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야나바드라

디야나바드라
ध्यानभद्रः
대한민국 회암사의 선현화상
법명지공
출생1289년
마가다
입적1363년
고려
국적마가다
민족인도인
속명디야나바드라
종파밀교

디야나바드라(산스크리트어: ध्यानभद्रः, 1289–1363)은 인도승려이자 번역가로, 법명은 지공(指空, 산스크리트어: सुन्यादिस्य 순야디시야)이다. 그는 처음에는 원나라에서 수행했으나 후에 고려로 가서 수행하기 시작했다.[1] 그는 밀교에 소속되어 있었다.[2]

사료

디야나바드라에 대해 알려진 것들의 대부분은 중국과 한국의 주요 자료 모음에서 나온 것이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3]

  • 지공 승려(찬요로)의 선필수 기록
  • 지공의 여행기(싱로)
  • 지공의 무생지계(無生無生戒)(오성결경)

생애

이색을 비롯한 한국 문헌에 따르면, 디야나바드라는 서기 1289년 마가다에서 소족장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8세 때 날란다 대승원에 입학해 대승 불교 스승 비나야바드라의 지도 아래 스리랑카를 비롯한 해외로 여행을 떠났다.[1] 그는 1324년 티베트로 여행을 떠났고 그곳에서 고려에 도착했다. 그는 고려에서 1328년 날란다를 모델로 한 화엄사를 창건했다.[3] 사리탑 비문에 따르면 그는 서기 1366년 원나라에서 사망했으며, 원나라와 고려를 여행하는 동안 집권 몽골에 대한 반란을 선동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또한 원나라의 몽골 통치자들과도 교류했다.[4] 그가 죽은 지 10년 후, 몽골인들이 고려에서 쫓겨난 후 그의 제자들은 그의 유해 위에 사리탑을 세웠다. 디야나바드라에 대해 알고 있는 대부분은 그의 사리탑에 남겨진 시적인 비문에서 비롯된 것이다.[5]

1363년 디야나바드라가 죽은 후 고려공민왕이 그의 사리를 국내로 가져와 처음에는 왕궁에, 나중에는 회암사에 안치할 정도로 한국에서 존경을 받았다.[6]

같이 보기

각주

  1. Buswell, Robert; Lopez, Donald (2014).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56쪽. ISBN 9780691157863. 
  2. Orzech, Charles; Sørensen, Henrik; Payne, Richard (2011). 《Esoteric Buddhism and the Tantras in East Asia》. Brill. 609–610쪽. ISBN 9789004184916. 
  3. Nath Prasad, Birendra (2021). 《A 'Nālandā Monk' in the Late Thirteenth–Early Fourteenth Century India, Tibet, China and Korea: A Note on the 'Poetic Inscription' on a Korean Stūpa Erected in the Memory of Dhyānabhadra》. Routledge. 140–149쪽. ISBN 9781032117225. 
  4. Biran, Michael Biran (2023년 8월 17일).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39–840쪽. ISBN 978-1-009-30197-8. 
  5. Thapa, S (2006). “Transmission of Indian Buddhist Thought in East Asian Historiography: Dhyānabhadra (Chi-Gong) and Buddhism in 14th Century Korea.”. 《Sixth World Korean Studies Congress》. 
  6. Huntley Grayson, James (2002). 《Korea: A Religious History》. Routledge. 99쪽. ISBN 9781136869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