->
Z
+
: : -->
a
i
=
1
}
∑ ∑ -->
i
=
1
∞ ∞ -->
a
i
2
− − -->
i
− − -->
1
∄ ∄ -->
i
∈ ∈ -->
Z
+
: : -->
a
i
=
1
,
a
1
,
a
2
,
… … -->
∈ ∈ -->
{
0
,
1
,
2
}
{\displaystyle f\colon \sum _{i=1}^{\infty }a_{i}3^{-i}\mapsto {\begin{cases}\left(\sum _{i=1}^{a_{i}-1}a_{i}2^{-i-1}\right)+a_{i_{0}}2^{-i_{0}}&\exists i_{0}=\min\{i\in \mathbb {Z} ^{+}\colon a_{i}=1\}\\\sum _{i=1}^{\infty }a_{i}2^{-i-1}&\nexists i\in \mathbb {Z} ^{+}\colon a_{i}=1\\\end{cases}},\qquad a_{1},a_{2},\dotsc \in \{0,1,2\}}
즉, 이 함수는 수의 3진법 표현에 일종의 알고리즘을 가해 2진법으로 표현된 수를 정의한다.
그렇다면,
f
{\displaystyle f}
를 누적 분포 함수 로 갖는,
[
0
,
1
]
{\displaystyle [0,1]}
위의 르베그 측도는 르베그 분해 아래 순수하게 특이 연속 성분만으로 구성된다.
역사
앙리 르베그 가 도입하였다.[ 1] :61; 163, Remark 1; §VIII.III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