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 하이드레이트

가스 하이드레이트(clathrate hydrates 혹은 gas clathrates, gas hydrates)는 영구 동토(凍土)나 심해저의 저온과 고압 상태에서 탄소(C) 성분의 기체천연 가스 분자와 결합해 생기는 고체 에너지원으로, 외관이 드라이아이스와 비슷하며 불을 붙이면 타는 성질이 있어 '불타는 얼음'으로도 불린다. 대한민국 동해의 울릉분지 수심 1,500m 지역에 6억 톤의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양이 맞다면 국내에서 30년 정도 사용이 가능하다.

메테인(CH4)이 주성분인 천연 가스가 물 분자와 결합하여 고체화된 특징과 더불어 축구공 모양의 특이한 결정 구조 때문에 결정 내에 기체를 담을 수 있다. 이런 특성을 줄여서 '가스 수화물'이라고도 한다.

메테인 하이드레이트

불타는 하이드레이트

메테인 하이드레이트(Methane hydrates 또는 Methane clathrate, hydromethane, methane ice)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천연가스 주성분으로 메테인이 90% 이상일 때를 의미한다.[1]

매장된 위치와 양

지구에는 총 250조m3에 달하는 양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동해) 주위의 바다에만도 연간 천연가스 소비량의 100배에 달하는 6조m3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995년 미국 플로리다 앞바다에서 함유율 2%의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확인된 뒤, 일본 시즈오카현 앞바다에서도 20%의 메테인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한 해저지층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2001년 확인된 것 가운데 세계 최고의 양질을 자랑한다. 대한민국 독도 부근과 알래스카 부근에도 약 6억톤의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매장되어 있다고 알려졌다.

단점

심해의 저온 고압 환경에서 만들어지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특성상 깊은 바다 밑에 매장되어 있어 채취에 따른 기술적 어려움과 경제성 등으로 인해 실용화 여부는 아직 알 수 없으며, 더욱이 가스 하이드레이트에 포함된 메탄은 이산화 탄소보다 지구 온난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과학자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